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1

은퇴한 이들에게 물으면 종종 듣게 되는 대답이다. ‘당신도 해 봐. 또 바쁜 일들이 생겨요. 그냥 뭔지 모르게 그냥 바쁘다니까…’

코로나 바이러스 탓에 시간이 넘쳐난다 했더니 그도 잠시, 계획 이외에 바쁜 하루를 보냈다. 엊그제 마치 지붕이 날라갈 듯 심한 비바람이 일더니 실했던 이웃집 사철나무 허리가 댕강 부러져 내 집 뒷뜰 언덕배미로  넘어졌다.

DSC09988

이웃집 사내와 오전 내내 쓰러진 나무 정리를 하고 샤워를 끝낼 무렵, 누이의 전화를 받았다.

예약된 hospice 시설에서 어머니를 위한 침대가 지금 온다고 하니 빨리 오라는 것이었다. 며칠 전 어머니의 임종을 맞는 듯 했었다. 응급으로 모시고 갔던 병원에서의 결과는 이제 삶이 아닌 죽음을 준비할 시간 이라는 것이다.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먼저 보내 드린 장인 장모의 경험으로 인해 조금은 차분하게 준비할 마음을 가다듬는다. 이젠 온전히 신이 주관하는 시간이다. 내 어머니의 삶은.

오늘 예정되어 있던 유일한 약속 시간에 맞추기 위해 부랴부랴 집으로 돌아와 땀 식힐 시간 없이 컴퓨터 앞에 마주 앉았다. 세월호 6주기를 추모하는 필라 세사모 친구들의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때가 때인지라 함께 모이지 못하고 온라인으로 추모 행사를 함께 하기로 한 시간이었다.

<사람이 사람인 까닭은 이웃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필라델피아 사람들은 2014년 4월 16일을 잊지 않고 쉼 없이 활동해 왔습니다. 마음과 마음이 이어져 모르던 사람들이 서로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삶이 뿌리내린 이곳 필라델피아에서 6년 동안 함께 기억하고 연대하고 행동해 왔습니다. 어려움도 부족함도 많지만, 진상규명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우리의 기억과 연대와 행동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세월호와 아이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기억하겠습니다. 끝까지 함께하겠습니다.

힘겹게 견뎌온 가족들과 생존 학생들, 세월호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 온 모든 분들이 이 어려운 시기에 건강하시고 안전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행사에서 필라 세사모를 대표해 이선아선생이 드린 추모사의 일부다.

오늘 이태후 목사님께서 선포해 주신 말씀은 가슴을 깊게 울렸다.  누군가의 배경이 되어 버리고 만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향해 끝없는 사랑을 외치고 베풀며, 그들이 끝내 배경이 아니라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사람이기를 위해 온 몸을 바쳤던 예수에 대한 선포였다.

그리고 함께 본 영화 한 편, ‘부재의 기억’이다. 보며 절로 흐르는 눈물 감출 수 없었다. 딱히 뭐라 표현 못할 분노의 눈물이었다.

예수가 그의 죽음을 앞두고 가장 도두라지게 했던 행동 하나가 바로 분노이다. 그리고 욕설도 따랐다. 바로 그 지점이랄까? 저절로 나오는 욕에 이어진 눈믈이다.

그렇다. 내가 살아가는 이 동시대에 누군가의 배경이 되어 버리고야 마는 죽음과 삶에 대해 고뇌하고 욕하고 저항하며 함께 하는 이웃들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오늘 하루의 축복이다.

모든 부활은 눈물 끝에 온다.

하루해가 또 저문다.

내일은 부활의 아침이다.

바쁜 하루를 보내며.

내 집 풍경은 이미 온통 부활이다.

DSC09989DSC09986

하루 – 8

‘주(州) 내 노인 요양원에 코로나 바이러스확산으로 가족들 임종 지키지 못해’ – 오늘자 동네 신문 온라인판에 오래 동안 걸려 있는 머리기사 제목이다.

