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아픈 사월

필라세사모 벗들 가운데 한국현대사를 깊게 공부하신 이가 추천해 주어 여러 해 전에 읽었던 책 <제주 4.3을 묻는 너에게>를 다시 꺼내 들어 책장을 넘겨본 밤이다.

제주 시인 허영선이 전해주는 <제주 4.3> 이야기를 읽다보면 한(恨)이 어찌 쌓이는지, 그 쌓인 한이 가슴을 어찌 매이게 하는지, 그 사월의 처절한 아픔이 내 것이 된다.

그 사월을 겪어내며 일본으로 피신해 살았던 시인 김시종은 그 사월을 이렇게 읊는다.

<내 자란 마을이 참혹했던 때,/ 통곡이 겹겹이 가라앉은 그 때/ 겨우 찾은 해방마저/ 억압에 시달려 몸부림치던/ 그 때,/ 상처 입은 제주/ 보금자리 고향 내버리고/ 제 혼자 연명한/ 비겁한 사나이/ 四.三이래 六十여년/ 골수에 박힌 주문이 되어/ 날이면 밤마다/ 중얼거려온 한 가지 소망/ 잠드시라/ 四.三의 피여/ 귀안의 송뢰되어/ 잊지 않고 다스리시라/ 변색한 의지/ 바래진 사상/ 알면서도 잊어야했던/ 기나긴 세월/ 자기를 다스리며/ 화해하라/ 화목하라

흔들리는 나무야/ 스스로 귀 열고 듣는 나무야/ 이렇게 아무 일 없이 뉘우침 흩날리며/ 봄은 또다시 되살아 오는구나.> – 김시종의 시 <사월이여 먼 날이여> 중에서

허영선이 이 책의 마무리 글에서 한탄하며 남기는 말이다.

<살기 위해 이 땅을 떠나 일본으로 향하던 이들, 그들은 떠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캄캄하고 불안한 항로, 똑딱선을 타고 가며 얼마나 떨었는가. 쓰는 내내 그 시국을 살아내야 했던 그 해의 눈빛들이 떠올랐다. -중략-

이것이 인간의 이야기인가. 수십년 동안 슬픔을 슬픔이라 말하지도 못했던 그들의 입을 대신해 이러한 방식으로 밖에 쓸 수 없었다. 이 광범위하고 거대한 비명을 어떻게 다 전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이제 2023년 사월.

자유민주주의라는 헛된 구호로 오직 제 뱃대떼기 불리기 바쁜 도둑떼들이 판치는 다시 아픈 사월 소식들을 보면서….

그래도 한풀이 희망을 품고 또 살아가야 할 터. ‘제주 섬의 봄날이 그냥 그대로의 봄날이 되는’ 그 날까지.

다시 아픈 사월에.

다시 이해찬

지난해 11월 14일 대한민국 서울에서는 ‘민중 총궐기 대회’라는 집회가 있었습니다. 그날 밤, 만 68살의 농민 백남기 씨가 경찰이 쏜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오늘 이 순간까지 생사가 불분명한 상태로 누워 있습니다.

농민 백남기씨가 그날 그 자리에 있었던 까닭을 그의 딸 백민주화씨는 “쌀값이 너무 많이 떨어져 다른 농민들을 대변해서 그 자리에 말을 하려고 갔던” 것이라고 합니다.

백민주화씨는 이렇게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우리 아빠는 그냥 70세 농민이다. 아빠는 쌀 값이 개 사료보다 싸다, 제발 쌀값을 올려야 한다, 그 말을 하려고 간 건데. 얼마나 답답했으면 그 나이에 서울까지 보성에서 5~6시간 거리인데 거기를 가셨겠나. 우리 아빠가 왜 거기를 나갔는지는 어느 언론에서도 보도하지 않고 니네 아빠가 앞에서 폭력시위를 했기 때문에 우리는 폭탄을 써서 니네 아빠를 죽일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 거다. 아무도 본질은 모르고 있다. 폭력시위가 초점이 아니다. 10만명이 넘게 서울 그 한자리에 모였다는 것은 할 얘기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백남기씨가 그날 있었던 대회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공약을 지키라”는 지극히 원칙적인 요구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녀가 대통령이 되려고 했던 공약 가운데 농가와 농민들을 위해 80 kg 쌀값을 21만원대로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녀가 그런 약속을 했던 시점의 쌀값인 17만원 보다 더 떨어진 15만원인 현실을 알리고 싶어했던 것이 그가 그날 밤 그 자리에 있었던 까닭이라고 합니다.

