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생각

이민 보따리를 꾸리며 처분했던 물건 가운데 주소와 전화번호들을 빼곡히 기록해 놓은 공책과 명함첩들이 있다. 벌써 서른 해를 넘어선 저쪽 일이다. 그것은 내 유소년 그리고 청년과의 결별이었다. 이 땅에 건너와 살면서 인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대학교 동창회를 한 두어 번 기웃거린 적은 있다만 모두 이민 초기의 일일 뿐, 이제껏 무관하게 살았다.

인터넷 세상이 열린 후 간간히 이름깨나 팔리게 된 옛 벗들의 소식을 들을 수 있었고, Social Media가 판치는 스마트한 세상이 되자 늙지 않으려는, 아니 젊게 살려는 옛 동무들의 모습들과 느닷없이 마주치곤 한다. 이럴 때면 이따금 오래 전에 버린 주소록과 명함첩들이 생각나곤 한다. 비록 이미 다 변해 버렸을 주소와 전화번호일 터이지만.

이달 초 마광수 형의 부음으로 하여 나는 오래 전 신촌 시절을 더듬고 있었는데, 그로부터 며칠 후 후배 페북에 올려진 옛 동무 딸아이 결혼식 사진은 나를 며칠 동안이나 1970년대 신촌 거리로 내몰았다.

딸아이 혼례를 치른 옛 동무는 함께 마셔 댄 신촌 시장 주막집 막걸리 동이가 제법 되는 진짜 어깨 동무 개 동무였다. 그와 마지막 술 잔을 나누었던 곳은 그의 단칸 신혼방 이었는데 동네는 어디였는지 가물 가물하다.

문득 그 시절 동무들이 그립다.

마광수 형은 그 때도 그랬다. 음담패설을 이용한 우스개는 단연 뛰어났다. 나는 그의 학문이나 문학에 대해 논할 만한 지식이 전무하다. 다만 70년대 청년 마광수에 대한 인상은 아직도 또렷하다. 신촌 목로주점 아니면 북한산을 오르던 길이었을게다. 그는 말했었다. ‘우스운 일이야! 참 우스운 일이라고!’ 그가 고등학교 때 대학교 백일장에 응모해 시 부분에서 장원을 했던 일을 우리들에게 이야기하던 끝에 뱉은 말이었다.

‘그 시가 말이지, 여기서 조금 저기서 조금 남의 것들 베껴서 조합해 놓았단 말이야. 그게 장원이었다니까! 우스운 일이야! 참 우스운 일이라고!’

나는 당시 광수 형이 기성 체제에 대해 항거하거나 비틀어 조롱했다고 단언하지는 못하지만, 그는 당시 이미 자유인이었다. 그는 그렇게 자유인 청년 마광수로 삶을 접었다. 그리 살며 느껴야만 했던 외로움 역시 오롯이 그의 몫으로 품고 갔다.

구글링을 통해 광수형의 길을 쫓다가 낯익은 이름들도 만났다. 대학에서 광수형과 척진 곳에 서있었다는 이들이다. 이미 다들 은퇴 이후이다.

모두 1970년대 신촌거리에서 아주 멀리 왔다.

먼저 떠난 이에게는 안식을, 아직 산 자들에게는 강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