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은퇴목사의 회고 – 2

호주 시드니우리교회에서 32년 6개월 동안의 이민 목회를 마치시고 은퇴하신 홍길복목사님의 글 <호주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 목회 이야기> 가운데 제 3장에 있는 “나의 이민 목회 이야기” 두번 째 글입니다.

1342430034_c839c0406e

 이야기 셋 – “선생님, 한대 피우시지요”

아주머니는 벌써 몇 달 째 교회에 나오는데 아저씨는 아직 교회에 출석 하지 않는 가정을 방문 하게 되었다. 집에 가 보니 마침 그 자리에는 주인 아저씨를 비롯하여 두어 분의 친구들도 함께 자리하고 있었다. 서로 통성명을 한 다음 자리를 잡고 앉자 그 댁 주인 아저씨가 선듯 앞 주머니에서 담배 갑을 꺼내더니 그 중 한 개비를 빼내어 내밀면서 아주 자연스럽게 말 했다. “선생님, 한 대 피우시지요” 나는 순간적으로 잠시 당황 했고 “저는 담배를 피지 않습니다” 라고 말했다. 그러자 분위기는 약간 썰렁해 지고 말았다.

아마도 그 아저씨는 보통 한국 목사들은 천주교회의 신부들이나 서구 목사들과는 달리 전통적으로 담배를 피지 않는다는 점을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 후 생각 해 보니 나 역시도 모르기는 마찬가지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당시 처음 만난 사람들 사이 에서는 우선 담배부터 권하는 것이 하나의 습관이요, 또 인간 관계에서 친밀도를 높이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전혀 몰랐던 것이다.

교인들은 목사를 모르고 목사들은 교인들을 모른다. 교회는 세상을 모르고 세상은 교회를 모른다.

모르는 사람들이 피차 간에 오해를 줄이고 가까워지는 방법은 서로서로 자신의 무지와 한계를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고 용납 하려고 하는 마음 가짐이라고 본다. 목회나 선교란 세상과 교회가 서로를 이해해 가는 하나의 과정이다. 교회나 목사는 이 세상을 다 알고 이 세상은 늘 교화 되어야 만 할 대상이라고 여겨서는 안될 것이다. 목회나 선교는 끊임없이 교만을 버리고 겸손해 지는 훈련이기 때문이다.

하기야 이와는 다른 각도에서 나는 처음 호주에 왔을 때 같이 한 교회당을 사용하는 호주 목사님에게 실수했던 경험이 있다. 그 목사님은 예배가 끝난 후 예배당 입구에 서서 성도들과 악수를 할 때 마다 우선 담뱃불 부터 붙여 입에 물고서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한국에서는 볼 수 없었던 모습이었다. 어느 주일 예배 후 나는 차를 마시면서 그 목사님께 한국교회에서는 보통 목사들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이야기 했다. 그러자 그 이는 아주 정색을 하면서 담배는 자기의 가장 좋은 친구이며 기호라고 하며 몹씨 언짢아 했다.

세상이란 나와 다른 생각을 하고 또 나와는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교회든 세상이든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과 다양한 삶의 모습 때문에 모든 것은 아름답고 풍성해 진다. 모든 목회나 선교는 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받기도 하고, 가르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기도 하는 상부상조요, 상호교류 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 넷 – “목사님이 요즈엔 날 사랑하지 안챦아요 !”

교우 가운데 늦게 아들을 낳은 댁에서 토요일 오후에 돌잔치를 할려고 했다.

날짜와 시간과 장소를 정하고 목사에게 구역식구들 모두를 초청하고 싶은데 좀 연락을 해 달라고 했다. 나는 즉시 담당 구역장에게 이야기를 전하고 꼭 구역식구들 모두에게 연락을 해서 많이 오셔서 축하해 드리도록 부탁을 드렸다. 그 여자 집사 구역장은 그리하겠다고 대답을 했고 주일예배 후 다시 확인도 했다.

그 주말 오후 우리부부와 다른 부교역자 부부가 함께 시간을 맞추어 그 댁에 도착 했다. 그런데 그 자리에는 장로님 부부 두 가정과 그 여자 구역장 만 와 있었다. 구역식구들은 한 분도 오질 않았다. 한 2-30분이나 기다렸다. 당황도 되었고 좀 이상한 생각도 들었지만 그냥 예배를 드린 후 구역장 되는 그 여자 집사에게 물었다. “집사님, 왜 구역식구들이 한 분도 못 오셨나요? 혹시 연락을 못하셨나요?”

그러자 그이는 갑자기 눈가를 적시면서 이렇게 말했다. “요즘 목사님과 사모님이 나를 사랑하지 안챦아요!”

