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기

성탄 연휴 책 한 권 읽으며 보냈다. 비엣 타인 응우옌(Viet Thanh Nguyen)이 쓴 장편소설 ‘동조자(The Sympathizer)’다.

나는 베트남에 가본 적도 없고, 베트남 역사에 대해 깊은 지식도 없다. 다만 베트남 통일에 대한 관심이 조금 있는 편이어서 지난 세기 베트남이 겪은 세월에 대한 이야기들은 제법 읽었다 할 수도 있다. 특히 월남이라고 부르던 남베트남이 망한 1975년 4월에 대한 기억은 아직도 또렷하다.

그 무렵 아직 열혈청년이었던 나는 베트남식 통일에 대한 막연한 기대도 있었다. 그 때 나는 논산 훈련소 수용연대에 있었다. 보통 징집된 병력들은 그곳에서 사나흘쯤 대기하다가  피복과 장비들을 수령한 후 훈련소로 가기 마련이었는데, 나는 그 곳에서 꽉찬 한 달이라는 시간을 보냈다.

입대할 때 입었던 옷을 한 달 동안 입고 있었으니 그 옷이 오죽했으랴!. 나중에 그 옷을 받아든 어머니는 한참을 우셨단다. 나는 그곳에서 몇 차례 보안사의 심문을 받았었다. 하여 그 사월과 오월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이즈음 내 가게와 인접한 네일 샵의 주인인 리와 종업원 피터와는 가깝게 인사하며 지낸다. 모두 사십 대 베트남계 미국인들이다. 내가 나이들었다고 ‘썰, 썰(Sir)’이라고 부르는 그들에게 그냥 ‘영’이라고 하라고 했더니 요사이는 ‘미스터 김’으로 고정 되었다.

여기까지가 베트남 하면 내가 떠올릴 수 있는 생각의 전부다.

소설 ‘동조자’는 분명 베트남과 베트남인들의 이야기인데, 소설은 내게 전혀 낯설지 않은 내 아버지 세대와 내 세대 나아가 내 아이들 세대의 이야기처럼 다가왔다.

소설의 첫 문장이다.

<나는 스파이, 고정간첩, CIA 비밀요원, 두 얼굴의 남자입니다. 아마 그리 놀랄 일도 아니겠지만 , 두 마음의 남자이기도 합니다.>

프랑스인 신부(神父)를 아버지로 십대 초반 어린 나이 베트남 여인(?)을 엄마로 하여 태어난  주인공 ‘나’는 이야기 내내 이런 모습을 유지한다. 두 얼굴의 남자, 두 마음의 남자로.

이야기의 무대는 1975년 남베트남 패망 또는 베트남 통일 시점부터 1979년 사이 베트남과 미국, 필리핀, 태국 등이다.

그런데 전혀 낯설지 않게 우리들의 이야기로 다가온다. 다만 시점은 뒤죽박죽인 채로. 마치 1920년 이후 오늘까지 어쩌면 우리들의 미래까지 겹쳐지는 한반도를 무대로 한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읽으며 포스트잇을 붙여 기억하고픈 대목들 중 몇 개.

<비극은 옳음과 그름이 아니라 옳음과 옳음 사이의 갈등이었고, 이것은 역사에 참여하고 싶은 우리 중 누구도 벗어날 수 없는 딜레마였습니다.>

<나는 흰색이 단순히 순수나 순결과 관련된 색상만은 아님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애도와 죽음의 표시이기고 했습니다.>

<심문은 정신적인 것이 맨 먼저이고, 육체적인 것은 그 다음이야. 여러분은 신체의 멍이나 어떤 흔적을 남길 필요조차 없어. 언뜻 납득이 잘 안되는 소리처럼 들리지, 안 그래? 하지만 사실이야. 우리는 실험실에서 그걸 입증하느라 지금껏 수백만 달러를 썼어.> – CIA 미국 고문관의 말

<그들은 나한테는 예쁘지 않았지만, 그녀에게는 예뻤습니다.>

<내가 그의 아픈 곳을, 양심이라는 명치를 쳤고, 그곳은 모든 이상주의자가 상처 입기 쉬운 부분이었으니까요. 이상주의자를 무력하게 만들기는 쉽습니다. 이상주의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특별한 전투의 최전방에 가 있지 않은 이유를 묻기만 하면 됩니다.>

<우리가 결코 잊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결코 잊을 수 없다는 사실 자체였습니다.>

<대개 우리가 스스로를 보는 방식과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보는 방식이 똑같지 않은데도, 우리는 거울에 비친 우리의 모습이 진짜로 우리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 문장.  <우리는 우리의 죽음을 걸고, 이 한가지 약속을 지킬 것을 맹세한다. 우리는 살아남을 것이다!>

그리고 몇 해 전 먼저 세상 뜨신 장광선선생을 떠올리게 한 대목.

