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빛

이제 꽉찬 한달을 맞는 이호진, 이아름 부녀의 삼보일배(三步一拜) 행진 소식을 봅니다.

11067514_373650812826590_1168410099292233094_n하루 한번, 그들이 어디까지 갔을까 아픈 마음으로 열어봅니다. 그들이 결코 외롭지 않을만큼, 딱 고만큼의 사람들이 함께하는 고된 순례의 행진이지만, 매일 이 소식을 통해 제가 예수쟁이이어야만 하는 확신을 다짐니다.

어제 삼배일보 순례길에서 제 딸아이보다도 어린 아름이가 남긴 글입니다. 그 아이의 글에서 가느다란 희망의 빛을 봅니다.

<한달이 다 되어갑니다. 출발할 때의 막막함과 두려움은 점점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그냥 하루를 열심히 살고 있는 느낌입니다.하루 하루가 감사합니다.

그저 그런 하루가 아니라 감사하고 감사한 하루입니다.

길 위에서 절을 하고 있는 아빠와 저의 모습이 서글플 때도 있지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화가 나서 절을 했습니다. 제가 길바닥에 절을 해도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달라졌습니다.

믿을 수 있어졌습니다. 제가 이 길 위에서도 행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출근한다 생각하고 아침에 길을 나섭니다. 그리고 퇴근하듯이 기쁘게 집으로 돌아옵니다.

내일 하루도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이들 부녀의 하루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호진 페이스북

 

당신이 미국 시민권자라면…

오늘 제가 받은 이메일 하나를 소개드립니다. 한국계 미국인 포럼(KAF, Korean American Forum)에서 발송한 이메일입니다.

KAF1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이 만일 미국 시민권자이시라면 이 글 맨 끝에 링크를 클릭하시고 청원운동에 동참해 주십사고 이 글을 나눕니다.

미국민들에게 잊혀져가는 일본의 진주만 침략행위를 다시 일깨워주고, 과거 침략행위에 대한  반성이나 정리없이 일본 수상 아베가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을 하는 일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가를 알리는 일입니다.

청원운동에 서명하시면 이 단체(KAF)가 청원서명을 하신 분들의 거주 의원들에게 청원서를 보낸다는 내용입니다.

이땅(미국)을 내 땅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우리 한국계 미국인들이 마땅히 해야할 일이라는 생각으로 소개드립니다.

KAF가 하는일들을 성원하는 뜻으로 기부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xx 님,

청원운동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시겠지만, 불행하게도 지난 금요일 하원의장 존 뵈이너가 아베 총리에게 미 상하원 합동연설에 초청하는 초대장을 공식적으로 발송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이게 끝이 아니라고 믿고 있습니다.

비록 하원의장이 아베총리에세 초청창을 발송했지만, 우리는 우리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미 의회에 전달해여야 할 것입니다 그로인해 자신의 지역구 유권자들에게 이 이슈가 얼마나 중요한 이슈인지 의원들에게 전달하여야 할 것입니다. 계속해서 주변의 지인들에게 이 청원운동을 알려주시고 참여하실 수 있도록 권유하여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지난 수요일 (18일), Korean American Forum을 비롯한 여러단체들이 참여하여 미 의회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의회 전문지인 THE HILL에 아베총리의 연설에 대한 광고를 내었습니다.

첨부파일로 광고의 내용을 보내드리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저희는 아베총리가 미국을 방문하기 전에 또 다른 광고를 내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작은 기부가 그 광고를 위한 큰 후원과 지지가 될 것입니다.

광고를 위한 기부는  www.kafus.org 를 통해서 하시거나 KAF 앞으로 체크를 작성하셔서 144 Main St. Suite 203, Hackensack, NJ 07601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코리안 어메리칸 포럼 (KAF)는 중요한 국가 이슈에 대한 비정파적인 교육과 권익옹호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501 (c)(4) 기관입니다. 여러분의 기부는 면세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KAF 올림

청원 서명하기

———————————————————————————–

Thank you for your petition.

As you may know, unfortunately, Speaker Bohneor’s office sent an officail inviation to Mr. Abe for the joint session address last Friday.