그와 한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백남기씨를  “흥 많고 성실한 사람. 서둘러 밀을 뿌리고 다음 날 전국농민대회, 민중총궐기에 참가한 백남기 농민은 아내와 함께 밀농사 등을 짓고 된장, 고추장을 담그며 평생을 땀 흘리며 살아온 사람.  자기 농사뿐만 아니라 이웃 농민들과 더불어 살며 우리 농업 살리기에 매진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백남기

백남기 – 위키백과는 그의 이력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1947년에 전라남도 보성군 웅치면 부춘마을에서 태어났다. 1968년에 중앙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했지만 민주화 운동을 했다가 박정희 정부시기에 2회 제적을 당해 천주교 수도원에서 수도사로 생활했다. 1980년 서울의 봄때 복교해 총학생회 부회장을 맡아 1980년 5월초까지 계속 민주화운동을 벌였지만 5·17 쿠데타로 비상계엄이 확대되면서 계엄군에 체포되었다. 중앙대학교에서 퇴학되고, 계엄 포고령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72년에 대학에 들어갔던 저는, 농민 백남기씨와 젊은 시절 이력이 비슷한 많은 이들에 대한 이야기들에 매우 익숙한 편입니다.

개중에는 제 잇속와 제 배속 채우노라 얼굴상까지 바뀐 사람들도 많지만, 농민 백남기씨처럼  “흥 많고 성실하게. 가족과 함께 평생을 땀 흘리며. 자기 자신의 일뿐만 아니라 이웃과 더불어 살며 공동체를 살리기에 매진하며” 살아온 사람들이 더 많답니다. 적어도 제가 풍문으로라도 아는한 말입니다.

백남기씨처럼 농민으로 살아온 사람들도 있고, 더러는 노동으로, 상업이나 기업인으로, 언론인 또는 학자로, 더러는 종교인으로, 정치인으로 살아온 사람들도 있습니다.

어디에서 어떻게 무엇을 하고 살아왔던 젊은 시절처럼 흥겹게, 성실하게, 이웃과 더불어 공동체를 살리자는 크고 작은 생각과 실천을 이루며 살아온 이들은 비단 백남기씨만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렇게 이 세대들은 어느덧 환갑에서 칠순 나이에 이르른 노인이 되었습니다.

물론 살아오며서 때론 진창에 빠지기도 하고, 돌이켜 비난받아 마땅한 실수도 저지르기도 했을 수도 있겠지만 자신들이 믿고 지키고자하는 원칙과 상식만은 지키고자 노력하며 살아온 사람들이 이 세대에 분명히 분명히 숱하게 있답니다.

그리고 한국 정치인들 가운데 이 세대로는 이해찬이 손 꼽을만 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농민 백남기선생께서 “흥 많고 성실하게. 가족과 함께 평생을 땀 흘리며. 자기 자신의 일뿐만 아니라 이웃과 더불어 살며 공동체를 살리기에 매진하며” 살아온 사람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후대에게 다시 살아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우리 세대의 시대정신을 고집스럽게 이어온 이해찬의 정치역정이 멋지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다시 이해찬을 위하여.

*** 행여라도 이 글을 읽는 이들 가운데 세종시 유권자 또는 그 곳 유권자를 아는 한사람이라도 있다면 백남기와 함께  ‘이해찬’을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올해도 사람으로 살기 위하여

2016년 초하루도 저무는 시간입니다.

노부모님들께 얼굴 내밀어 짧은 새해 인사를 드린 후 집에서 쉬며 하루해를 보냅니다.

늦은 저녁에 Henry David Thoreau를 찾아 손에 들었습니다.

civil-disobedience-2150여년 전에 마흔 다섯 짧은 삶을 누리다 간 사내가 숲속이나 감옥에서 남긴 말들이 2016년 초하루 제 맘속에서 살아 그대로 전해져 옵니다.

오늘 도시속에서 제가 바라보는 세상이나 150여년전 매사추세츠 월든 호수가에서 쏘로우가 바라보았던 세상이나 별반 다름이 없기 때문일겝니다.