오늘까지 주내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의 절반이 노인 요양원에서 나왔단다. 신문기사는 가족 면회가 차단된 노인 요양원의 현재 모습을 다루고 있다. 임종을 홀로 맞이해야만 하는 노인들의 모습과 빤히 알면서도 가까이 갈 수 없는 가족들의 처지를  꽤나 장문으로 전하고 있다.

노인 요양원에도 여러 등급이 있고, 고급 요양원에서 확진자나 사망자가 발생한 일은 없단다. 비교적 저소득층이 가는 요양원에서 주로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했단다. 기사는 주내 요양원의 실태도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다.

기사를 읽으며 내 머리속은 여러모로 복잡해졌다. 약 일여 년 넘게 노양원에서 지내시다 지난 정월에 돌아가신 장인 생각과 치매기 날로 깊어지고 쇠해지시는 부모님을 할 수 있는 한 요양원에는 절대 보내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지내는 내 형제들과 가족들 생각 때문이었다.

복잡한 머리 속이 내 맘대로 풀리지는 않을게다. 그저 하루 하루 시간에 감사하며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뿐이다. 이미 먼저 가신 장인이나 장모에 대한 기억도 마찬가지다. 그저 모든 것 감사하므로 기억해야 할 터이다. 오늘 하루 내 삶을 감사할 수 있는 맘 하나, 먼저 가신 이들이 키워 준 것이다.

저녁 나절에 애기처럼 맛나게 드실 어머니 생각하며 우거지 갈비탕 진하게 우려 끓였다. 국을 끓이며 내일을 사는 힘을 얻다.

나는 그저 기억만 할 뿐이지만, 기억함으로 좋은 세상을 바꾸려고 늘 애쓰는 참 좋은 친구들의 삶을 보면 부끄럽기도 하고 그 정열이 부럽기도 하다. 그래도 고맙다. 그들로 하여 내일을 사는 내 힘이 배가되기 때문이다.

그래, 모든 삶은 죽음에 닿아 있지만, 누군가의 죽음은 기억을 통해 영생하는 삶에 닿아 있다.

필라세사모 -4-2b

집에서

겨울을 재촉하는 비가 온종일 추적추적 내리는 12월 초하루, 모처럼 내 집안에서 나 홀로 누리는 즐거움을 만끽하다.

‘내 오두막에는 세개의 의자가 있다. 하나는 고독을 위해, 다른 하나는 우정을 위해, 또 다른 하나는 세상을 위해서다.’ 얼토당토않은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흉내 짓도 이런 날 내 집에서 내 스스로에게 허락하는 일은 가하다. 이따금 내다 보는 창문 밖 풍경이 나를 응원한다.

DSC09038

집에 대한 큰 감사가 일다.

두 권의 책을 읽다. 홍성수가 쓴 <말이 칼이 될 때>와 윌리엄 파워스(William powers)가 쓰고 임현경이 옮긴 <속도에서 깊이로: 철학자가 스마트폰을 버리고 월든 숲으로 간 이유>들 이다.

DSC09029

홍성수는 ‘혐오표현’이라는 말이 칼이 된 사회를 고발하며, 이어지는 ‘증오범죄’가 만연 되어가는 현실을 단숨에 읽히는 글로 엮어 놓았다.

저자 홍성수의 말마따나 ‘입법 조치나 법적 대응에 한정하지 말고 전 세계에서 고안되고 실천되어 온 거의 모든 반혐오 표현 대책을 이 책에 모두 망라해’ 놓았다. 그는 그렇게 이 책을 쓴 까닭을 ‘어떤 것이라도 시작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 우리 앞에 놓여 있기 때문’이라고 강변하며 글을 맺는다.

그는 ‘증오범죄가 발생했다면 그 사회에는 반드시 편견과 차별이 있고 혐오표현이 난무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없이 증오범죄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고 몇 차례 반복해 강조한다.

오늘을 사는 모든 이들이 한번 돌아 볼 일이다.