However, this is not the end. Although Speaker Boehnor sent the invitation to Mr. Abe, we should keep delivering our voice to U.S. Congress so that let Representatives know how much this issue is important for their constituent. We encourge you to keep organizing and mobilizing people to participate in this petition drive.

Last Wednesday (March 18th), Korean American Forum and other organizations placed an Advertisement on ‘THE HILL (a most powerful newspaper in Capitol Hill)’ regarding Abe’s joint session address in U.S. Congress. Attached is an e-tearsheet for the AD that ran on Wednesday. We plan to place another AD on the Hill before Mr. Abe visits to the U.S. Your samll contribution will be a big support for the upcomming AD. You can donate for the Advertisement at  www.kafus.org  or please send a check to 144 Main St. Suite 203, Hackensack. NJ 07601 (Payable to KAF)

* Kaf is a 501(c)(4) organization which primarily focuses on nonpartisan education and advocacy on important national issues. Your donations and contributions are non-tax-deductible.

Thank you agian.

Best,

KAF

PARTICIPATE THIS PETITION

 

삶 – 그 축복에 대한 이야기

주일 아침입니다. 춘분도 지났으니 부활주일도 이제 곧 다가올 것입니다. 가게 손님들은 벌써”Happy Easter !”를 건넨답니다.

오늘도 수많은 교회들에서, 가정에서, 모임에서 예배를 드릴 곳이고 제물도 내 놓을 것입니다.

성서를 읽다보면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는 대목들을 만나곤 합니다. 창세기에 나오는 카인과 아벨의 제사 장면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바로 이 대목입니다.

3    때가 되어 카인은 땅에서 난 곡식을 야훼께 예물로 드렸고
4    아벨은 양떼 가운데서 맏배의 기름기를 드렸다. 그런데 야훼께서는 아벨과 그가 바친 예물은 반기시고
5    카인과 그가 바친 예물은 반기시지 않으셨다.  (창세기 4: 3-5, 이하 공동번역 인용)

한 사람의 제물은 받아드리고 다른 한사람의 제물은 반기지 않았다고 하면서 그 까닭에 대한 아무런 설명도 하지 않습니다. 불공평하기가 이를데 없습니다.

이렇게 설명하는 해석자들도 있습니다. “가나안 농경문화가 섬기는 바알신앙과 유목문화였던 히브리인들의 야훼신앙의 충돌을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 말입니다.

그러나 그 해석에 뭔가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지는 않습니다.

그래 성서에서 제사에 대해 두루 찾아봅니다. 오히려 성서의 해답에 고개가 끄덕여지는 것은 오늘날 무수한 예배들이 보여주는 행태 때문일 것입니다. 두 곳을 인용합니다.

21    “너희의 순례절이 싫어 나는 얼굴을 돌린다. 축제 때마다 바치는 분향제 냄새가 역겹구나.
22    너희가 바치는 번제물과 곡식제물이 나는 조금도 달갑지 않다. 친교제물로 바치는 살진 제물은 보기도 싫다. 거들떠보기도 싫다.
23    그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집어치워라. 거문고 가락도 귀찮다.
24    다만 정의를 강물처럼 흐르게 하여라. 서로 위하는 마음 개울같이 넘쳐 흐르게 하여라. (아모스 5 : 21-24)

23    그러므로 제단에 예물을 드리려 할 때에 너에게 원한을 품고 있는 형제가 생각나거든
24    그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그를 찾아 가 화해하고 나서 돌아 와 예물을 드려라. (마태 5 : 23-24)

그리고 예수카페 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삶 – 그 축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6-7분 사이에 녹음 사정이 좀 나쁨니다. 이해해 주시길…)

불사춘(不似春)

capture-20150319-215048내일은 The first day of Spring 곧 춘분(春分)입니다. 그런데 제가 사는 곳에는 내일 종일 눈이 내린다는 예보랍니다. 말처럼 ‘봄은 봄이로되 봄이 아닌 시절(春來不似春)’이랍니다.

