기도

내 속 좁은 탓이겠지만 세상일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폭이 그리 넓진 않다. 판단의 경우는 더더구나 그러하여 내 경험의 한계 안에 머무르곤 하는 편이다. 내 믿음에 이르면 그 한계의 지경이 더욱 쪼그라든다.

어쩌면 내 믿음 안에서 바라본 오늘의 뉴스 한 조각에 대한 내 판단일 수 있겠다.

지금이야 할 수 있는 한 새롭게 사람들과 연을 맺는 일을 극도로 자제하는 편이다만, 한때는 참 여러 사람들 만나는 일을 즐기던 때도 있었다. 아마 한국에 이명박이 대통령이었던 시절까지는 그러했던 것 같다.

한국에서 짧게는 일년에서 길게는 수년 동안 머무르다 돌아간 이런저런 사람들을 많이 알고 지냈던 시절이었다. 연수차 또는 안식년으로 아니면 교환교수라는 이름으로 이 동네에서 머물다간 공무원, 정치인, 언론인, 교수들이 많았다. 이즈음도 뉴스에 오르내리곤 하는 선배나 내 또래부터 한참 어린 후배들 까지 그 무렵 스쳐 지나간 인연들이 제법 된다.

그 중 여럿의 자녀들이 어떻게 이른바 sky라는 대학에 입학하게 된 사연들도 제법 들어 알고 있다. 특히나 이명박 시대에 교육부장관을 하던 이는 너무나 잘 알고 있고, 그의 교육관, 입시에 대한 생각들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편이고, 그와 그의 자제들에 대해서도 익히 그리고 깊이 알고 있는 편이다.

그런 얼굴들을 떠올리며 오늘 본 조국교수 따님에 대한 뉴스를 보며 든 생각이다. 딱히 내가 연을 이었던 이들은 아닐지언정, 오늘날 한국 사회의 이른바 기득권들에 대한 생각인데, 우선 떠오르는 말은 비겁함이다. 정말이지 참 비겁하다.

아니, 비겁함에 더해 잔인하다.

더욱 더 안타까운 일은 한 땐 올곧게 산다던 이들이 변심해 부리는 비겁함과 잔인함이다.

역사 이래 늘 있어 온 사람 군상들 속에서 꿋꿋이 심지 깊게 제 갈 길 걸어 간 사람들도 많았으니…

조국선생과 그의 가족을 위해 기도하며.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600801

신생왕(新生王) 장광선선생

어제 장광선 선생님 떠나신 지 두 해를 맞아 그를 기리는 조촐한 모임이 있었다. 아직도 그의 숨결과 손길을  느낄 수 있는 뉴저지 최남단 펜스빌(Pennsville) 선생님 댁에서였다. 변하지 않는 영원한 동지들인 선생의 가족들과 그를 따르던 선배, 동료 그리고 그의 뜻을 따르고자 애쓰는 후배 몇몇이 함께 한 자리였다.

그를 기억하는 이들은 장선생님을 미주 한인들이 이어온 한반도 통일 민주 민중 운동의 커다란 한 축이었던 사람, 또는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한 미국 동북부 한민족 자주 통일 민주 민중 운동의 선구자라고들 한다.

나 역시 그런 그의 모습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다만, 그를 그렇게만 기억하진 않는다. 나는 그를 참 예수쟁이였던 사람으로 기억한다.

그는 생전에 많은 글들을 썼다. 내가 그를 알게 된 까닭도 그의 글 때문이었다. 한 동안 그는 지금은 없어진 한겨레신문 블로그였던 한토마에 그의 생각들을 거침없이 쓰곤 했다. 한토마를 비롯해 여러 지면에 글을 쓰면서 몇 개의 필명을 사용했던 그가 가장 많이 사용했던 필명은 신생왕이었다.

신생왕 바로 새로 태어난 왕이 바로 장광선선생이었다. 내가 그를 참 예수쟁이로 기억하는 까닭은 그가 말한 신생왕은 그 자신일 뿐만 아니라 사람, 사람들 바로 너와 나 그리고 그들 모두가 신과 사람 앞에서 왕이 되는 존재라는 생각으로 살았던 이었기 때문이다.