책을 읽으며 어느 잔치 자리에서 백인 사내가 우리 부부 테이블로 다가와 “너희 나라로 꺼려라!”했던 수 십년 전 경험과 며칠 전 내 가게에서 한 백인 여성이 “여긴 미국이야!” 소리치며 말도 안되는 불만을 터트렸던 일이 생각나 창문 밖 풍경에 위로를 받다.

DSC09036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찾고자 하는 모든 이들의 문제, 특히 소수자의 문제이다.’라거나 ‘혐오표현 자체를 금지해야 하는 영역들은 고용, 서비스, 교육 등 자율에 맡기기 어려운 영역과 방송, 광고, 인터넷 등 공공성이 강한 영역에 한정한다.’라는 저자의 주장을 읽다가 여전히 할 일 많은 세상에 감사하다.

다수자와 가진 자들이 외치는 표현의 자유의 소리가 여전히 높고, 한정하고 규제해야 할 영역들인 고용, 서비스, 교육 등과 방송, 광고, 인터넷 등 공공성이 강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숱한 혐오표현들과 증오범죄들이 여전히 난무하는 오늘이기 때문이다.

다소 답답했던 마음을 풀어 준 것은 윌리엄 파워스(William powers)가 쓴 <속도에서 깊이로>이다.

<오늘날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자유와 평등의 가치는 보편화된 읽기가 개개인에게 부여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라는 말은 이 책에서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혁명을 설명하며 저자가 한 말이다.

나는 이 대목에서 문득 예수가 했던 <가라!>라는 명령을 떠올렸다.

간음한 여인을 비롯해 앉은뱅이, 소경, 절름발이들을 용서하거나 고치신 예수는 그들에게 그들이 본래 있었 던 곳으로 다시 ‘돌아가라’고 하셨다. 그들은 모두 당시 사회에서 혐오와 증오범죄의 대상자들이었다. 성서 기록에 따르면 그들의 후일담은 없다.

예수의 ‘가라!’라는 명령은 혐오와 증오범죄가 여전히 만연하고 있는 곳으로 가라는 명령이었다.

예수의 명령은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어쩌면 예수의 명령을 들은 이들의 귀가 열리기에 1500여년이 필요했고 이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데 또 500년이 흘렀는지도 모른다.

내 집안에서 누리는 12월 초하루의 자유를 더불어 누리는 세상으로 넓혀 나가는 일은 작은 것일지라도 살아있는 한 지속해야 할 일이다.

미안하게도 나는 겨우 몇 번 얼굴 내밀었다만, 지난 두 달여 매 주말 마다 이어온 필라세사모 벗들의 꿈도 나와 비슷하지 않을까?

photo_2019-11-30_22-09-19photo_2019-11-30_22-09-11

온종일 비 내리는 12월 초하루, 집에서

배움에

살며 새로운 것들을 보여 주거나 알려 주고 가르쳐 주는 이들이 곁에 있음은 큰 축복이다. 늦은 밤 책장을 넘기다 든 생각이다.

함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어 보자는 이야기가 나온 것은 어쩌면 지극히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말)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생각의 차이가 컸기 때문이었다. (어쩜 이 생각 역시 나 혼자 만의 것일 수도 있겠다만…)

그렇게 함께 읽기로 한 첫 번 째 책이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이다. 솔직히 내 관심을 크게 끄는 주제는 아니었다.

허나 시간에 따라 늙어가는 몸은 어쩔 수 없더라도, 몰랐던 것들을 새로 만나고 아는 기쁨으로 인해 생각하는 맘은 때로 젊어 질 수도 있는 법. 그 생각으로 넘기던 책장이었다.

<사회정의를 위한 혁명적 운동이 그러했듯이, 우리는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 문제를 규정하는 데 더 능하다.>

책장을 넘기다 번뜩 이즈음 세상 일들을 다시 생각케 한 배움이다.