제가 사는곳은 미국내 유명한 도시들 가운데 먼저 꼽을 수 있는 뉴욕과 워싱톤 사이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답니다.

아주 작은 시골마을이지만 워싱톤과 뉴욕을 오고가려면 반드시 지나가야만 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답니다.  그래 두개의 큰 도시를 오고가는 이들이 잠시 쉬어가는 곳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 방문하시는 이들 가운데 두 도시를 오가는 일정에서 어쩌다 이곳에서 쉬어가는 계획이 잡혀서 만나게 되는 분들도 있답니다.

“대한청년평화사절단”이라는 아주 낯선 이름의 단체에 속한 이들이 이번 주말 저희 동네를 지나가신다는 소식을 받았답니다.

저는 이름만 듣고서는 대한민국에 있는 어느 보수단체 또는 종교단체인줄로 알았답니다. 이즈음 “대한”, “청년”, “평화”, “자유”, “사절단” 등의 이름들이 일반적으로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는 단체들이 즐겨 쓰고 있기 때문이었답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대한민국에 살면서 자신들과 부모, 자식들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평화가 유지되어야만 하는 정말 절박한 심정으로 모인 이들의 단체 이름이었습니다.

그냥 수십년 동안 주어진 환경이 그저 당연한 것이려니 하면서 살아온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자신들이 살고 있는 터전이 일촉즉발의 전쟁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건 아니다”라고 외치기 시작했답니다.

이른바 탈북자들이 뿌리는 대북 선전 전단으로 삶의 위협을 받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가녀린 외침의 주인공들이랍니다.

해방 70년, 분단 70년이면 이제 봄이 될 때도 되었건만 한반도에는 아직도 눈이 내리는 듯 합니다.

인간 – 믿음의 시작

성서를 새롭게 다시 읽고 있는 중입니다.통독을 전제로 창세기부터 주욱 읽어나가기로 맘을 먹었는데, 참 오랜만의 일입니다. 살아오면서 성서통독을 몇차례 한 적이 있습니다. 제 필요에 의해서거나 그 일 밖에는 다른 할 일이 없었을 때, 그리고 성서에서 해답을 찾지 않으면 희망이 보이지 않았을 때, 통독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젊어 한 때는 밥먹고 자는 일 이외에는 성서만 들고 있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성서와 예수”가 헛것이라면 제 지나온 삶도 헛것이라는 생각으로 다시 성서를 손에 들었답니다.

몇 장 넘기자마자 제 생각을 놓지 못하게하는 구절을 만났답니다. 바로 이 구절입니다.

<셋도 아들을 얻고 이름을 에노스라고 지어 불렀다. 그 때 에노스가 비로소 야훼의 이름을 불러 예배하였다.> -창세기 4장 26절(공동번역)

제가 헛것을 믿고 살지는 않았다는 생각을 첫번 째로 확인시켜주는 구절이랍니다.

사실 문자로만 읽어 나가면 창세기는 앞뒤가  맞지않는 이야기들이 많답니다. “야훼 하나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였다.”(창세기 2장 4절)라고 시작하는 두번 째 창조 이야기에서 이미 여러번 “야훼”라는 이름이 나온답니다. 그러니 그로부터(창조때로 부터) 시간이 지난 에노스 때에 이르러 “비로소 야훼의 이름을 불러 예배하였”다는 말은 좀 생뚱 맞기도 하답니다.

물론 “야훼”라는 신의 이름은 알았지만 그 때까지는 이름을 부르지도 않았고, 예배를 드리지도 않았다고 한다면 뭐 그럴 수도 있겠다고 고개를 끄덕일 수도 있겠지만 말입니다.

에노스의 아버지인 셋은 아담이 낳은 세번 째 자식입니다.

아담이 셋보다 먼저 낳은 자식들 둘의 이름은 그 유명한 카인과 아벨입니다.