생전에 그는 오늘날 교회 모습에 대해 그야말로 신랄한 언사들을 마구 쏟아 내었다만, 나는 그의 말 속에서 그가 얼마나 예수쟁이로 살려고 애쓰는 지를 느끼곤 했다.

예수를 믿는다는 것이 예수를 따른다는 뜻이고, 따른다는 것은 예수와 자신이 동일하다는 생각으로 사는 것일게다.  예수 시대에 예수가 살았던 것 처럼 장선생은 그가 살았던 시절에 예수처럼 살려고 애썼던 사람이었다.

바로 사람답게 사는 삶을 생전 끝까지 쫓으려 했던 사람이 장광선선생이었다.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서’ 온 몸으로 그 삶을 추구하며, 이웃을 똑같이 그런 사람들로 바라보려 애썼던 사람이었다.

그의 민중, 민주, 통일 그리고 자주라는 뜻도 사람, 사람 하나 하나가 모두 신생왕이라는 그의 마음가짐과 눈높이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

남도 장흥 사람 장광선선생, 그가 품었던 남도에서 백두까지 나아가 미주에서 전 세계까지 사람살이 마주치는 사람마다 모두가 신생왕이 되는 세상을 꿈꾸는 씨앗 뿌리고 떠난 사람.

그를 기리며.

  1. 15. 2021

*** 지난 주에 텃밭에 뿌린 아욱과 근대들이 파랗게 싹을 틔우다. 한국 뉴스 속엔 광복회장 김원웅이 던진 말 돌멩이 맞은 이들이 난리 맞은 모양새다. 김원웅이 큰 물꼬 하나 텃다. 누군가들은 또 그 터진 물꼬 막으려 애쓸 것이고, 때론 예전보다 더 큰 뚝이 생길 수도 있겠다만 한번 터진 물꼬인데….언젠간 큰 물길 생기기 마련.

DSC02627

 

그 나라

장인 때 한 번, 어머니 때 두 번, 아버지 덕에 또 한 번. 네 군데 서로 다른 노인 재활원을 경험한다. 아버지는 운도 참 좋으시다. 네 군데 중 시설이나 분위기나 환자의 느낌과 반응 모두 가장 좋다. 엿새 만에 병원에서 재활원으로 옮기신 아버지의 회복 속도는 놀랄만치 빠르다.

삶에 대한 강한 의욕, 철저한 자신의 몸 관리, 다시 일어나 걸을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이 그 속도를 더하는 듯하다.

허나 식사를 하시는 모습을 바라보는 내 속은 그저 애틋하다.

늦은 밤, 이즈음 새로운 느낌으로 다시 책장을 넘기고 있는 존 도미닉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의 ‘역사적 예수 The Historical Jesus’ 속 글귀 하나를 넘기지 못하고 오랜 동안 곱씹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미래의 하느님 나라에 대한 통찰력이 아니라 현존하는 그 나라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예수에게 있어 오늘을 간절한 마음으로 사는 이들의 하느님 나라는 지금 여기에 있는 나라라는 크로산(Crossan)의 사족(蛇足)은 오늘 밤 내게 절대적으로 타당하다.

DSC02285

오늘

오늘 델라웨어 주지사는 질병관리통제센터(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새로운 지침에 따라 다음 주 금요일인 5월 21일부터 야외는 물론 대부분의 실내 모임에 이르기까지 백신 접종을 완전히 끝낸 사람들은 마스크를 벗고 생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거리두기 역시 제한을 두지 않고, 식당, 상점 교회 등 실내모임의 제한 인원 규제 등도  해제한다고 덧붙였다.

만 일년 이 개월 동안 이어져 온 주민들의 생활양태가 완전히 바뀌어 옛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선언이었다.

신문이 전하는 주민들의 반응은 여러 갈래다. 환호하는 축이 있는가 하면, 아직은 이른 처사이어서 당분간 마스크를 계속 쓰고 다니겠다는 이들도 많단다.

이대로 팬데믹 이전의 생활을 누리게 될런지는 아직 아무도 장담하지는 못할게다.  다만 늘 그래왔듯 사람들은 바뀐 생활양식에 쉽게 적응해 나가리라.

존 도미닉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이 쓴  ‘예수 – 사회적 혁명가의 전기(Jesus: A Revolutionary Biography)’를 읽다가 생활양식이라는 말에 꽂혀 몇 번이나 곱씹어 본 문장 하나.