결혼과 가정에 대한 이 책의 저자 Bell Hooks의 선언에 절로 고개를 끄덕이는 나는 어쩜 이미 페미니스트 대열속에 서 있는 것은 아닐지?

<평등과 존중이라는 원칙 , 그리고 동반적 관계를 실현하고 오래 지속하려면 상호 만족과 성장이 필수라는 믿음의 원칙 위에 세운 동료애적 관계의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쓸 것이다.>

필라세사모 벗들에게 감사를.

혼자 걷기엔 숲길이 딱 제 격이다. 동네 Middle Run Valley 숲길을 걷다. 나무 사이를 헤집고 들어오는 햇살을 타고 가을이 숲속에 내려 앉았다. 아직 미련이 많아 떠나지 못하고 있는 여름도 그 숲속에 함께 했다. 두어 시간 숲길을 걷는 사이에 온몸이 땀으로 흥건하다. 일주일 쌓인 노동의 피로와 이런저런 삶의 염려들을 땀과 함께 숲속에 내려 놓다. 오늘따라 인적이 매우 드물어 숲속을 홀로 향유한 즐거움이 크다.

DSC07732

DSC07733

DSC07745

DSC07746

DSC07761

DSC07766

DSC07778

DSC07783

오후에 아내와 함께 필라 나들이를 다녀오다. 모국의 조국 정국에 맞추어 뜻 맞는 이들이 만든 행사에 머릿수 하나라도 채울 겸 해서 나선 길이다. 즉흥적으로 벌인 일이건만 준비들을 참 많이 했다. 생각이 엇비슷한 이들의 얼굴을 보는 일만으로도 살아있는 즐거움이다. 그 즐거움으로 또 한 주간의 삶을 맞자.

DSC07807

DSC07800

DSC07821

photo_2019-09-29_20-34-10

한가위에 자문자답自問自答

어제 밤 미국의 검사 제도에 대해 배웠다.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내겐 크게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이 땅에 살며 검사를 만나 본 적도 없고, 내 삶과는 특별한 연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솔직히 이제껏 이 땅의 검사 제도에 대해 생각해 본 적도 없다.

몇 차례 법정에 서 본 경험은 있다. 삼십 년 넘는 이민 생활에서 손 꼽아보니 거의 열 번 가까이 법정에 가 본 듯하니 적은 숫자는 아니다. 대부분이 이민 초기에 있었던 일들이다 . 막 장사를 시작하고 손님들과의 분쟁으로, 또는 사업체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 생긴 일들로 인해 서 보았던 법정 경험들이다.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두 차례 변호사를 선임했었다. 나머지는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우리 부부가 함께 법정에 섰었다. 겁날 게 없던 젊은 시절 이야기다.

지금은 변호사, 의사를 만나지 않고 사는 삶이었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물론 손님들과의 분쟁을 일으키지 않을 만큼 노회하기도 하거니와 사업체를 사고 파는 일을 만들 여력이 없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이 땅의 검사제도에 대한 배움이였다. 배심원으로 불려 나갔거나 선거에서 Attorney General를 뽑거나 하면서도 솔직히 미국 또는 내가 살고 있는 주 정부의 사법체계에 대해서는 문외한인 내게 뒤늦게 미국 사회를 새롭게 알게 해 준 귀한 시간이었다.

어제  가르쳐 준 변호사 선생님과 함께 배운 십 여명 우리들은 모두 하나의 이름으로 함께 하는 시간을 나누는 이들이다. 그 이름은 ‘필라 세사모’다. 필라델피아 인근에 살며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고 살자는 뜻으로 함께 하는 이들이다.

몇 주 전에 이 모임에서 나눈 대화 가운데 이런 질문이 있었다. “왜 우린 아직도 세월호인가?” 질문만 던져 놓은 채 우린 아직 그에 대한 공동의 답을 마련하진 못하고 있다.

오늘 낮에 일을 하면서 문득 내게 떠오른 질문이었다. “왜 난 아직도 세월호인가?” 아마 어제 밤 공부 탓이었을 게다.