짧은 미국 역사속에서 손꼽을만한 미국의 정신(精神) 가운데 한사람인Henry David Thoreau의 말이 여전히 유효한 2016년을 시작하면서, 그가 이미 파악했던 내가 살아가야하는 환경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만 하는 방향을 곱씹어 봅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매일 반나절을 사랑하는 마음에 가득 차서 숲속을 산책한다면, 게으름뱅이로 낙인찍힐 것이다. 그러나 만일 숲을 밀어내어 평평한 땅으로 만드는 투기꾼으로 시간을 보낸다면 그는 부지런하고 진취적인 사람으로 여겨질 것이다.(If a man walks in the woods for love of them half of each day, he is in danger of being regarded as a loafer. But if he spends his days as a speculator, shearing off those woods and making the earth bald before her time, he is deemed an industrious and enterprising citizen.) – Walden

“우리는 먼저 인간이어야 하고 그 다음에 국민이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법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먼저 정의에 대한 존경심을 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가 떠맡을 권리가 있는 나의 유일한 책무는, 어떤 때이고 간에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행하는 일이다. 단체에는 양심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참으로 옳은 말이다. 그러나 양심적인 사람들이 모인 단체는 양심을 가진 단체이다. 법이 사람들을 조금이라도 더 정의로운 인간으로 만든 적은 없다. 오히려 법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선량한 사람들 조차도 매일매일 불의의 하수인이 되고 있다.( I think that we should be men first, and subjects afterward. It is not desirable to cultivate a respect for the law, so much as for the right. The only obligation which I have a right to assume is to do at any time what I think right. It is truly enough said that a corporation has no conscience; but a corporation of conscientious men is a corporation with a conscience. Law never made men a whit more just; and, by means of their respect for it, even the well-disposed are daily made the agents of injustice.) –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

***40년 전에 제게 Henry David Thoreau의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을 가르쳐 주셨던 선생님은 이즈음 구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시민이 되지 말고 국민이 되어야 한다”며 노망을 부리지시만…

관점(觀點) – 국사교과서 논쟁을 보며

제가 이따금 읊조리며 좋아하는 쉘 실버스타인(Shel  Silverstein)의 관점(觀點Point  Of  View)이라는 시입니다.

추수감사절 만찬은 슬프고 고맙지 않다 /성탄절 만찬은 어둡고 슬프다/ 잠시 생각을 멈추고 /칠면조의 관점으로 만찬 식탁을 바라본다면.

주일만찬은 즐겁지 않다 /부활절축제도 재수 없을 뿐 /닭과 오리의 관점으로 / 그걸 바라 본다면.

한때 나는 참치 샐러드를 얼마나 좋아했었던지 /돼지고기 가재요리, 양갈비도 /잠시  생각을 멈추고 식탁의 관점에서 /식탁을 바라보기전까지는.

Thanksgiving dinner’s sad and thankless/ Christmas dinner’s dark and blue/ When you stop and try to see it/ From the turkey’s point of view.

Sunday dinner isn’t sunny/ Easter feasts are just bad luck/ When you see it from the viewpoint/ Of a chicken or a duck.

Oh how I once loved tuna salad/ Pork and lobsters, lamb chops too/ ‘Til I stopped and looked at dinner/ From the dinner’s point of view.

똑같은 사건이나 현상을 바라보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것은 다를 수 있음을 표현한 내용입니다. 칠면조 곧 머리 나쁜 경우를 빗대어 말하는 닭과 같은 목에 속하는 조류입니다. 이런 칠면조가 아닌 사람들의 관점이 저마다 다르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입니다.

사관(史觀view of history )이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이 관점 역시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유심사관(唯心史觀)이나 유물사관(唯物史觀), 식민사관(植民史觀)이나 민족사관(民族史觀), 민중사관(民衆史觀)이나 영웅사관(英雄史觀) 등등은 모두 같은 역사를 보는 다른 관점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들입니다.

사람살이가 이렇게 서로 다른 생각들이 있을 수 있고, 그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 각자가 처한 위치에서 서로를 존중하며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서로 부딪혀 싸우곤 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무릇 역사란 그 다른 생각들끼리 다투고 충돌하면서 살아온 사람살이의 이야기인 셈이지요.

