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를 생각함

며칠 전에 오마이뉴스에 <아! 이게 바로 ‘핑크빛 천지개벽’>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었습니다. 대구 비슬산을 분홍빛으로 바꾸어 놓은 진달래천지를 소개한 기사였습니다.(기사보기)

기사에 덧붙여 있는 사진 한장에 매료되어, 오늘 아침에 편지 한장 써서 제 가게 손님들에게 띄었답니다. 편지를 받은 몇 분들께서 좋다고하셔서 여기에도 올려봅니다. (한글번역은 아래에)


While I was reading the on-line edition of a Korean newspaper the other day, one picture captured my attention, and made me look at it for a while. It was this picture which showed the pink colored mountain with flowers.

4-24a

The flowers which changed the color of the mountain into pink are azaleas. In April every year, the flowers can be commonly seen anywhere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automatically remind me of my hometown where I grew up.

In Korea, it has another name, “Cham-ggot (참꽃),” in addition to an azalea. Its meaning is a “real flower.” Did you say that if there is a “real flower,” there must be a “fake flower”? You are right. There is a “fake flower,” too. They are royal azalea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he name of which are “Chul-zzook (철쭉)” in Korea.

At first glance, azaleas seem to look the same as royal azaleas. However, azaleas are edible, but royal azaleas are not. Korea people make cakes and wines with azalea flowers. The pictures below are those cakes and wines.

4-24cats

Isn’t it interesting that people in the old days set the edibility as the criteria between “real” and “fake”?

The appearance of the pink-colored mountain seems to have not changed at all from the sight which I saw in my youth, even though a countless number of things have changed since I left Korea. That was the reason why I looked at the picture for long.

As I fell into the thoughts about ‘things changed’ and ‘things unchanged,’ my mind moved into thoughts about ‘things that should not have changed, but changed’ and ‘things that should have changed, but have not changed.’

It is the last week of April and the feeling of spring pervades every corner around us.

I wish that your life will be filled with things that are good because they have changed and things that are good because they have not changed this week and beyond.


며칠 전 한국에서 발행되는 온라인 신문을 보다가 사진 한장에 사로잡혀 한참을 쳐다보고 있었답니다. 온통 분홍색으로 변한 산을 담은 바로 이 사진이랍니다.

산을 분홍빛으로 바꾸어 놓은 이 꽃 이름은 진달래랍니다. 해마다 4월이면 한반도 어느 곳에서나 아주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랍니다. 제가 자랐던 고향 생각을 절로 나게 하는 꽃이랍니다.

한국에서는 이 꽃을 진달래라는 이름 말고도 참꽃 이라고도 부른답니다. “진짜 꽃”이라는 뜻이랍니다. ‘진짜 꽃’이 있으면 ‘가짜 꽃’도 있겠다고요? 그렇답니다. 가짜 꽃도 있답니다. 바로 royal azalea(Rhododendron schlippenbachii)인데 철쭉이라고 부르는 꽃입니다.

철쭉과 진달래는 얼핏 보면 비슷하게 생겼답니다. 그런데 진달래는 사람들이 먹는 꽃이고, 철쭉은 먹지 못하는 꽃이랍니다.  한국인들은 진달래꽃으로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술을 담아 먹기도 한답니다. 사진은 바로 진달래꽃으로 만든 떡과 술이랍니다.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기준을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둔 옛날 사람들의 생각이 재미있지 않는지요?

온통 분홍빛으로 변한 모습은 예전에 제 어린 시절과 전혀 변함이 없었답니다. 제가 한국에서 살았을 때와 지금 사이에 변한 것들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말입니다. 그래서 한참동안 사진을 들어다보게 되었답니다.

‘변한 것들’과 ‘변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생각에 빠져들다보니, ‘변해야 좋은데 변하지 않은 것들’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데 변한 것들’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졌답니다.

온천지에 봄기운이 가득한 4월의 마지막 주간입니다.

변해서 좋은 것들과 변하지 않아서 좋은 것들로 충만한 한주간이 되시길 빕니다.

진달래와 개나리

“꽃샘추위” – 추위까지 사람인양 새암을 부려 꽃피는 것을 시샘한다는 생각에서 만든 이 말이야말로  우리 선조들의 자연관이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말인가? 이에 대응하는 영어라야 “March Wind”(삼월바람, 삼월에 부는 찬 바람) 정도랄까? 자연을 관리 대상으로 삼았던 서구사상 또는 기독교 사상과 자연과 사람이 하나인 동양사상 또는 도교사상을 깨놓고 비교할 수 있는 듯하다.

