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복의 시드니 인문학 교실 – 16
제 5강 – 3 : 인문학의 주제 – 사람(Saram) (1)
♦ 다음은 오늘의 주교재인 ‘사람, 장소, 환대’를 중심으로 서구 인문학에서 보는 ‘사람됨’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김현경에 의하면 아무 것도 걸치지 아니한 순수한 몸은 사람이 아닙니다. ‘몸’이 사람으로 인식 되려면 의복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문화적 기호들을 입어야만 합니다. 문화가 제공하는 다양한 소품과 도구로 몸을 변형하여 전시 가능하게 만들어야만 사람이 됩니다. 공공 장소에서 나체를 금지하는 것은 순수한 몸 그 자체는 언제나 불완전한 사람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2) ‘인간’은 태어난 후 일정한 ‘사회적 성원권’ (Social Membership)을 얻음으로 드디어 ‘사람’이 됩니다. ‘인간’이란 존재는 자연적 ‘사실’에 지나지 않습니다. 사회적 인정을 받지 않아도 ‘인간은 인간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 속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사회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고, 그에게 자리를 마련해 주어야 사람이 됩니다.
‘사람’이란 일종의 ‘자격’이고 ‘인정’이고 ‘승인’입니다. 사람은 ‘사회적 성원권’을 통해서만 ‘사람’이 됩니다. 이것을 그는 ‘사회적 환대’(Social Hospitality)로 보았습니다. 사회적 환대를 받지못한 인간은 아직 사람으로써 인정이 안되었다고 봅니다.
(3) 김현경은 전통적으로 ‘인간’이기는 하지만 ‘사람’으로는 쳐주지 않았던 group, 즉 사회적 환대를 받지 못해온 집단을 5개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첫째는 태아, 둘째는 노예, 셋째는 여성, 넷째는 군인, 다섯째는 사형수 입니다.
(4) 애기는 태어나는 순간 ‘인간’이긴 하지만 아직 ‘사람’은 아닙니다. 태아가 ‘사람’이 되는 데는 그의 부모와 가정이 기뻐하고 축하하고 법적, 행정적 절차를 통하여 사람들이 사는 사회 속으로 들어와야 ‘사람’이 됩니다. ‘유산’이 된 애기나 강간에 의해서 태어난 애기를 낙태 시키고 일정한 애도의 의례를 행하지 않는 것은 이런 이유들 때문 입니다.
태어난 애기는 이름을 지어주고 이름을 불러주고 사회가 그를 인정하고 환대함으로 ‘사람’이 됩니다. 신생아는 태어나서 사회적 환대라는 통과의례를 거침으로 사회 속으로 들어옵니다. 식구들과 친구들의 방문과 축하, 감사의 기도, 세례식, 백일잔치 같은 공동체의 의식을 통해서 ‘사람’이 되는 겁니다. 만약 그 이전에 죽으면 태아는 사산을 한 것 과 같이 여겼습니다. 아기에게 아직 이름도 지어주지 않고 여전히 배내옷을 입히는 동안은 아기가 세상에 들어온 것이 아니라 ‘문지방 단계’에 있다고 여겼습니다. 물론 오늘날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즉시 국가가 개입합니다. 출생 자체를 통과의례로 보고 사람으로 승인하고 사람으로 보호를 받습니다만 예전에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5) 전통 사회에서는 노예도 ‘사람’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노예는 태어날 때나 죽을 때나 일체 아무런 통과의례를 치루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이라고 보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노예에게는 얼굴(체면 Face), 명예(Honor), 이름(Family Name은 물론이고 개인의 이름도), 권리, 의무가 없었습니다. 그는 ‘사람’이 아니라 ‘물건’이었기 때문 입니다. 물론 사고 팔 수 있었고 같은 노예 사이에서 애기를 낳아도 그 애기의 소유권은 주인에게 있었습니다. 노예는 잘못해도 피고가 되지 않았고 주인이 모든 민사상 책임을 집니다. 집에서 기르는 개가 잘못했다고해서 개를 재판에 걸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유였습니다. 노예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Orlando Patterson, Slavery and Social Death, Harvard Uni. Press, 1982)
(6) 유교적 전통 사회에서는 여자도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출가외인出嫁外人이라는 말은 여인을 집단 사회에서 제명 처분했다는 뜻 입니다. 여자는 시집에서 쫓겨나도 다시 친정으로 돌아 갈 수 없었고 일체의 종교의식(제사)에 참석 할 수 없었고 재산을 물려받을 수도 없었습니다. 여자는 친정이나 시집, 그 어는 쪽으로 부터도 가정의 성원권(Family Membership)을 가질 수 없었습니다. 이름도 족보도 없는 존재였습니다. ‘시집살이는 종 살이’였고 여자는 애 낳는 기계로 여겼습니다. 서양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고대 히브리인들도 여자는 남자가 마음대로 처치 할 수 있는 물건 중 하나였고(아브라함과 사라 등) 로마 시대 이후 여자는 남자의 소유물건 중 하나로 여겼습니다.
(7) 과거는 두 말할 것도 없고 현대전에서도 군인은 ‘사람’이 아니라 ‘물건’입니다. 적군을 죽이는 것은 살인이나 범죄행위가 아닙니다. 그것은 ‘사람’으로써의 군인이 한 행동이 아니라 ‘국가라는 기관’이 한 일이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군인은 전투 중의 살인에 대해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법적인 추궁을 당하지 않습니다. 군인은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파괴하는 기구이기 때문입니다. (1914년 크리스마스 때 서부전선에서 있었던 자발적 휴전은 그 후 어떻게 처리 되었나요?)