어제 밤 선생님은 미국의 형사 사법 제도에 있어 피고인과 검사가 다투었을 때, 만일 일심에서 검사가 패소하면 검사는 항소권이 없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패소했을 때는 항소권이 부여된단다.  국가와 시민과의 다툼을 다루는 룰이란다.

국가와 시민과의 다툼을 다루는 법칙을 새롭게 만들어 보자는 지속적인 싸움이야말로 바로 세월호 참사 가족들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에 이르러 그 숙제가 풀리기 시작했다.

다섯 번 째 한(恨)으로 맞는 한가위 명절을 보내는 가족들에게 아무 것도 못하지만 그저 함께 기억하는 사람으로 산다는 것 만으로…

““왜 난 아직도 세월호인가?”에 대한 소심한 내 응답.

 

어느 소천(召天)

‘손할머님께서 7월 18일 소천하셨습니다.’

오늘 필라델피아에서 세월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모임 대화방에서 본 공지다.

이즈음 나는 노인들의 죽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며 산다. 노부모들의 이즈음 생활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제 아무리 백세 시대라 하여도 이젠 남 일만이 아닌 가까이 다가오는 내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녀의 이름 손정례. 전남 강진 사람. 세월호 참사 이후 그녀를 만났을 때 나이 구십이었다. 필라델피아 인근 한인들 몇몇이 모여 세월호 참사 일주기를 되새기는 날, 그녀는 한풀이 춤을 추었었다.

0416152020

얼핏 얼핏 그녀의 지나온 삶에 대한 이야기를 스치듯 들었다만, 내 기억에 깊이 새겨진 것은 그녀의 춤이었다.

그리고 지난 해 그녀가 병원과 양로원을 오가며 마지막 길에 접어들 무렵 양로원에서 잠시 함께 했던 시간,  그녀의 신산했던 삶을 가늠할 수 있었다. 세월호 가족들의 아픔이 오롯이 그녀의 가슴에 새겨져 춤사위로 풀어낼 수 있었던 까닭일 게다.

phila-Mrs-Shon

기억 또는 기억들.

필라 인근에 살며 세월호에 담긴 아픔들을 잊지 말자며 함께 해 온 이들의 기억 속에  세월호 아픔과 함께 남을 여인 손정례.

그녀의 못다 푼 한들과 지금 살아 기억하는 자들이 풀어야 할 한들이 얽혀 이어지는 우리들의 삶 가운데 그녀의 꿈들이 이어지기를….

 

봄 나들이

어머니나 장인이나 아직 현실과 꿈 사이를 이따금 오락가락 하시지만 두 분 모두 계셔야 할 곳에 계서 모처럼 마음이 편하다.

어제 한 달 만에 병원에서 집으로 돌아 온 어머니는 ‘얘야, 오이 김치 담궈 줄테니 밥 먹고 가라!’셨다. 아직 밥 두어 술 넘기기도 벅차신 양반이 오이 김치를 잡숫고 싶으셨나 보았다. 엊저녁엔 병원에서 요양시설로 다시 돌아오신 장인 방을 장식할 사진들을 찾아 골랐다.

아침 잠자리에서 뭉개 보기는 참 오랜만이다.

평소 어머니의 바램 대로라면 주일인 오늘 아침, 나는 교회에 나가야 마땅할 일이었다만 필라로 향했다.

DSC05001

차량이 꼬리를 이어 달리는 도시 나들이는 내게 그리 즐거운 일은 아니었지만 다 내 맘 하나 편하자고 나선 길이었다.

<세월호 참사 5주기 – 필라델피아 추모/ 기억 공간>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행사에 머리 수 하나라도 채워야 맘이 편할 것 같아서였다. 그리고 그 선택은 옳았다.