‘겨울 다 갔지!’하였더니 눈이 제법 내려 이틀 장사 망치고 말았다. 그리고 옷 배달 길, 그 잔설(殘雪)입은 나무가지에 봄눈 튀운 것 보았다. ‘꽃샘추위였군’ 혼잣말하며 이미 봄이 왔음을 느낀다. 이 눈 녹으면 우리집 앞뜰 관상수(?) 개나리 노오랗게 활짝 피고 뒷뜰 진달래 붉게 물들리라. 더하여 빨래감 잔뜩 쌓이는 세탁소 제 철 만나리라 꿈이라도 꿈꾸어 본다.

9423089555

<눈이 부시네 저기 난만히 묏등마다 그 날 스러져 간 젊음같은 꽃사태가 맺혔던 한이 터지듯 여울여울 붉었네> – 70년대 이후 한국 대학가에서 소위 데모노래로 유행했던 ‘진달래’의 가사이다.

‘가시는 걸음 걸음’ 뿌렸던 소월의 님에 대한 한이 젊음의 한, 민족의 한으로 나아가는 소재로 쓰인 진달래꽃이다.

70년대 한 때는 진달래를 노래하는 것조차 불온시하던 시절이 있었음을 기억하는 이 얼마나 될까? 내 고향 서울 신촌 안산에 조차 흐드러지던 그 진달래를…

산철쭉, 참꽃나무, 두견화(杜鵑花), 영산홍(迎山紅) 등으로 불리는 진달래는 한반도 및 만주지방 산간 양지 바른 곳에 잘 자라 이른 봄 정취를 한껏 드러내는 꽃이다. 옛 기록에 의하면 진달래 꽃으로 기름을 짜기도 하고 탕을 만들어 먹거나 화전(花煎)을 부치거나 나물을 무쳐 먹기도 했다고 한다.

특히 삼월 삼짓날 음식은 이 진달래꽃 음식이 주를 이루었다. 진달래로 만든 음식 가운데 특히 유명한 것으로는 진달래꽃과 뿌리를 섞어 빚은 두견주(杜鵑酒)를 들 수 있겠는데 이 술은 약주로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진달래는 약용으로도 쓰여 민간 및 한방에서 강장, 이뇨, 건위 등에 다른 약재들과 함께 처방하여 쓰기도 한단다.

그러나 무엇보다 진달래는 봄이면 온 산하를 붉게 물들이는 ‘더불어 정신’ 곧 함께 뽐내는 자태에서 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모진 추위와 가뭄에도 거뜬히 이겨내는 강인한 생명력이 그 멋을 더해 준다 하겠다.

‘나리 나리 개나리’- 여기서 나리는 홀로 피는 서양꽃이요, 개나리는 무리지어 피는 우리 꽃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어서인지 개나리를 귀하게 여기지 않지만 이 개나리야말로 한국이 원산(김태정이 쓴 책 ‘우리꽃 백가지’에서)인 식물로 한민족이 자랑할 수 있는 한국 고유의 특산물이다.

봄이면 어디서건 노오란 꽃잎 내밀어 제 있음을 자랑하는 개나리는 생명력이 대단히 강해 가지가 땅에 닿기만 하여도 곧 뿌리가 내리고 가지를 잘라 놓으면 그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개나리 또한 한방이나 민간에서 약재로 써 종창, 임질, 이뇨, 치질, 부스럼, 해독 등에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하여 쓴다. 이 또한 내 고향 신촌에 흐드러졌었다.

우리집 앞뜰 관상수라 했다.

이 땅에도 어디서건 볼 수 있지만 내 뜰 개나리는 신촌 안산의 개나리다. 뒷뜰 흐드러질 진달래는 소월의 진달래요, 그 묏등마다 스러져갔던 내 젊음의 이야기들이다.  더하여  그 끈질긴 생면과 이웃에게 베풀 약용, ‘더불어 함께 해야만’ 아름다움은 우리 다음세대에게 넘길 꽃의 아름다움이다.

아직 오지 않은 봄, 우리 세대 아니면 다음 세대 아니 그 다음 세대라도 무리지어 필 진달래, 개나리꽃을 기다리며.

(2001. 3. 1.)

*** 오늘의 사족

이 땅, 이 이민의 땅을 살아가는 모오든 내 피붙이들이 힘들고 어려워도 개나리, 진달래처럼 생명력 강한 삶들을 이어 가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