<그것(하나님의 나라)은 미래를 향한 삶의 희망이라기 보다는 현재를 위한 생활양식이다. It(Kingdom of God) is a style of life for now rather than a hope of life for the future.>

온전히 제 뜻으로 만들어 나가는 생활양식을 통해 오늘 여기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누릴 수 있다는 말.

저녁나절 새소리 들으며 마음 다스리는 짧은 시간을 누리는 이즈음의 축복이 그저 감사하고 때론 미안하다.

오늘에.

DSC02210 DSC02216 DSC02217 DSC02225 DSC02226 DSC02228 DSC02230

신심(信心)

나는 예수쟁이라는 자부(自負)가 누구 못지 않게 강하다만 성실한 교인은 아니다. 아니 성실은 커녕 신실한 교인들 잣대로 말하자면 교인이 아닌 편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예수를 고백하고, 내 일상적 삶의 물음들을 성서에게 묻기를 즐기는 편이고, 그런 흉내를 내며 이 나이까지 삶을 이어온 것에 늘 감사하는 편이다.

내가 고백하는 하나님과 예수는 ‘들어 주시는 신(神)’이다. 사람의 소리 보다는 사람들의 소리를 즐겨 들어 주시는 신이다. 특별히 한(恨)을 이고 안고 오늘을 견디고 이겨내며 사는 사람들의 소리를 들어 주는 신이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성서 속 예수의 모습은, 지금 여기를 아프거나 소외 되거나 궁핍하거나  나아가 죽음 앞에선 이들에게 ‘네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하는 예수이다.

예수는 그의 명령에 따라 집으로 돌아가는 이들의 아프고 소외되고 궁핍하고 죽음 앞에 놓인 상황들을 해결해 주진 않았다. 다만 그의 명령은 그 한을 품고 살아야만 하는 그 상황 속의 일상 속으로 돌아가 살라는 것이었다. 나는 그런 예수의 모습에 매료되어 살아 왔고, 이젠 내 버릴 수 없는 그에 대한 믿음이 되었다.

거기 누구나의 삶이라도 뜻이 새겨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내가 세월호 가족들의 오늘의 삶에 관심을 놓지 못하는 까닭이다.

성서 신명기 이야기 속에 나오는 7년이라는 큰 뜻은 탕감과 면제에 있다. 비단 경제적 빚의 탕감과 면제만을 뜻하지 않는다.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이들 속에 경제적인 것은 물론 정신적 짐들과 맺힌 한들이 있다면 모두 다 털어버리는 공동체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나는 새긴다. 이즈음은 이 7년 이라는 뜻이 버젓한 직장과 먹고 살 만한, 종교적 사회적으로 누리고 사는 사람들의 사치로 전락해 버린 안식년이 되었다만.

그렇게 세월호의 아픔을 안고 산지 일곱 해를 맞는다.

비록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저 듣는 일, 아주 작은 몸짓으로 부끄러운 손길 내밀다 마는 일에 불과하다만, 올해도 그저 듣고 손길 내미는 흉내라도 이어가려 한다.

내 신심(信心)으로.


필라세사모 2021년 신년 모임 안내

일시 : 2월 6일 토요일 오후 7시 ~10시 (미동부시)

장소 : 온라인 ZOOM  미팅

참가대상 : 필라 세사모 활동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

<진행 순서>

1부 : 2021년 세월호 진상규명 현재 상황

1) 개회 및 모임 안내
2) 유경근 집행위원장님과의 줌미팅
2부: 필라 세사모 현황 및 활동 계획 (내부 토론 시간)

1) 2020년 세사모 활동 정리
2) 2021년 세월호 7주기를 앞둔 현황과 과제
3) 세월호 활동의 외연 및 참여 확대방안

– 필라 세사모

Zoom Meeting 접속방법 (Link or Dial)

https://us02web.zoom.us/j/82483918249?pwd=eHcvZ0ZLSWRRYjdjVXg1aUNTdDZjZz09

 

Dial by your location

+1 646 876 9923 US (New York)
+1 301 715 8592 US (Washington DC)
+1 312 626 6799 US (Chicago)
+1 669 900 6833 US (San Jose)
+1 253 215 8782 US (Tacoma)
+1 346 248 7799 US (Houston)
Meeting ID: 824 8391 8249
Passcode: 146103