이민자들을 포함하여 인간이란 거의가 다 크고 작은 상처를 지니고 인생길을 걸어 간다. 사람은 밥만 먹고 사는 존재가 아니다. 동서남북, 남녀노소, 빈부, 유무식을 막론하고 인간은 사랑을 받아야만 살 수 있다. 관심, 배려, 이해, 동정, 나눔, 대화, 베품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로 표현 되는 사랑이 바로 목회요, 선교다. 목회와 선교는 사랑 이상도, 사랑 이하도 아니다. 특히 나라 떠나 이역에 와서 사는 사람들은 더욱 더 사랑에 허기진 사람들이다. 목회와 선교는 영원한 사랑의 연습이다. 사랑으로 했는데도 안되는 일은 정말로 안되는 일이다.

목회와 선교를 포함한 일체의 인간역사는 사랑으로 하면 반듯이 이루어 지게 되어있다. 만약 우리에게 아직도 그 무엇인가 이루어 내지 못한 일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아직도 충분히 사랑으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랑이란 죽고 싶도록 억울한 일도 넘어서고, 일체의 분노와 슬픔과 쓰라림도 지나서 그냥 말 없이 희생하고 죽는 일 이기 때문이다. 죽었는데도 안되는 일은 정말 안되는 일이다. 그러데 나는 아직도 죽지 않고 살아 있지 않는가!

모든 살아 있는 선교사들과 목회자들은 아직도 사랑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이요, 그들이 전하는 복음의 주체이신 예수가 누구인지를 제대로 모르면서 선교사와 목사가 된 사람들이다.

“목사님이 요즘은 나를 사랑하지 안챦아요!” 자주 생각나는 말이다.

이야기 다섯 – “목사님, 명예박사 학위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호주에서의 이민목회가 한 15년쯤 되었고 내 나이 막 50 이 넘었을 무렵 한국에서 한 후배 목사가 찿아왔다.  이름은 이미 들어서 알고 있었던 사람이었고 그가 번역한 책도 한 권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런 저런 이야기 끝에 미국의 어느 신학대학에서 나에게 명예신학박사 학위를 줄려고 한다면서 그 학교에 장학금 조로 약간의 도네이션을 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선듯 기분 좋은 생각도 들었지만 나는 그럴만한 사람이 못 된다고 하면서 사양을 했다. 그는 나를 추켜세우면서 목사님은 넉넉히 명예박사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고도 남는다고 하며 한편으로는 그 신학교에 대해서도 믿음을 줄려고 여러가지 좋은 이야기를 했다. 하지만 나는 좀 더 생각 해보고 기도 해 본 다음에 다시 연락을 하겠다고 했다.

그가 돌아 간 다음 나는 진정으로 나를 아끼고 평소 나를 많이 후원해 주는 내 멘토에게 그 이야기를 했다. 그러자 그는 정말 잘 했다고 나를 칭찬하고 그 목사나 그 신학대학은 모두가 다 그런 식으로 학위를 남발하는 엉터리라고 하면서 그런 학교에서의 학위는 훗날 오히려 나에게 큰 불명예가 될 것 이라고 했다.

목회나 선교나 그 무엇이든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바탕이 되는 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며 자신의 한계와 부족을 인정하고 겸손하게 살아가는 것임을 어찌 모르랴!

물질과 명예를 탐하고 잘난 척 하다가 결국은 잘못 되어지는 경우가 어디 정치계 뿐이겠는가? 목사 안수식은 죽을 때 까지 종으로 살겠다고 하는 “평생 노예 서약식”과 마찬가지 이다. 목사직이 무슨 대단히 높은 자리인줄 알고 가문의 영광 운운 하는 이들은 뭘 모르는 사람이다. 서글프게도 가짜 박사 중에는 신학박사가 제일 많다고 한다. 목사들 만큼 명예를 탐하고 권력을 따라 움직이는 이들이 어디 있겠나 싶을 정도이다. 예수는 목사도 아니었고 선교사도 아니었다. 그는 초등학교도 다닌 적이 없었고 학위 같은 것은 생각조차도 해 본 적이 없었는데 오늘의 교회와 목사들은 명예와 권력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다.

오래 전에 평양에 가서 조선 그리스도교회의 지도자들을 만나고 봉수교회를 방문했던 적이 있었다. 그 때 그 곳에서 만난 이들은 말 할 때 마다 나를 “홍박사님, 홍 박사님!” 하고 불렀다.  참 민망 했다. 그래서 내가 “아, 저는 박사가 못 된 목사입니다” 하고 말하자 그 때 지금은 돌아가신 강영섭 목사님이 말했다. “남조선 목사님중에도 박사 아닌 목사가 다 있습니까? 참 이상한 목사님 이군요” 사람의 마음이란 참 묘한 것이어서 이럴 땐 나도 박사학위를 딸걸 하는 생각이 한 순간 들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리 생각질 않는다. 돈과 여자 그리고 명예와 권력은 한국이나 호주, 목회자나 선교사, 그 어떤 시대, 그 어떤 자리도 구별 하질 않고 찿아 오는 유혹자요 함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