그 이야기들을 어떤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기록하여 다음세대들에게 가르쳐 넘겨 줄 것인가 하는 문제 이른바 교육, 바로 역사교육입니다.  다음세대들을 위한 역사교육을 위한 도구 가운데 하나가 역사교과서인데 이즈음 그 교과서 때문에 시끄럽습니다.

혹시 이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 가운데 초중고 또는 대학시절 공부했던 한국사 교재 말고(물론 다 잊어버린 것들이겠지만) 어떤 종류의 한국사책이라도 최근에 읽어 본 책들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 한번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또한 최근 뉴스화 되고 있는 국사교과서 문제에 대한 내용들을 접하고 있는 매체들 곧 신문이나 방송 나아가  SNS까지 어떤 성향의 매체들을 통해 이에 관한 소식들을 받아드리는지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른바 친일이니 종북이니 누군가에 의해 짜여진 틀에서 벗어나 각자 서로 다를 수도 있는 생각들을 굳히게 된 요인들을 찾아내 보자는 말입니다.

자! 이쯤 제 머리속에 굳은 생각들을 만들어낸 요인들을 먼저 밝혀봅니다. 이른바 제 나름의 사관(史觀)이요, 국사교과서 논쟁을 바라보는 생각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130여년 전인 1887년 일본의 동경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은 사학과를 개설하고 조선사 연구에 매진하기 시작합니다. 일본이 한반도 침략을 하기 위한 사전 포석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이 때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한반도 침략후 일본의 조선총독부는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 하기 위해 《조선사(朝鮮史)》,《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조선사료총간(朝鮮史料叢刊)》 등 역사서를 편찬 발간합니다. 이른바 식민사관의 역사서들입니다.

대단히 애석하게도 이런 역사인식은 경성제국대학으로 이어졌고 해방 이후 남쪽 역사 교육의 큰 줄기를 이루게됩니다.

해방 이후의 긴 이야기는 접습니다.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런 식민사관과는 다른 역사관이 있다는 소리들이 학계 또는 이 방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이들에게서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제 정신 가진 사람들이 모인 곳이라면 당연히 있어 마땅한 다른 소리들이 나타났던 시기입니다.

인식그런 소리들을 모아 펴낸 제법 방대한 결과물 중에 하나가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라는 일련의 저작물입니다.

그리고 이런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라는 관점이 잘못되었다며 세상에 나온 책이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입니다. 2006년도 일입니다.

재인식바로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입니다.

제 개인적으로 <해방 전후사의 인식>의 필자 가운데 몇 분들에게서 교육을 받았고, 또한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의 필자 한 분과는 같은 학교에서 함께 교육을 받았고 함께 행동을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모두를 존경하고 서로 다른 생각들 역시 존중한답니다. 물론 제가 동의하는 것과는 별개지만 말입니다.

사관은 다를수 있고, 다른 것이 존중 받는 동시에 서로 다툴 수 있어야 정상적이고 건강한 사회입니다.

한반도의 남과 북,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가운데 그래도 대한민국에 희망이 있는 까닭은 아직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는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민주주의와 인민이 없다는 것은 익히 아는 사실이지만, 대한민국엔 그래도 아직은 민이 살아있기에 희망이 있습니다.

바로 관점의 차이를 인정하는 나라가 건강한 나라입니다.

국사교과서 국정화 곧 단일한 사관을 만들어 다음세대를 교육(세뇌)하려는 대한민국 정부의 모습에서 자꾸 북을 쫓아가려는 종북분자들의 모습을 보는 듯하여 안타까움으로 몇 자 적어보는 것인데, 정말 안타까운 것은 오늘의 모습은 130여년 전과 70여년 전과 전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랍니다.

너무나도 제 잘난 무지 탓으로.

장모(丈母)에게도 기회를…

제 고모부, 처고모부, 장모 – 이 세분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답니다. 고향이 북쪽이고 한국전쟁 탓으로 남으로 내려와 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중 고모부님과 처고모부님은 모두 세상을 뜨셨답니다. 두 분 모두 북에서 가정을 꾸리시다가 남으로 내려와 새가정을 꾸려 사시다 가셨답니다. 한분은 그 언젠가 북의 가족들을 만날 세월을 낚노라고 낚시에 말씀을 묻고 사시다, 다른 한분은 도수에 상관없이 소주잔 한잔이면 나오는 웃음에 세월을 얹혀 날리시다 가셔, 이젠 뵐 수 없답니다.