DSC05012DSC05044 DSC05045 DSC05046 DSC05050 DSC05053 DSC05055 DSC05058 DSC05062 DSC05064 DSC05065 DSC05072 DSC05076 DSC05078 DSC05081 DSC05085DSC05088반찬 가게에 들려 오이 소박이 김치와 어머니 입 맛에 맞을 만한 국 몇 가지 사 들고 돌아 오는 길, 내 맘이 참 편했기 때문이다.

이즈음 한국 소식들 가운데 내 관심을 끈 것들 중 하나는 도올 김용옥이 나서 이끄는 일련의 한국현대사 해석이다. 딱히 김용옥선생이 새롭게 꺼낸 목소리는 아니다. 김용옥선생의 목소리로 하여 조금은 더 넓게 ‘그 때 그 시절의 진실’들이 퍼져 나갈 수 있는 오늘은 ‘그 시절을 그저 기억하고 살아 온’ 이들 때문에 맞이하게 된 것 일게다.  그 생각에 이르러 편해진 마음이다.

어머니는 오락가락 하시는 자신의 모습이 아직은 많이 낯 선 모양이다. 나는 ‘엄마, 다 좋아, 괜찮아, 이젠 넘어지지만 않으면 돼!’를 반복한다.

집에서 낮잠은 정말 오랜만이다. 내 방 창 밖에도 어느새 봄이다.

DSC05098

어쩜 내가 사는 오늘이 늘 봄이 아닐까? 감히 역사에.

DSC05034

팥죽

갓 태어난 아이부터 마지막 숨을 내쉬는 이들에 이르기 까지 모든 삶엔 뜻이 있다. 하여 모든 삶은 소중하고 귀하다.

팥죽을 끓여보긴 처음이다. 어머니는 팥밥, 팥떡, 팥죽까지 팥을 참 좋아신다. 내친 김에 좋아 하시는 비린 생선도 굽고 우족과 사골을 푹 고았다. 어머니 덕에 아버지와 장인까지 우족탕과 비린 생선과 팥죽 상을 받으셨다.

어머니 계신 병원에 가면 환자들이 정상이고, 아버지 계신 노인 아파트엔 온통 노인들 뿐이고, 장인 누워 계신 노인 요양원에 가면 기력 쇠한 노인들 세상이다.

모든 삶엔 뜻이 있다는 생각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어 온 것이지만 이즈음에 들어 그 생각을 많이 곱씹는다.

제 삶에 뜻 있음을 알아야 가족과 이웃들 삶에 뜻을 새길 수 있다. 삶에 공감을 이루는 일이다.

아버지를 잠시 뵙고 나오는 길에 노인 아파트에 먼저 온 봄을 만나다. 바람은 아직 찬데 어느새 4월이다.

DSC04950 DSC04947 DSC04946 DSC04945

DSC04954DSC04957DSC04959

4월을 맞아 분주한 내 참 좋은 벗들이 전하는 소식에 좋은 세상을 그리며, 그저 생각 뿐인 나는 또 부끄럽고 안쓰럽다.

unnamed

필라세사모

월요일에 만나는 손님들은 종종 ‘주말 잘 지냈니?’, ‘주말에 뭐했니?’라고 묻는다. 이런 물음에 이즈음 내 대답은 ‘응,걸었어!’이다. 이따금 내 몸보다 족히 두 배가 넘는 이들은 말한다. ‘아니 너처럼 삐쩍 마른 애가 왜 걸어?’ 이럴 때면 나는 그저 빙그레 웃는다. 운동이 아니라 걸으며 나를 만나는 즐거움을 딱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산책의 즐거움을 깨달은 것은 최근 일이다. 내 삶이 산책길 같았으면…하는 소망을 품은 것도 물론 근자에 이르러서 이다.

산책길 같은 내 삶에서 만난 이들이 있다. 필라 세사모 벗들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 만난 이들이니 채 오 년이 안되었다.  더러는 그 이전부터 연을 이어온 이들도 있지만  ‘세월호’라는 이름으로 다시 만난 그들은 그 이전과 달랐다.