010잘 알려진 이야기처럼 카인은 자신의 친동생인 아벨을 쳐죽입니다. 단지 신이 자신의 제사는 외면하고 동생의 제사만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그리 했다고 합니다.  성서는 왜 신이 카인의 제사는 거부하고 아벨의 제사는 받아드렸는지 명쾌히 말하지 않습니다.  다만 카인에게 (제사를 받아 드리지 않아 치민) 화를 나무랄 뿐입니다.  “카인의 제사를  받아드리지 않은 까닭은 이러저러하다”는 설명도 없이 그저 불공평한 것에 화를 내는 카인만을 나무라는지  카인의 입장에서만 본다면 신은 참 불공평합니다.

그러나 아벨의 입장에서 본다면 불공평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죽어서도 천추의 한이 풀리지 않을 일이었습니다.

“왜, 아무 까닭도 없이 형의 제사는 받지 않고 내 제사만 받아 들여서 형에게 맞아 죽어야만 했는지?” 아마 죽어서도 풀리지 않았을 숙제였을 것입니다.

자! 여기까지 성서이야기를 잠시 멈추고 우리들이 살아가는 오늘을 돌아봅니다.

특별한 이유나 까닭도 없이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이 하는 일들이 거부당하거나 무시당하는 일들을 찾아 내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또한 아무 까닭도 없이 불이익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일들도 사람 사는 세상에서는 비일비재하기 마련입니다.

어느 시대, 어느 곳에서든 쉽게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핵심은 바로 폭력(살인)과 비열함(잡아뗌, 뻔뻔함, 몰염치, 부끄러움을 모름)입니다.

<야훼께서 카인에게 물으셨다. “네 아우 아벨이 어디 있느냐?” 카인은 “제가 아우를 지키는 사람입니까?” 하고 잡아떼며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 창 4 : 9, 공동번역

바로 이 지점입니다.

전후 사정을 보아 신은 카인이 행한 일을 몰랐을리 만무하지만 묻습니다. 그 물음에 대한 카인의 응답이었습니다.

카인은 아담의 장자였습니다.

성서이야기의 흐름은 카인에게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맥없이 죽은 아벨에게서 시작 된다는 선언이  바로 창세기4장 26절에 나오는 구절이라는 생각을 해보는 것입니다.

<셋도 아들을 얻고 이름을 에노스라고 지어 불렀다. 그 때 에노스가 비로소 야훼의 이름을 불러 예배하였다.>

야훼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고 예배를 시작하면서 시작하는 성서이야기는 정말 아무 까닭없이 맥없이 형에게 맞아죽은 아벨의 피가 땅에서 외치는 소리를 듣고 나온 새로운 생명체 셋(신이 아벨 대신 아담에게 허락한 세째 아들)의 대물림인 에노스로부터 시작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에노스’란 ‘연약한 존재’, ‘죽을 수밖에 없는 유한한 존재’라는 바로 “인간”이라는 뜻이랍니다.

성서가 말하는 신 “야훼 하나님”은 바로 “자신이 인간임을 깨닫는 바로 그 순간 그 곳에서 부터” 일하신다는 깨달음이랍니다.

“권력과 폭력”을 휘두르기 일삼고 “ 잡아뗌”에 능숙한 이들과, 오늘 아무 까닭없이 무시당하거나 목숨을 잃기까지 하는 지경에 다다른 사람들에게,  그리고 많은 경우에 저처럼  이 두가지 경우가 공존하는 보통사람들에게  새롭게 다가가야 마땅할 창세기 이야기랍니다.

만남 – 잊지 않을께

지난 3월 8일 필라델피아를 방문했던 세월호 유가족 동혁엄마 김성실님과 경빈엄마 전인숙님이 남긴 말입니다.

9<저희마음에 들어와 주십시오. 그리고 침묵하지 말고 노란리본으로 외쳐주십시오.

우리에게 직접 물어봐주십시오. 홈페이지에도 자주 들어와서 힘을 내라고 해주시고, 광화문과 팽목항과 분향소를 잘 지켜내서 온국민이 원하는 것이 진실이 되도록 힘을 합해주십시오.

잘못된 것을 바로 잡을수 있는 국민정신을 회복하도록 해외에서도 많이 알려주십시오.>

 

 

 

 

계절맞이

어제 오늘 사이에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지난주에 내린 많은 눈들이 아직 듬성듬성 쌓여있기는 하지만 녹아흐르는 눈물들은 봄에게 쫓기고 있답니다.