성서에

내가 우리 동네신문이라고 일컫는 The News Journal지의 시초는 1866년이니 그 역사가 제법 오래 되었다. 긴 세월 신문의 이름과 소유주는 여러 번 바뀌며 오늘에 이르렀다. 가장 오래 이 신문을 소유했던 것은 델라웨어주의 거부였던 듀퐁(Du Pont)가문이었다. 1919년 부터 현재의 이름인 The News Journal을 쓰기 시작했으며, 듀퐁 가문이 이 신문에서 손을 뗀 것은 1978년이었다. 그 후 1989년에 델라웨어 주내 경쟁사 두 곳을 병합시켜 오늘에 이른 The News Journal 은 명실공히 델라웨어 주를 커버하는 유일한 신문이다.

이 우리 동네 신문에 지난 몇 달 동안 헤드라인 기사로 가장 많이 다룬 기사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죠 바이든 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죠 바이든, 그리고 사건사고 기사는 아침 눈뜨면 만나게 되는 뉴스거리들이었다.

며칠 전 재미있게 읽은 기사로, 엊그제 워싱톤으로 떠난 바이든과 그의 일행들이 몇 달 동안 이 곳에 머무르면서 그들이 지역 상점들을 이용한 내역들을 공개한 것이 있었다. 듀퐁 호텔을 비롯해 아침 전문 식당, 카페, 주점 등등 어느 가게에서 얼마의 돈을 사용했는지 이른바 바이든 호황을 누린 가게들을 다룬 기사였다.

이 시간 현재 이 신문의 헤드를 장식하고 있는 기사 역시 바이든의 가족 이야기다.

어제 대통령 취임식에서 축도를 했던 이 곳의 목사 이야기와 백악관으로 향하는 대열의 선두에 섰던 바이든의 모교 델라웨어 대학 밴드부 소식도 뉴스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다.

델라웨어 대학 밴드부 제복을 비롯해 이 대학 세탁물들은 내 주 수입원 가운데 하나인데, 지난 일년 여 학생들 활동이 없다 보니 세탁할 일이 없어졌다. 밴드부 소식에 하루 입었으니 세탁해야겠다는 연락이 오지 않을까?하는 헛 꿈도 꾸어 본다.

우리 동네 신문은 바이든에게 특별 주문까지 하여 ‘델라웨어 주민들에게 전하는 대통령의 편지’를 게제하기도 했다. 이 편지에서 바이든은  ‘델라웨어야말로 미국인들이 이루어 내야 할 모범’이라고 추켜 세우며, “내가 죽을 때, 더블린은 내 가슴에 새겨질 것이다”라는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의 명언을 인용하며 델라웨어에 대한 감사와 고향을 잊지 않겠노라는 말을 보탰다.

어제 대통령 취임식을 보면서 내 눈을 끈 것은 바이든이 선서할 때 사용한 두꺼운 성경과 아만다 고든(Amanda Gorman)의 시 낭송이었다. 그녀의 시 ‘우리가 오르는 언덕(The Hill We Climb)’과 그녀의 몸짓은 어제 행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었다.

오늘 우리 동네 신문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어제 취임식에서 사용된  5인치 두께의 성서는 1893년 이래 오늘까지 바이든 집안이 간직해온 가보란다. 1973년 그가 첫 번 째 상원의원이 되어 선서할 때와 부통령이 되었을 때, 그리고 죽은 그의 장남(Beau Biden)이 2013년 주 법무장관에 취임할 때 이 성서를 사용했단다.

635686296192668113-Obit-Beau-Biden-Okam-3-

성서 – 이즈음 내가 성서를 통해 새롭게 곱씹어 보는 말이 하나 있다.  ‘성서란 오늘을 견디어 내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말이다.

‘견디어 내며 살’되 ‘내일을 위한 싸움’에 한 치도 물러섬 없이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 그게 바로 성서라는 생각 말이다.

바라기는 가보(家寶)나 선서(宣誓)용 성서가 아닌 ‘오늘을 견디어 내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로서의 성서가 바이든의 임기에 함께 하기를 빌며.