<여러분께 제 ‘아메리칸 드림’이 무엇인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제 ‘아메리칸 드림’은 죽기 전에 내가 태어난 땅을 보는 것, 다시 한번 떠이닌(서울 아님 내 장모의 고향 정주, 그도 아님 장선생의 고향 장흥)에 있는 우리 집안 정원의 나무에서 잘 익은 감을 맛보는 것입니다. 제 ‘아메리칸 드림’은 조부모님의 무덤에서 향을 피울 수 있게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 그토록 아름다운 우리 나라가 마침내 평온해지고 총성이 환호성에 가려 들리지 않게 될 때 온 나라를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것입니다. 제 ‘아메리칸 드림’은…… 전쟁에 대해 한번도 들어본 적 없는 남자 아이들과 여자 아이들이 큰소리로 웃으며 노는 모습을 보는 것입니다.>

책장을 덮고 바라 본 하늘은 2023년 성탄을 안고 저물고 있었다.

자그마치 2023년이 지났는데 얼마나 더 가야할까? 내가 볼 수 있는 세상은 어디까지일까?

이쯤 왈 예수쟁이로서 자답(自答). ‘우리는 살아남을 것’이 아니라 ‘살아남아 이어가는 우리들을’ 믿기에.

또 다시 희망찬 새해를!

  • 좋은 때 좋은 책 읽게 깨워 주신 내 오랜 스승에게 감사를.
  • 2024년에 박찬욱감독이 영화화한 ‘동조자’가 나온다 하니 뜻 맞는 이들과 함께 이 책과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좋을 듯.

살아남기

1.

지난 주 바이러스 하루 확진자가 천명 가까이에 이르자 주지사는 주민들에게 “집에 머물라(stay-at-home)”는 명령을 재개하였다. 비록 강제 명령이 아닌 권고성이라 할지라도 현재 상황이 얼마나 절박한지를 알 수 있는 소식이다.

백 만명이 사는 지역에서 하루 천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늘어난다는 사실은 가히 공포다. 다행히 엊그제 사이 하루 칠백 여 명으로 숫자가 줄기는 하였지만 그 공포의 도가 줄지는 않는다.

그렇다 하여도 도로를 달리는 차량 수를 보면 여느 일상과 전혀 다름없고, 나 역시 아침이면 세탁소 문을 연다. 내 가게 문을 들어서는 손님 숫자는 아직 공포에 이를 만큼 줄지는 않았지만 또 다시 뜸해진 것을 느끼기엔 충분하다.

이즈음 사정을 두루 잘 아는 내 오랜 단골 하나가 지난 주에 내게 건넸던 말이다. ‘사는 놈이 이기는거지! 세탁소를 드나드는 손님들 총량과 빨래감의 총량은 당연히 줄겠지. 그러다보면 하나 둘 문을 닫겠지. 그럼 남는 놈이 줄어든 손님들과 빨래감들을 차지하겠지. 그래 그렇게 사는 놈은 결국 산다니까. 염려말라고 친구!’

나는 그냥 웃었다.

2.

두 주 동안 딸아이는 격리생활에 철저하였다. 두 주 전 맨하턴에서 차 뒷자리에 탄 아이는 내가 마스크를 벗자 아무말 없이 뒷 창문을 열었다. 나는 움칠했었다.

그렇게 아홉 달 만에 집에 돌아온 아이는 집안에서 우리 내외하곤 거의 격리 상태로 지냈다. 나는 아이의 생각에 따랐다.

그리고 오늘 아이와 함께 ‘에고 제 시집가는거 보고 죽으면 다 이룬건데…’ 그 욕심 채우지 못하고 가신 어머님 찾아 뵙다. 어머니 가신 후 딸아이와는 오늘 첫 만남이다.

‘할머니 옆에 내 자리, 그 옆에 네 엄마 자리…’운운하는 내게 아이는 그저 고개를 끄덕인다.

어머니와 장인 장모에게 성탄장식으로 계절을 알리다.

살아남는 것은 내가 아니다. 나를 기억하는 누군가가 살아남는 것이다. 그 역시 시간에 달린 일이지만.

3.

좋은 글들을 만나면 아직은 가슴이 뛴다.

<검찰 독립성의 핵심은 힘 있는 자가  힘을 부당하게 이용하고도 돈과 조직 또는 정치의 보호막 뒤에 숨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지난 주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추미애가 그의 페북에 올린 글 첫 문장이다. 나는 인류 역사가 진보하는 과정에서 숙성된 오랜 물음에 대한 선언으로 읽었다.

종교, 정치, 경제, 문화 등등 모든 권력과 제도가 마땅히 지켜 나가야 할 저지선을 굳건하게 만들고 지켜 나가는 일이 바로 그저 하루를 작은 욕심을 품고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살아남기 선언일 게다.

4.

오후에 두 시간 반 먼 여행길을 다녀 오다. 한국 EBS 방송 <세계 테마 여행 : 천상의 왕국-부탄>편을 넋 놓고 즐기다.

부족함을 넉넉함으로 느끼며 사는 삶과 넉넉함에 욕심을 더하는 삶을 생각하며.

DSC01378 DSC01380 KakaoTalk_20201206_145723315 KakaoTalk_20201206_145723877 KakaoTalk_20201206_145820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