아주 오래 전에 어머님의 계절맞이는 제철 옷 수습하는 일과 이부자리 바꾸는 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어머님과 별로 사이는 좋지 않았지만 제 할아버지 곧 어머님께는 시아버지의 제철 한복 챙기시는 일은 늘 어머님께서  첫번째 하시던 계절맞이셨습니다.

당시는 이즈음처럼 멋드러진 한복은 없었답니다. 겨울이면 무명에 솜을 넣은 옷이고, 봄 가을로 무명, 여름이면 삼베였답니다. 손이 여간 가는 옷들이 아니였지요. 저도 스물 무렵 한 때 모시적삼을 걸치고 다니던 때가 있었는데 어머님 아니였으면 엄두도 내지 못했을 일이었답니다.

그렇게 어머님께서 식구들의 옷가지들을 준비하고 이부자리를 바꿀 준비가 끝날즈음이면 계절이 바뀌곤 하였답니다.

가을이면 거기에 더해, 쌀과 연탄 채우고 김장독 가득 채우는 일이 더해졌지요.

지금은 정말 단촐해졌지만 어머님은 여전히 아버님과 두 식구 계절맞이를 하고 계시답니다.

그리고 엊그제 제가 즐겨 사용하는 랩탑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여 제 속을 끓게했었답니다. 이렇게 저렇게 제가 할 수 있는 처방을 다해보았지만 치료불가였답니다.

안되겠다싶어 컴퓨터 전문 치료사를 찾아갈까 하다가external hard drive에  backup을 시켜놓고 컴퓨터를 깨끗이 청소해 버렸답니다.

capture-20150311-222610

‘아차!’하는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주 단촐해지고 깨끗해진 컴퓨터 초기화면을 보며 봄을 맞는 기분이 들었답니다.

잃어버린 자료들과 프로그램들에 대한 미련들은 눈녹듯이 흘려보낼 일이고, 어머님께서 하셨던 계절준비처럼 남아있는 화일들 하나하나 정리해 새 방을 꾸며보는 일로 시간을 보내며 떠올려 본 어머님의 계절맞이였답니다.

우리가 돌이 되어 외치리니

어제 필라델피아 Glenside에 있는 Phil-Mont Christian Academy 강당에는 약 백여 명의 한인 동포들이 함께 했었습니다. 세월호 유가족인 두 분 어머님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서였습니다.

1-2

필라 인근에는 약 사만 여명의 한인동포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만 여명 가운데 백여명이란 그야말로 한줌거리도 아닐 것입니다. 1%를 넷으로 나누어야 하는 정말 적은 숫자입니다.

그러나 비록 적지만 스스로 돌이 되어 외치는 이들의 절박함을 듣고 그들의 바램을 이어가기에는 충분한 숫자였습니다.

두분 어머님과 함께 오지 못한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봅니다.

유해종(유미지 학생의 아버지)

“웬만하면 애들이 보고 싶어 하는 거, 해달라는 거 우리 나름 해주며 살았어. 근데 자식이 이제 세상에서 없어졌네. 화가 나고 정말 미칠 것 같았어. 그래도 하나님이 무슨 뜻이 있는 건 아닌가 싶고, 더 부패되기 전에 뭘 밝히라는 뜻 아닐까도 싶고, 그렇게 생각하니까 그것도 감사하다 싶고….이게 다 뜻이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해요.”

“사실 유가족들도 지금 많이 지치긴 했어. 벌썰 몇 개월이 지난거야. 끝까지 가자는 사람도 있고, 우리가 정부를 싸워서 이기겠느냐, 계란으로 바위치는 거다 하는 사람도 있지. 너무 힘드니까. 근데 누구 하나 이탈하는 사람은 없어…..승리할 수 있을 것 같아. 단기간에 끝날 싸움은 아니야.”