*** 이즈음 한국 뉴스 속 세월호 가족들 소식을 들을 때면 ‘오늘을 견디어 내는’ 성서 속 사람들을 만나곤 한다.

photo_2021-01-21_21-19-46

 

나무(木)의 노래

이른바 불알친구들은 제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수 십 년 만에 어쩌다 목소리를 들어도 서로간 이내 옛날 날(生) 모습으로 돌아간다.  내 경우에는 신촌 고향 친구들과 고등학교 이전 친구들이 대개 그러하다. ‘쨔샤’, ‘새꺄’ 등의 호칭이 절로 나온다.

청년 시절 이후에 만난 친구들은 아무래도 어디서 어떻게 만났느냐에 따라 각기 적당한 거리가 유지되기 마련이다. 물론 내 경우에 한한 것일 수도 있겠다.

내 스물 무렵, 1970년대 초반에서 1980년 대 초반에 연을 쌓았던 친구들이 있다. 친구 뿐만 아니라 선후배 나아가 많은 선생님들까지 대개의 경우 내 삶에 큰 스승들이었고, 짧은 시간이었지만 그들과의 교류는 내 삶에 누렸던 큰 축복이었다.

그 시절 우린 모두 동지(同志)였다. 유신 철페, 독재 타도, 민주화, 통일의 담론들로 뜻이 엇비슷했던 만남이었다.

세월이 흘러 그 시절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세상을 뜨셨고, 친구와 선후배들도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이제  저녁 노을 길들을 걷고 있다.

그 시절 벗들을 생각하면 일찌감치 떠나와 살고 있는 나는 늘 부끄럽다.

그 숱한 얼굴들 가운데 내가 아는 한. 그 스물 무렵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며 살아 온 친구가 하나 있다.

내가 이민을 오던 그 무렵 그는 빈들로 나아갔다. 그리고 오늘까지 그는 빈들에서 머물고 있다.  그 곳에서  <누군가 만져주>고 <누군가의 손을/ 무작정 기다리는> 사람들 곁에서 <나무>처럼 살아 왔다. 노동자, 이주 노동자,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그 나무 아래 함께 하는 빈들에서 오늘도 머문다.

그 긴 세월 나는 그를 본 적은 없다. 종종 전해 듣는 소식은 언제나 그대로다.

그는 조금 이른 은퇴를 했다. 듣기로는 젊은 시절 겪어낸 고문 후유증으로 몸이 안 좋다고 했다. 그가 은퇴 후 시집 한 권을 펴냈다. 그의 자전 시집이란다. 시집 제목이 <바닥이 하늘이다>이다. 그 답다.

그의 시집을 넘기며 그가 부른 삶의 노래들을 듣는다. 그 중 하나이다.

<나무>

한 곳에서/ 얼마나 오랜 세월 서 있을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친구들을 지나 보낼지/ 바람을 맞을지

당신의 사랑은 그런 것인가요/ 한 곳에 서서 한 곳만을 향하여/ 항상 손을 벌리는 것….

– 중략 –

하늘이 좁아/ 가리고 싶은 마음으로/ 넓게 안테나를 세우고/ 모든 것을 끌어 안으려는 마음/ 아무도 모르게 속삭이는/ 작은 소리에도 상처 받으며/ 견디고 또 견디며/ 뿌리 내리는 것

-중략 –

누군가 만져주지 않으면/ 누구와도 사랑할 수 없는 / 외롭고 쓸쓸한 사랑

그래도 모든 것을 주기 위하여/ 긴 세월을 참으며/ 무심하게/ 누군가의 손을/ 무작정 기다리는 것/ 노래하며 춤추며/ 기도하며 바라며

긴 세월 올곧게 빈들에서 머문 그는 이미 신이 믿고 쓸만 한 거목이 되었다. 신은 그를 잘라 참 좋은 교회당 하나 지으실만 하실게다.

마루 깔고 남은 잡목으로 나 혼자 즐길 의자 하나 만들어 놓고 낄낄대는 내게 이렇게 거목이 된 벗 하나 있다는 건 오로지 내가 누리는 축복이다.

DSC01017

김규복목사. 그의 건강과 아직 해야 할 많은 일들을 위해 기도하며.

지금 내가 사는 곳에서 <바닥이 하늘>인 세상을 위해 나름 꿈꾸며 사는 후배들과 함께 그의 자전적 시집을 나누려 한다.

철부지

우리 부부는 여전히 철부지다.