어제, 그 벗들과  새해 맞이를 함께 했다. 족히 다섯 시간에 걸친 이야기 마당이었는데 내게는 모처럼 큰 공부방이었다.

DSC04586

행사 전체 진행을 맡은 권오달님은 매사 진중하지만 언제나 여유로움을 풍긴다. 어제 행사를 진행하는 그의 머리 속엔 이미 필라세사모의 상반기 계획들이 자리잡았을 터였다.

DSC04590

자칭 ‘그저 평범한 나같은 아줌마들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하는 이현옥님은 필라세사모에서 그 ‘평범한 아줌마의 위력’을 보이는 이다. 그가 정리해 낸 필라세사모가 해 온 일들을 보고 들으며 든 생각 하나. ‘참 꾸준했구나!’

DSC04594

DSC04596DSC04610DSC04613

자칭 ‘공돌이’인 김태형님은 엉터리 문과 출신인 내게 부끄러움을 안기곤 한다. 다만 마이크를 잡으면 시간 조절이 잘 안되는 흠이 있긴 한데, 어제도 마찬가지였다. 그래도 참 좋았다. 지난 이년 여 짧은 시간동안 벌어졌던 그 엄청난 일들을 쉽게 잊고만 나를 깨우쳤기 때문이다. 한반도를 에워 싼 운기에 대한 설명은 그저 덤이었을 뿐.

DSC04616DSC04614DSC04621DSC04622

기운으로 말하자면 모임 장소로 흔쾌히 집을 내준 안주인의 장구소리에서 뿜어 나오는 소리와 가락이 으뜸이었다.

DSC04627DSC04612DSC04623

지난 백년을 돌아보며 한반도의 새해를 바라보는 이선아님이 던진 화두는 민중이었다. 나는 그의 말을  3.1 운동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공동체가 걸어 온 진보적 걸음의 주인이자 추동력은 바로 밑바닥 민중이다라고 받았다. 그런 뜻으로 그가 던진 그 시대의 만세꾼으로서의 필라세사모를 잠시 생각해 보았다.

DSC04637DSC04645

눈동작, 손동작에서 머리 회전까지 느려지기 시작한 내게, 이른바 미디어의 변화는 따라잡을 수 없는 세태 변화이다. 비단 나이 탓으로 느려진 나같은 세대 뿐만 아니라 제 고집만으로 좁은 세상에 사는 이들에게 던진 이호정님의 ‘뉴스를 읽는 혜안 찾기’에 대한 이야기는 오늘을 사는 이들에게 모두 유효하다. 어쩜 우리들의 삶이란 귀 쫑긋 세워 참과 거짓 사이 선택을 이어가는 일 아닐까?

DSC04647DSC04654

DSC04655

DSC04650

어제 유일한 초대손님 정성호님은 ‘촛불시위가 한국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첬나?’하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던졌다.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조금 삐딱한 마음이 되어 기도를 했다. 이 땅에서 공부하거나 잠시 머무르다 다시 한반도로 돌아가는 이른바 지식인들이 자신의 진정한 삶의 자리에서 함께하는 공동체를 위해 일할 수 있기를….

DSC04667

DSC04659

어제 공부방은 시종 열공 분위기였고

DSC04604

DSC04603

이어진 그룹 토의는 진지하였다.

DSC04671DSC04672DSC04673

그리고 그 시간 손님들을 위한 밥상 준비에 홀로 애쓰는 안주인에게서 그 순간의 민(民)을 보다. 집 주인 장석근님은 평소 쉽게 드러나지 않는 필라세사모의 든든한 뒷배다.

DSC04674DSC04593걷지 않고 느낀 어제 산책의 즐거움이라니!

어제 그 자리에 반드시 있어야 할 사람 이종국님. 긴급한 가정사로 짧은 일정으로 한국에 나간 그가 전해 온 사진 한장.

photo_2019-01-07_05-38-35

공감, 참여, 연대에 앞장 선 오늘의 만세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