전민주(신승희 학생의 어머니)

“우리는 나라하고 싸우는 건데, 온통 거짓말만 한 나라하고 싸우는 건데, 이제 사람들은 돈 얘기만 해요. … 사람들이 자식 팔아서 돈 벌려고 그런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그런 얘기 들으면 어떻게 자식 키우는 입장에서 저렇게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자기 자식 아니라고 돈이랑 자식이랑 어떻게 바꿀까 싶고…”

“그동안 힘들었죠. 지금도 힘들고. 그래도 끝까지 갈 사람들은 언젠가는 진상이 규명된다 그렇게 말해요. 10년이든 20년이든 우리가 포기하지 않으면 된다고. …이렇게라도 해야 내가 맘이 편해요. 그것도 안하면 죄인이 될 것 같고… 언젠가는 이것도 끝이 있겠죠. 승희한테 엄마 진짜 열심히 했다고, 네가 헛되이 간 것만은 아니라고말할 날이 오겠죠. 아, 그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김진철( 김소연 학생의 아버지)

“제가 걱정인 건…… 일이 다 해결되고 함께혔던 분들이 집으로 뿔뿔이 흩어지면 저는 어떻게 살까하는 생각이 들어유. 여기와서 그려도 히히덕거리고 웃고 있지만 다 해결된 다음에는 어떻게 이겨낼지 걱정이 되유. 지금도 술기운에 사는데… 제가 앞으로 살 계획을 소연이하고 함께 허것다고 꿈꿨는디 이제 모든 게 사라져 버린 것 같아유. 이제 앞으로 어떻게 살지, 아무런 의미도 없고, 깜깜허유.”<딸아이를 먼저 보낸 김진철씨는다른 가족없이 홀로이다.>

정부자(신호성 학생의 아버지)

“대통령이 다녀간 후에 체육관에 TV가 설치됐어요. 그때부터 뉴스를 봤어요. 그런데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이상한 뉴스가 나오더라고요….그때까지만 해도 우리가 세상을 알았나요? 애 키우고 맞벌이하고 내 가정만 챙기면 되는줄 알았지. 나라에 해경이 잇고 경찰이 있는데 그 사람들이 다 알아서 해주겠지 하고 살았지. 이런 세상인지 몰랐죠.”

“나는 이런 나라인 줄 정말 몰랐거든요. 대통령이 애도 없이 혼자 사니까 욕심없이 똑바로 해줄 줄 알았는데 그 사람이 왔다가고 나서는 뭐가 더 이상했어요. 배를 가라앉혀 놓고는 애들을 건져 왔대요. 이 더러운 나라, 이 더러운 나라, 이 더러운 나라… 이런 나라에서 이렇게 아둥바둥하고 살았나…”

“누가 그러더라고요. 호성이 가고 호상이 엄마는 만능이 됐다고. 이상한 병에 걸렸어요. 뭐라도 해야 편해요. 애가 힘들게 갔는데 부모가 편하면 안되지 싶어서. 그래야 애한테 덜 미안하고 죄가 좀 가시는 거 같아서 정신없이 돌아다녀요. 아마 평생 갈 것 같아요.”

최순화(이창현 학생의 어머니)

“어쨋든 진실이라는 목표 하나 보고 달려가다보면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지만 내가 끝장을 봐야 해, 내가 결과를 내야 해 그런 생각은 아니예요. 전에는 저쪽 길로 갔다면 지금은 방향을 틀어서 이 길로 가는 건데, 그냥 끝까지 갈 뿐이지요. 어쨌든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해서 간다. 그거예요. 이 길 가다보면 또 다른 사람들이 있으니까. 우리 가고 난 뒤에 다른 사람들이 언젠가는 밝혀 줄 거다, 그건 확신해요. 우리가 앞서서 알마만큼 가줬으니까 다음 사람들이 거기서부터 출발하면 되니까.”

문종택(문지성 학생의 아버지)

“저희 유가족들은 지금 세월호를 두번 타고 있습니다. 그런 유가족들에게 국민이고 정치인이고 언론인이고 할 것 없이 모두 컨테이너를 얹고 , 쇳덩어리를 얹고, 쌀가마니를 얹어요. 선원들보다 해경들보다 더 나쁜 사람들이 되어 가고 있어요.”