이른 아침 뉴저지 Englewood로 향하는 차안에서 울린 아내의 카톡에 담긴 지인의 인사. ‘지난 밤 뉴욕에 있는 딸내미는 아무 일 없지요?’

아뿔사! 이게 뭔소리? 내 채근보다 먼저 보낸 아내의 문자에 오늘따라 유달리 빠르게 응답한 딸아이의 문자. ‘간밤에 불이 나갔을 뿐, 난 아무 일 없는데…’

휴게소에 차를 세우고 뉴스 검색을 해보니 지난 밤 맨하턴에  10시간 정도 정전사고가 났었다고… 에고 남만도 못한 부모라니…

낼모레 어깨 수술 날짜가 잡힌 아내가 춤을 배우러 가는 길, 나는 또 좋다고 운전기사로 나선 아침에 있었던 일이다.

아내가 춤 연습을 하는 동안 나는 그 동네 한바퀴를 걸어 보겠다고 나섰다. 일요일 아침 조용한 동네 모습을 눈에 담았다. 나무 위 새 없는 새집, 집 앞뜰에서 유유자적하는 두더지, 더위에 익어가는 과실 등등 부촌 분위기에 빠져 걷는데 현관문 거칠게 여는 소리와 함께 나를 향해 날아오는 목청 높은 소리 하나. ‘왜 남의 집 사진을 찍어?!’

DSC06534

DSC06533

DSC06536

내 나이 또래 할망구의 거친 목소리였다. 설마 도회지 부촌 할망구여서는 아닐게다. 그저 할망구 인성 탓인 게지!

어릴 적 남의 집 초인종 누르고 도망가던 때가 떠올라 웃으며 동네를 벗어나 큰 길로 나서다. 갈라진 아스팔트를 가냘픈 몸으로 가려주는 꽃들이 부촌 할망구보다 엄청 더 부자다.

DSC06541

그러다 우연히 마주친 산책길이라니! 왈 오늘의 득템이었다.

DSC06546DSC06552DSC06569DSC06570DSC06577DSC06582DSC06590

인성 못된 부촌 할망구는 어쩜 오늘의 천사였는지도 모를 일. 산책길을 벗어나 춤 연습 하는 아내에게 돌아가는 길에서  만난 작은 것들도 모두 다 아름다웠나니.

DSC06597DSC06598DSC06603DSC06606

아내는 배움에 진지했지만 선생님과 동작이 같은 때는 거의 없었다. 아마 앞으로도 두어 차례 오늘은 반복되어야 할게다.

DSC06605

DSC06615

나는 걷노라고, 아내는 춤연습으로 땀을 흘리고 맞은 정갈한 밥상은 오늘 누린 즐거움 가운데 하나였다.

KakaoTalk_20190714_190504627

집으로 내려오는 길에 들린 필라델피아 한국식품점에서 만난 정말 반가운 얼굴 하나. 지지난 달 다녀왔다는 우리들의 고향, 서울 신촌 이야기를 들려 주시는 강장로님. 그와 내가 신촌에서 가까이 지내던 때는 그의 나이 사십 대, 나는 이십 대. 오늘 그 이는 구십을 꼽고 나는 칠십을 꼽았다. 사관학교 출신 아직도 꼿꼿한 그가 말했다. ‘감사한 맘으로 잠들고 못 일어나 그냥 갈 수 있다면…’ 사진 찍기 몹시 싫어하는 내가 아내의 명령에 아무 저항없이 순응하다.

KakaoTalk_20190714_184443039

반찬과 국거리 몇 가지 부모님께 전해 드리고, 과일 몇 점 양로원에 누워 계신 장인 입에 넣어 드리고  집에 이르니 오늘 운전거리 300마일.

DSC06617올 추석 한인잔치에서 춤을 추겠다는 아내는 오늘 아침까지 물었었다. 강선생님은 흥춤을 권하시는데 혹시라도 그 무렵에… 그래서 살풀이 아니면 한풀이 춤이 어떨까?

웃으며 내가 한 응답.

‘이 사람아! 그 때까지 돌아가실 이 없네!’

그리고 내 맘속으로 한 말. ‘한풀이건 살풀이건 다 흥에 닿아야 하는 것을…’

삶과 죽음이 다 흥에 닿아 있다면… 우리가 아직 철부지 소리 들어도…

연식年食

이젠 조금 과한 노동은 버겁다. 예전에 비할 바는 아니나 그래도 메뚜기 한철이라고 가게 빨래감이 밀린다. 바쁘게 움직이다가 문득 가게 밖에 머문 가을에 끌려 일손을 멈추고 하늘을 담다.