그래도 두분에게는 함께 남으로 내려온 혈육이 있었거나, 이북 오도민(五道民) 향우회에서 만난 고향분들이 함께 했던 삶이었지요.

아직 팔순이 안된 제 장모는 그야말로 남으로 내려온 홀로랍니다. 이북 오도민 향우회에 홀로 얼굴 내밀기도 뻘줌한 나이랍니다.

십대 어린 나이에 오빠하고 단 둘이 내려왔던 남쪽살이였답니다. 전쟁통에 고향에 간다며 국군에 입대했던 오빠는 그 뒤로 소식을 들은 적 없이 이북에 있던 가족들과는 영영 이별한 채 살아오셨답니다.

사람살이 길은 늘 열려있다고, 장인 어른 만나 가정을 꾸며 열 아홉에 제 처를, 이어 두 아들을 낳고 키우며 오늘도 기도로 사신답니다. 행여 북에 살아있는 어릴 적 헤어진 가족들을 만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꿈도 버리지 못하고 있답니다.

그래 이산가족 상봉 신청을 해 놓고 있답니다.

오는 10월로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는 남북 각기 100명씩 선정해 만남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현재 남쪽 신청자들의 반수 이상의 나이가 90대라고 하니 아직 팔순도 안된 창창하게 어린(?) 제 장모에게 순번이 돌아오는 일은 없을 듯합니다.

이산가족

한 삼년전 이맘 때, 장모에게 병이 찾아왔답니다. 담낭암이라는 이름의 손님이었지요. 그래 담낭을 떼어내고 전이된 간 일부를 떼어내는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도 받으시고 난 후. 그 언젠가의 세월을 기다리시며 잘 버티고 계셨답니다.

다시 시작한다는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 소식이 들리던 이지음 장모에게서 떠났다고 생각했던 손님이 아직도 몸속에서 또아리를 틀고 앉아 있다는 판정을 받았답니다.

그래 이 저녁, 모처럼 제 가족을 위해 기도해 본답니다.

“장모(丈母)에게도 기회를…”

물러날 때를 알아야

주일아침, 유교(儒敎)의 경전 가운데 하나인 역경(易經)에 있는 가르침을 우습게 아는 이들이 차고 넘쳐나는 세상 뉴스를 보면서 몇 자 적어 봅니다.

주역(周易)이라고도 부르는 역경을 보면 태극, 음양, 사상, 팔괘 등등의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64괘가 있고 그 64괘 중 제일 윗자리에 건위천(乾爲天)이라는 괘가 있습니다.

이 건위천이라는 괘에 해당하는 사람의들 운세는 이렇게 설명되곤 합니다.

“용이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형상이다. 사업에 비하면 盛業(성업), 完全操業(완전조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긴장한 상황 속에 있으며 또한 책임도 무겁다. 그래서 이 괘는 가장 좋은 괘이다. 너무나 좋기 때문에 모든 것은 차면 기운다는 것으로 도리어 불길한 것으로 역전할 우려가 있다.”

“현재 귀한 위치에 있는 이거나 또는 평소에 부지런하고 자신을 잘 다스리는 사람에게는 지극히 좋은 괘이지만, 평소에 근면하지 아니한 사람, 거짓말이 많은 사람, 오만한 사람들에게는 악운으로 역전되기가 십상이다. “

“보통 사람들에게 운이 꼭대기에 다다른 것이서 오만심을 불러일으키기 쉬우니 조심하라.”

“너무 높이 올라간 용의 형국이다. 용은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주역(周易) 건위천(乾爲天)편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나아감은 알되 물러남은 알지 못하며<知進而不知退(지진이불지퇴)>, 존함은 알되 망함은 알지 못하며<知存而不知亡(지존이불지망)>, 얻음은 알되 잃음은 알지 못하니<知得而不知喪(지득이불지상)> “

“나아감은 알되 물러남은 알지 못하며<知進而不知退(지진이불지퇴)”라는 말은 얼핏 승승장구하는 군대나 연전연승하는 스포츠팀이나 선수들에게는 아주 듣기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

capture-20150607-091559-vert조선시대 양반과 관료사회에서는 이 역경의 가르침을 벼슬아치들이 반드시 곱씹어야 할 교훈으로 삼았었다고 합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벼슬자리 곧 권력을 부리는 자리에 앉다보면 계속 더 높은 자리로 올라가려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여 제 목적을 이루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갖은 권모술수와 부정하고 부패한 방법으로 제 목적을 달성했지만 끝내 패가망신하는 자가 되지 말라는 교훈입니다.

