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외로운 외길
평생 외길 걸어온 친구가 하나 있다. 이번 한국여행에서 꼭 가보고 싶은 곳은 바로 그 친구의 평생걸음이 녹아 있는 교회였다.
친구 이름은 김규복, 이젠 은퇴한 목사이다. 글쎄? 은퇴의 일반적인 뜻이 ‘하던 일에서 물러나거나 사회 활동을 그만두어 한가히 지낸다’라는 정도라면 그는 아직 은퇴가 아닌 현역목사다.
그와는 대학에서 만났다. 비록 곤고하였으나 아름다웠던 내 스물 무렵 1970년대를 함께 보낸 친구다. 그리고 1980년대 내가 이민 보따리를 꾸릴 무렵 그는 목사가 되어 대전 대화동에서 그야말로 맨땅에 머리 박듯 노동자와 빈민들을 위한 개척교회를 시작하였다.
물론 간간히 서로 살아있다는 소식과 어찌 지내는 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주고받기는 하였으나 다시 그의 얼굴을 보게 된 것은 사십 년이 흐른 2023년 가을 신촌 독수리 다방에서 였다. 아주 짧게 만난 시간이었는데, 만나고 헤어질 때 굳게 두 손을 마주 잡고 다시 꼭 끼어 안았었다. 젊었던 시절 아픈 경험으로 인해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그는 병 때문에 눈믈이 흐른다고 했고, 나는 가슴이 저며 속울음을 울었었다.
그 만남이 너무 짧아 아쉬웠고 미안했다. 하여 올라탄 대전행 KTX였다. 2024년 마지막 주일예배를 내 친구 김규복목사와 그의 평생 사랑이자 신앙의 동지인 황선업사모가 일구어 온 삶의 이야기들이 담긴 대전 대화동 빈들교회에서 드리려는 생각으로.
거의 오십 년만에 다시 가보는 대전은 이미 서울이었다. 그렇게 놀랍게 변한 도시에서 다시 만난 내 친구 김규복은 여전히 1970년대 청춘 그대로의 모습으로 우리 내외를 반겨 주었다.
그렇게 그날 함께 예배를 드리고, 식사를 하고, 차를 마시며 살아온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사역과 돌봄과 나눔 일들을 도맡아 하던 그의 아내 황선업 사모도 이제 은퇴를 한단다. 친구 내외의 은퇴 이후 이야기를 듣다보니, 이제 다시 그들이 새로운 사역을 시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헤어질 무렵 친구는 책 두 권을 주며 말했었다. ‘하나는 우리 공동체 역사고, 하나는 한국교회 갱신과 우리 한국사회 변화에 대한 신앙인들, 교회의 역할에 대한 내 생각이야…. 친구 이야기를 듣고 싶네….’
그는 그렇게 만나기 며칠 전 넘어져 갈비뼈에 금이 가 통증을 호소하곤 했다. 내가 집에 돌아와 들은 이야기다만 결국 병원 신세를 지고 나서야 완쾌되었다고 한다.
솔직히 나는 그에게 응답할 만한 삶을 살아오지 못했다. 그처럼 외길을 걷지도 못했거니와 그 외길 속에서 겪어냈을 외로움을 이해할 만큼 넉넉치도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그가 내 손에 쥐어 준 책에 내가 알고 있는 그의 모습이 담겨 있어 옮겨 적는다.
2023년 겨울, 목민 고영근목사님을 기리는 목민상 세번 째 수상자로 선정된 김규복목사를 축하하며 남긴 시인 서덕석 목사의 기록이야말로 내가 알고 있는 내 친구의 참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서덕석 시인의 시 <바닥을 기어서 하늘까지> 일부이다.
<전략->
가정해체로 버림받은 아이들/ 삶의 벼랑 끝에서 몸을 내던진 장애인들/ 해고와 탄압, 실업의 고통에 신음하는/ 노동자 곁을 지켰다./ 낯선 땅에서 어찌할 줄 모르는 이주민들과/ 정든 집 헐려 쫓겨난 철거민들의 눈물과 함께/ 독재의 폭압과 권위주의에 찌든 한숨 소리/ 분단의 아픔과 뭇 생명들의 단말마…/ 작은 가슴으로 품어야 할/ 상처와 고통이 밑도 끝도 없이 밀려왔다
가난한 빈들공동체에 달마다/ 월세일과 일꾼들의 월급날이 닥쳐오면/ 바닥을 치는 기도밖에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지만/ 찾아와 도움을 청하는 사람들을 내치지 않고/ 손을 맞잡아 따스하게 끌어 안았다/ 현장에서 만난 선한 친구들의 십시일반에/ 하나님도 감동하여 기적으로 응답하니/ 믿음으로 만들어 낸 이웃 사랑이었다
<중략>
빈들공동체의 목회사역은/ 바닥에 엎드려 기어가는 오체투지/ 높은 곳에 계신 하나님을 올려보는 대신/ 낮아지고 넘어져 신음하는 하나님/ 민중들 가운데 게신 주님을 향한다/ 가진 것 많고 넉넉해서 나누어 줌이 아니라/ 도시락을 꺼내어 주님 앞에 내놓아/ 오천 명이 배부를 수 있게 한 소년처럼/ 자기를 온전히 드리는 순종이었다.
사십 년을 대전시 대화동 공단마을에서/ 한 눈 팔지 않고 민중선교 외길로만 걸어 온/ 김규복, 황선업 부부의 섬김은/ 소외당하고 아파하는 민중들을 교인으로/ 발 닿고 눈길 가는 모든 곳을 교회로 삼았다/ 하늘과 땅과 바다에 두루 계시는/ 하나님 아버지와 어머니께 올리는 기도이며/ 민중과 함께하는 시위와 집회와 축제는/ 해방공동체를 경축하는 하늘 백성들의 잔치였다
‘없이 계시는 하나님’앞에서/ 아무 것도 없으면서 모두를 가진 듯이/ 가난한 삶이어도 더없이 풍요롭게 산/김규복, 황선업부부에게는 주변 모든 이들이/ 스승이요, 어버이요, 친구요 자녀였다/ 조지송과 정진동의 산업선교를 이어받아/ 배우고 익힌 것을 하나도 버리지 않고/ 곧이곧대로 실천하여/ 노동자, 농민, 빈민을 형제 삼아 더불어 사니/ 바닥에서 하늘에 가 닿은 참된 예배였다.
<후략>
내 친구 김규복목사와 그의 아내 황선업 사모, 두 내외 은퇴 후에도 꿈꾸는 세상 역시 바로 바닥을 기어 하늘에 닿는 예배 같은 삶이었다.
그 외로운 외길 평생 마다치 않는 내 친구 내외에게 내 온몸과 온 맘으로 보내는 박수와 응원을, 더하여 내가 그의 친구가 될 수 있음에 감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