뒷골목의 깡패들에게는 싸워도 명예나 규칙이나 위신이 있습니다만 군인에게는 인격, 명예, 위신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람’으로 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초기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백인들이 대표자의 맞대결도 없이 무조건 대포를 쏘고 무차별적으로 쳐들어오는 것을 보고 이것은 ‘전투’가 아니라 ‘학살’이라고 보았습니다.)
(8) 죤 로크 이후 사형수는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국가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폐기처분 한다고 여겼습니다. 사형수는 사형이 집행되기 전에, 먼저 ‘너는 사람이 아니다. 너는 이미 사람의 자격이 박탈되었다’는 점을 확인 시키고 난 후 국가는 국가의 이름으로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한 때는 사람이었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쓸모없고 유해한 물건이 되어버린 물건을 폐기한다고 선언했습니다. ‘국가가 살인을 하면 안되지! 국가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인간의 자격을 상실한 물건을 폐기처분 할 뿐이다’ –이것이 사형수를 사람으로 보지 않고 처형할수 있는 근거였습니다.
(9) 모든 사람은 ‘사람’으로 인정을 받고 사회적 성원권을 갖고 그가 속한 사회로부터 환대를 받을 때 마침내 ‘사람’이 됩니다. 그 이 전에는 ‘인간’의 모습을 지닌 존재이기는 하지만 아직 ‘사람’이 된 것은 아닙니다. 사람이란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정을 받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로부터 환대를 받음으로 ‘사람이 되어가는 것’ 이라고 보는 겁니다.
(10)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내가 스스로 ‘사람’으로 인정 받으려고 노력하고 투쟁을 한다고 해서 누구나 쉽게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인간들은 다른 사람을 ‘사람’으로 받아드리지 않으려는 존재이고 먼저 자신이 사람으로 받아드려진 집단 속에 다른 인간을 받아드려 자신과 동일한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을 원치 않는 존재이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인간은 인간을 배제 시키고 거부하고 자기와 다른 존재를 구별하고 빗금을 긋고 차별화 하려고 합니다.
먼저 어떤 club의 member가 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기들과 똑같이 member로 가입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규정과 제도를 만들어서 제한 하려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앞에서 소개한 Orlando Patterson은 이런 인간의 심리와 역사를 ‘타이모크라시’(Timocracy)라고 했습니다. 이는 ‘노예제도와 명예에 집착하는 문화’를 말 합니다. 여기에는 남보다 우월해 지려는 욕망, 권위를 앞세우고 그 권위를 행사하려는 욕망, 권력에 대한 욕망, 군인다움을 높이고 군인정신을 높이 사는 태도, 물질에 대한 집착 같은 것들이 포함 됩니다.
패터슨에 의하면 행복이란 성원권이고 존재란 곧 소속이 되는 것 입니다. 그래서 그는 ‘사람’이란 저절로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즉 사람으로써의 성원권을 갖고 사람들 속에 끼기 위해서는 치열한 투쟁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나도 끼워주십시오. 나도 당신들과 같이 먹고 자고 놀고 살고 싶습니다. 우리도 당신들 집단의 member로 받아주십시오. 나도 제발 사람으로 쳐 주십시오’라고 부르짖는 성원권 투쟁이 바로 인권운동이요, 사람으로 인정 받기 위한 투쟁이라고 보는 겁니다.
(11) 한편 법률적으로 ‘사회적 성원권’(Social Membership)을 갖고 그 사회로부터 외형적 환대를 받는다고 해서 진정 사람으로 인정을 받고 그 사회 속에 소속이 되느냐 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입니다.
예컨데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정당한 절차를 밟아서 호주에 이민을 왔습니다. 호주에 도착한 후 당당하게 일도하고 세금도 내고 이 나라의 법규도 지킵니다. 공공의 장소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환대를 받습니다. 식당에 갔을 때는 영주권이 있느냐,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 국적은 어디냐 하는 것을 묻지는 않습니다. 이 경우의 환대는 사회적 성원권과는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 사회에서 우리의 주장과 권리를 당당하게 행사하고 어디에서든지 차별을 받지 않고 사람으로써의 기본적 권리를 행사하고 있느냐 하면 그렇지 못한 경우가 허다합니다. 인간성 속에는 진정 지구의 종말이 와도 극복해 낼 수 없는 편견과 편당심과 이기심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 입니다.
트럼프나 폴린 핸슨은 도처에 있고 은근히 그들을 편들어주고 지지하는 이들은 도처에 널려 있습니다. 미국에서도 흑인들이나 아시아 이민자들이나 히스패니아 계통의 이민자들의 경우, 진정으로 ‘사람다운 사람’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가? 의구심을 갖게 됩니다.
21세기가 되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종교적으로 ‘불가촉 천민’의 문제를 지닌 인도의 인종 차별이나 일본이 계속하는 재일 조선인에 대한 차별 정책이나 홈랜드를 잃어버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원주민 문제나 세계도처에서 진행되는 여성의 차별 문제등은 실로 사람이란 무엇이고 ‘사람이 된다’ 거나 ‘사람으로 대접을 받는’는 일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지를 여실히 증언합니다.
Comments & Questions
Sharing Time
(1) 인간으로 태어났고 또 인간의 몸과 얼굴을 지니기는 했지만 아직도 ‘사람’으로 여겨지지도 않고 ‘사람’으로 환영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봅시다. 세계적으로든 아니면 우리 주변에서든 각자가 돌아가면서 그런 사람들을 이야기를 나누어 봅시다. 그리고 이렇듯 사람으로 인정 받지 못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와 내가 할 수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를 토론해 봅시다.
(2) 나(우리)는 호주라고하는 다문화 사회(이민자의 땅)에서 사람으로 환대받지 못한 경험있는지? 어떤 경우, 왜 그랬는지? 인문학을 공부하는 우리들로써 이를 개선해 나갈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의견을 나누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