그런 개인이나 집안의 패가망신 뿐만 아니라 자칫 나라가 절단나는 사단이 될 수도 있겠기에 벼슬아치들에게 곱씹기를 강조했던 말 “나아감은 알되 물러남은 알지 못하며<知進而不知退(지진이불지퇴)”라는 교훈이 뼈저리게 들려야만하는 오늘입니다.

제 자리 아닌 것은 탐하지 말 일이며, 설혹 그 자리에 올랐다 하더라도 제 자리가 아닌 줄 알면 물러나야 개인이나 나라에 득이 될 일입니다.

자기가 오른 자리가 어떤 자리인 줄도 모르고 공주놀음에 빠져있는 대통령을 비롯해 부정부패의 교본으로 기록될 만한 이들이 연이어 국무총리 자리를 놓고 출사표를 던지는 인간들, 입으로는 독감정도의 감기라면서 그 조차 수습못해 전 국민을 유언비어의 도가니속에 빠뜨려 놓고 허둥지둥 거리는 장차관 이하 실무 담당 공무원들, “경제가 세월호에 발목잡혀…”운운히며 한(恨)조차 풀지 못하고 죽은 귀신 불러내어 제 면피에 급급한 국무총리 대행이라는 인간들이 오늘 절실히 곱씹어 마땅한 “知進而不知退(지진이불지퇴)”입니다.

참 씁쓸한 사진들

미국내 언론들이 한반도에 대한 뉴스를 전하는 빈도수에 있어 남쪽은 북쪽을 따를수가 없답니다. 그만큼 북한에 대한 뉴스를 많이 다룬다는 말입니다.

그 가운데서도 북의 김정은에 대한 뉴스들이 가장 많습니다. 그런 류의 기사들 대부분이 김정은을 희화화하거나 비아냥거리는 내용들입니다. 특히 기사에 달린 사진들이나 동영상들은 정상적인 미국인들에게 웃음을 주기에 충분한 것들입니다.

수많은 사진들 가운데 그나마 가장 젊잖은 사진 두 장을 골라보았습니다.

_82418207_afpgetty_kim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visits Mangyongdae Revolutionary School

저런류의 사진들이 미국인들의 눈에는 우수꽝스럽거나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겠지만 북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통(通)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오늘 제가 본 남쪽의 사진 한장이 어찌 그리 우스꽝스럽고 안스럽던지요. 아마 사진에 달린 설명과 사진에 대한 정황설명을 미국인들이 보거나 듣는다면 그 반응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해본답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사진이 통(通)하는 남쪽 사회를 생각해 본답니다.

00532981701_20150606

어찌 그리 남북이 닮아가는지요. 그나마 닮아가기라도 하니 좋다고 할까요?

답답함으로.

(혹시 제 느낌을 모르시겠나요? 그럼 어쩔까요? 정말 답답함으로.)

옛사람의 위로

뉴스 보기가 겁납니다. 뻔뻔스러움이 도를 넘었습니다. 빤한 거짓말도 낯빛 하나 변하지 않고 제 자랑으로 늘어 놓습니다.

백주 대낮에 거짓이 명명백백하게 드러나도 눈 하나 깜작하지 않습니다. 해 떨어지기 전에 이미 거짓을 진실로 바꿀 수 있는, 아니 거짓임을 밝혀낸 이들을 사회를 어지롭히는 불순분자로 낙인 찍기까지 할 수는 위력을 지니고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위력은 실제로 발휘되곤 합니다.

답답함으로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이나 넘겨봅니다.

노자

도덕경 제 3장 위무위(爲無爲)편 마지막 문장입니다.