DSC03525

먼저 떠난 어느 천재는 신은 없다고 했다지.

DSC03530

세탁쟁이인 내가 천재의 고뇌와 고백에 고개 끄덕일 수 있음은 그만큼 연식年食이 쌓였다는 증표다. 허나…

DSC03526

그가 신의 자리에 올려 놓은 ‘자연발생적 우연’에서 나는 신을 고백한다. 그런 내 모습에도  나는 고개를 끄덕인다. 그 또한 살아온 연식 탓에.

DSC03510

일테면 사람과 신 사이에서 제 배 채우는 이들이 말하는 신은 없음에 분명하고…

DSC03514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이들이 도움을 청하며 부르는 이름의 신은 분명 있음으로.

DSC03531

하늘을 담는 내게 오늘에 대한 감사를 토해 내게 하는…

DSC03518

오늘 낮에 내겐 신이 함께 했다. 내 일터에서.

배움에

올 초에 프랑스 혁명에 대한 책 몇 권을 읽었다. 알베르 소불의 ‘프랑스 혁명사’, 마르크스의  ‘프랑스 혁명사 3부작’, 노명식이 쓴 ‘프랑스 혁명에서 파리 코뮌까지’, 육영수가 쓴 ‘혁명의 배반 – 프랑스 혁명의 문화사’와 앙드레 모로아의 ‘프랑스사’ 들이었다.

딱히 이 나이에도 아직 버리지 못하고 있는 지적 허영 때문만은 아니었다. 일주일 여 짧은 일정으로 돌아 보았던 파리 여행에 들였던 내 시간과 발품에 대한 예의랄까? 아무튼 여행 시간보다 몇 배 많은 시간을 들여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약 백 여년의 프랑스 혁명사를 읽었던 적이 있다.

책을 덮고 여행을 돌아보며 서너 가지 정리했던 생각들이 있었다.

우선은 나이 들면 고집 뿐이라는 말이 정말 옳다는 생각이었는데, 내가 살아 오면서 쌓인 내  생각에 대한 신뢰였다. 이른바 신앙이다. 내가 믿고 고백하곤 하는 성서적 역사관이 옳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뜻인데, 역사란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 곧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서 이루어 나가는 과정이라는 내 믿음에 확신을 주었다는 말이다.

백 여년에 걸친 혁명과 반혁명 또는 역사의 진보와 반동은 나선형을 그리며 나아가는 역사 발전 곧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었다.

또 다른 하나는 여성, 인권, 노동, 복지, 동성애, 난민 등등 지금 우리들이 살고 있는 세상의 갈등과 고민들 역시 당연한 논쟁과 투쟁의 과정일 뿐이라는 사실을 확인 시켜 주었다는 것이다. 어쩌면 프랑스 혁명이나 파리 코뮌은 이 백 여년 전에 끝난 일들이 아니라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당시 내가 새롭게 깨달은 사실은 사람 사는 모습에 대한 근래의 역사들을 돌아 봄에 있어 십년 단위로 끊어서 역사를 정리해 읽고 그 시간들을 다시 연결해 보는 생각을 익혀 보는 일이었다. 그것은 내가 오늘, 사람 사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어쩌면 이 새로운 깨달음이 파리 여행과 프랑스 혁명사를 읽으며 내가 얻었던 가장 큰 수확일 것이다.

이즈음 나는 몇 권의 책들을 틈틈히 시간을 내어 읽고 있는 중이다. 19세기 말 부터  20세기 중반 까지 한반도에 대한 생각들을 기록한 책들이다. 내가 겪어 보지 못했지만 오늘의 내 생각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시간들에 대한 기록들이다.

나는 십 년 단위로 이 시대의 이야기를 끊어 읽고 다시 연결해 보기도 할 것이다.

살며 때때로 ‘내가 이런 복을 누릴 만한 자격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내가 믿는 신께 감사를 드리곤 한다. 이즈음이 그렇다.

이 나이에 가르쳐주는 선생을 만나고 함께 배우는 뜻 맞는 좋은 벗들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