“우린 (진상규명을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했어요. 생명수당까지 다 줘야 해. 무슨 보상을 해 주려면 그동안 우리 일한 것 다 쳐서 제대로 해줘야 해. 보상 이야기하는 사람들에게 나는 계산을 못하겠으니 당신들이 해보라고 권하고 싶어. 어떻게 계산할 수 있어. 어떻게 계산이 돼. 자식 잃은 게 계산이 돼? 정신없이 쫓아다니며 하는 우리들 이 일들을 어떻게 계산할 수 있냐고. 건강 잃으면서 하는 일들을 어떻게 계산할 수 있냐고. 우리가 지금 만들려고 하는 안전법과 그걸 위해 하는 우리들의 행동은 숫자로 계산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임종호(임세희 학생의 아버지)

“유가족들은 노란 팔찌 차고 목걸이도 하고 있지만 딱 전철만 타도 뱃지 달고 있는 사람들이 없거든. 서울 광화문이나 가야 있지. 특정 지역에 가야 있지 진짜 보기 힘들어요. …세희 엄마도 특별법 제정 서명 받을 때 ‘이제 그만해’ 이런 얘기 진짜 많이 듣고 매번 울었어요.”

“사람들을 만나서 얘기를 듣고 위로 받고 그러면 힘이나. 그래도 혼자가 아니구나 하고. 축 처져 있다가도 힘이 나지. 들으려고 하는 사람들이 계속 있으니까.”

노선자( 김건우 학생의 어머니)

“저는 정말 그전까지 기자들이 현장에서 발로 뛰고 그걸 보도하는 줄 알았어요. 그런데 그때 처음 알았어요. 다 거짓말이에요. 인터뷰도 자기 마음에 드는 사람 말만 담는 것 같아요. 뉴스가 진실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고.”

“저는 앞으로 오래 살려구요. 오래 오래 살아서 우리 아들 기억해 줘야죠. 시간이 지나면 우리 아들 잊는 사람들도 많아질 거고 벌써 잊은 사람들도 있을텐데 나는 오래 버텨야 되겠는데…..”

***이상은 416 세월호 참사 시민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이 세월호 유가족들과의 인터뷰를 기록한 책 <금요일엔 돌아오렴>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그리고 어제 필라델피아에서 만났던 동혁엄마 김성실님과 경빈엄마 전인숙님의 목소리를 통해 제 맘을 두드렸던 그들의 외침입니다.

“우리는 외칠 것입니다. 하나 하나 떨어져 나가 단 한사람이 남더라도 외칠 것입니다. 그렇게 우리는 돌이 되어 외칠 것입니다. 끝까지 단 한사람만이라도 남아 있기만 하다면 그 순간까지 부디 우리들을 잊지 말아 주십시요. 기억해 주십시요. 그것만이 우리들의 소망입니다. 그 바램으로 여기 필라델피아까지 우리들이 온 까닭입니다.”

 

“잘 들어라. 그들이 입을 다물면 돌들이 소리 지를 것이다.”– 누가복음 19 : 40, 공동번역

 

돌들이 소리 지르는 세상을 외면한 뒤에 오는 세상은 암흑일겝니다.

만남 – 필라델피아의 세월호 유가족 간담회

“어찌 된 일이냐? 걱정하지 말아라. 하느님께서 저기서 네 아들의 울부짖는 소리를 들으셨다.” –성서 창세기 21장 17절, 공동번역

성서는 힘없고 약한 히브리인들의 울부짖음과 신음 소리를 들어 주시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으로 시작합니다. 성서는 강한 자들의 종교가 아니라 잃었던 권리를 다른 어떤 곳에서도 호소할 수 없는 약자들의 신앙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아파하는 소리, 누군가가 호소하는 소리, 누군가가 절박하게 외치는 소리를 들어주는 일은 이미 신앙행위입니다.

때 : 3월 8일 일요일 오후 5시 ~ 8시
곳 : Phil-Mont Christian Academy
        35 E Hillcrest Avenue, Glenside, PA 19038

3-8-3

3-8-1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