“위무위 즉무불치(爲無爲 則無不治)” – “무위로써 (정치를)하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라는 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무위(無爲)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억지로 하거나 꾸며대는 것을 말합니다. 즉 꾸미지 말고(속이지 말고, 거짓으로 하지 않고 정치를 하면) 다스리는 일(정치)가 잘못될 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무위’ – 곧 (백성을) 속이거나, (백성을 향해) 꾸미거나 거짓말 하는 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치란 그렇게해서는 안된다는 가르침입니다.

그러나 정치란 사람이 하는 일임으로 100% 그렇게 할 수는 없을 터이니, 위무위(爲無爲)라는 말 속에는 설혹 ‘속이거나, 꾸미거나, 거짓말 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최소한 무위한 것처럼 하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속이되 속이지 않은 것처럼은 하라는 말입니다. 바로 최악의 경우에라도 부끄러움을 잃어서는 아니된다는 경고입니다.

노자가 정치를 비롯한 사회 제반 분야의 이른바 지도층들에게 주는 교훈입니다.

부끄러움을 잃고 뻔뻔함이 당연시되는 사회는 결국 혼란을 맞게되고 망하거나 쇠한다는 것은 인류 역사의 경험이기도 합니다.

때론 옛사람들이 위로가 되기도 합니다.

삼보일배(三步一拜)

오체투지(五體投地)나 삼보일배(三步一拜)라는 말들은 제게 좀 낯선 말들이랍니다. 제가 그런 행위들을 해본적도 없거니와 귀에 익은 말들이 전혀 아니기 때문입니다. 불교에서 비롯된 이 말들은 제 일상과는 거리가 좀 있답니다.

금강경이나 반야심경 같은 경전들의 번역본들이나 벽암록 같은 선문답집 등을 곁에 두고 읽는 까닭은 그저 제 지적 유희일 뿐이지 불교의 심오한 바닥을 느끼고자하는 지경은 아니랍니다.

그러니 오체투지(五體投地)나 삼보일배(三步一拜)같은 수행방법들은 저와는 거리가 먼 것들이랍니다.

사실 108배니 천배니 삼천배니 하는 말들은 소설속 또는 야사 등에서 들어보았지만 오체투지니 삼보일배니 하는 말들을 들은 것은 근자에 이르러서입니다.

세월호 희생자인 고 이승현군의 아버지 이호진씨와 누나 아름양이 팽목항에서 광화문을 향해 삼보일배 걸음을 내디딘지 백일을 맞는답니다.

삼보일배

세걸음 걷고 큰 절 한번하면서 520km의 거리를 온몸으로 걷고 있는 것이지요. 지난 2월 23일에 시작한 이 고행의 걸음은 오는 이달 중순경 광화문에서 끝을 맺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무릇 모든 종교 수행 방법에는 고행이라는 수단이 있습니다. 세 걸음 걷고 한번 큰절을 하는 삼보일배만 하더라도 자신이 지은 모든 나쁜 업을 뉘우치고, 깨달음을 얻어 모든 생명을 돕겠다는 서원하는  불교의 수행법입니다.

삼보일배는 문자 그대로 세걸음 걷고 절 한번 하고라는 뜻 위에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의 삼보(三寶)에 귀의한다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곧 부처님께 귀의하고, 진리에 귀의하고, 수행자에게 귀의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호진씨 부녀의 삼보일배 고행이 비단 그런 종교적 수행만은 아닐 것입니다. 두 부녀의 고행길은 자신들이나 가족들의 구원이나 깨달음을 위한 수행만은 아닐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아마 지난해 4.16일 이전의 이호진씨 부녀에게 이런 고행길이란 차마 꿈속에서라도 상상조차 못한 일이었을 것입니다.

도대체 왜, 이들 부녀가 이런 고행과 고통을 감내해야만 하는 일이 일어났을까, 그 의미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예수쟁이인 저는 이런 고통의 의미를 성서에게 묻게 된답니다.

성서 욥기는 바로 이호진씨 부녀와 같은 처지에서 육체와 정신적으로 고통을 당해본 사람만이 쓸 수 있는 문학작품입니다.

욥기의 주인공인 욥은 죄없는 자들이 당해야만 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정당화하는 체제(신학, 신앙)에 대한 그리고 그런 종류의 신(고통을 정당화하는 이들이 말하는 신)에 대한 반항이자 도전입니다.

그러나 욥기 저자는 끝내 욥이 당하고 감내해야했던 고통에 대한 이성적이고 합리적 또는 설득력있는 설명이나 해석을 내리지 않습니다. 욥기는 죄없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이란 가장 비인간적 상황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바탕에서 그것을 이겨내야만 하는 몫은 바로 사람에게 달려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에 신이 함께 함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이호진씨 부녀가 사개월여에 걸친 520km 삼보일보의 고행을 광화문에서 마친 후에도 아마 두 부녀의 고통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지난 일여년 동안 세월호 유가족들과 그들과 함께 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바램들이 이루어지지도 않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삼보일배의 고행은 새로운 시작에 대한 희망이 될 것임은 분명합니다. 그것이 바로 신앙이기 때문입니다.

호구(虎口)에 걸린 국제시장

capture-20150527-205122-vert어제 워싱톤에 있는 Woodrow Wilson Center에서 보낸 이메일이랍니다. 한국영화 국제시장을 미 연방의회에서 특별 상영하니 초대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날 연사로 나선 네 사람들 안호영 주미 한국대사와 영화 국제시장 윤제균감독을 빼고 두 미연방하원을 찾아보았답니다. 한국에 대한 정책 또는 한반도에 대한 그들의 시각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지요.

우선 뉴욕출신 민주당 소속의원인  Charles B. Rangel은 현역의원들 가운데 두번 째로 최장수 의원인 아프리칸 아메리컨(흑인)입니다. 그는 오랜 의정활동 대부분을 아프리칸 어메리컨(흑인)들과 세금문제에 주된 관심을 보였다고 합니다. 물론 국제관계에도 의견을 표명하곤 하였지만 한국문제나 한반도 문제에 대한 특별한 입장을 보인 적은 없는 듯 합니다.

다만 1930년생(올해 85세)인 그는 1948에서 1952년 사이 미군에 복무하면서 한국전쟁에 참전을 했습니다. 특히 영화 국제시장의 초반 무대가 되었던 1.4 후퇴시 중공군과의 접전으로 부상을 입었다고 합니다.

그가 이번 행사에 초대된 연유를 알 수 있겠습니다.

또 다른 연사인 미하원 외교위원회 의장인  Ed Royce는 2013년 북한 제재법안을 주도한 사람 가운데 하나로 북한문제 뿐만 아니라 중동문제에 있어서 강경파에 속하는 공화당 소속 의원입니다.

자! 이쯤 좀 감이 잡힙니다. 영화 국제시장이 미 연방의회에서 특별 상영되는 까닭 말입니다.

6.15 남북 공동성명 15주년 되는 날인 오는 6월 15일 대한민국 대통령 방미를 앞두고  벌이는 행사라는 것입니다. 비단 이 행사 뿐만 아니라 미국 상하의회 그리고  한반도와 연관된 각종 이익단체들은  대한민국 대통령을 환영하는 분위기를  띄우고 있답니다.

그런데 가만히 그녀의 이번 방미 과정을 곱씹어 봅니다.

왜 하필 6월 15일일까 하는 것입니다. 이 상징에 모든 것이 담겨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6.15 남북 공동성명은 남북이 공히 한반도의 주인공으로서 한반도의 미래를 열자는 아주 큰 첫걸음이었습니다.

이번 박근혜의 미국방문은 바로 이 6.15 공동성명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기반에서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박근혜의 이번 방미길의 원인이 된 것은 바로 새롭게 강화된 미일 군사동맹이기 때문입나다.

미일 양국은 지난 달 아베 방미 기간중에 일제시대 있었던 종군위안부를 인신매매라는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지난 역사를 잊자고 세상을 향해 천명한 바 있습니다.

그 바탕에서 대북공조와 동북아 국가간 협력방안과 한미간 파트너쉽 확대를 이야기하자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아주 솔직 간단히 요약해 봅니다.

“첫째 지난 일은 잊고, 둘째 미일의 우산 속에 들어와, 세째 미국산 무기구입에 돈 좀 쓰고, 네째 일본애들 말좀 듣고…”

올해 85살의 Charles B. Rangel가 스피커로 나선다는 국제시장 상영행사 이메일을 보면서 든 제 생각이랍니다.

“쯔쯔, 호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