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안 또는 평안함에>
2025라는 숫자가 아직 낯설건만 어느새 일월이 저물고 있다. 설날이라지만 내 삶과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별 감흥은 없다. 이젠 시간의 흐름에 대해서도 제법 넉넉한 흉내를 내보곤 한다.
2024년과 2025년 사이에 걸쳐 있는 이번 겨울은 앞으로 내 기억이 제대로 일하는 한, 제법 오래 그리고 깊게 간직하고 싶은 계절이다.
농사 짓는 친구들 셋이 있다. 지금 가장 가까이 살고 있는 정무훈의 농장은 내 집에서 20분 거리 펜실베니아에 있다. 그의 집은 그 농장 한 가운데 있다. 한국에서 제법 길게 선생 생활을 하다가 이민 와서 누구나 그렇듯 열심히 살다가 늙막 초입에 농장을 일군 그였다. 벌써 십 수년 전일이다. 그의 부친은 독실한 천도교인이었다. 그는 교인은 아니지만 그에게선 도인의 품을 느끼곤 한다. 가까이 살아도 이젠 일년에 한 두차례 얼굴 보고 지낸다.
경기도 벽제에서 농사를 짓는 병덕이는 내 불알친구다. 대기업에서 오를 때까지 다 올라갔다가 그만 둔 후 농사 짓기 시작한 지 거의 스무 몇 해가 지났을게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환경운동에 관심을 가졌던 터라 그의 농사 일도 다 그 운동의 일환이 아닐까 싶다. 젊은 시절 헤어져 근 반 백 년 사이에 서너 차례 얼굴 보았으니 십년에 한 번도 채 안 되는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예나 지금이나 똑 같은 모습으로 성실하고 크게 나서지도 그렇다고 결코 숨지도 않는 예수쟁이다.
경상북도 봉화에서 농사짓고 사는 서암 오시환은 조금 독특한 만남을 이어온 친구다. 대학 같은 과 후배인 그와는 1975년 봄에 담쟁이 넝쿨 덮힌 대학건물 앞에서 본 게 마지막이었다. 그리고 이십 수년이 지난 2002년 어느 날, 책 몇 권 산다고 기차 타고 나들이에 나섰던 뉴욕 맨하턴의 어느 한식당에서 우연히 그를 다시 만났었다. 그리고 얼마 후 그가 기차를 타고 우리 집에서 다시 만나 하루 밤을 묶었다. 그리곤 또 끝이었다. 그후 잘 나가던 대기업 홍보 카피라이터였던 그가 경상북도 봉화에서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름만 대면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잘 아는 기독교계 중, 고등, 대학교를 나온 그는 독실한 불교도이다. 내가 교인이라는 말보다는 예수쟁이라는 말을 좋아하 듯, 그 역시 불교도보다는 불자가 더 어울릴 듯하다.
지지난해인 2023년 가을에 한국을 방문 했을 때 그를 꼭 다시 보고 싶었었다. ‘가마!’하고 약속을 했었건만 짧은 일정에 쫓기다 보니 미처 그와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었다. ‘미안하다’는 내 말에 그가 보냈던 답글이었다. ‘우리 살 날이 그리 많지 않은데요….’
하여 이번 여행, 서울에 도착한 이튿날 바로 몸 실은 기차가 영주행 KTX였다. 내 또래 서울내기들은 기억할 것이다. 옛날 옛날에….그러니까 1960년도 어간에….. 서울에서 동해안으로 가려면 청량리에서 떠나는 중앙선을 타고 경북 영주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강원도 쪽으로 올라가는 자그마치 열 몇 시간을 야간열차에서 지냈던 시절말이다. 헌데 2024년 12월, KTX는 영주까지 고작 두 시간 조금 넘는 시간에 나와 아내를 데려다 주었다.
친구는 역 앞에서 반갑게 우리 내외를 맞아 주었다. 그리곤 일박 이일, 그는 정성을 다해 영주와 봉화 일대의 관광지들을 안내해 주었다. 무섬마을, 소수서원, 죽령 등등 내 장인의 본래 고향인 경북이지만 아내도 처음이고 나도 처음인 소백산 줄기줄기들을 두루 돌아보는 호사를 누렸었다.

그리고 봉화 외딴 마을 그의 농장과 집은 우주의 중심이었다. 그와 그의 아내는 농부인 동시에 예술가였고 봉사자였고 새로운 세상에 대해 꿈꾸며 실천하는 활동가였다.

그의 목공예와 아내의 도공예, 가죽공예와 캄보디아 오지에 마을을 세우고 학교를 세우고 자라는 아이들에게 예술을 심고, 경상북도 봉화 그 외진 마을에 봉잼(봉화에서 잼나게 사는 사람들)마을을 세우는 그 끝없는 열정이 솟아나는 곳, 바로 우주의 중심 서암 오시환이 사는 그 농장이었다. 그 곳에서 하루 밤을 묶은 우리 내외는 참 복 받은 삶이다.
그의 삶, 한 단 편인 캄보디아 열정을 담은 책이 나왔다해서 예매를 해두었다.

이쯤 농사를 짓고 사는 내 세 친구들의 공통점이다. 비록 모두 자주 만나지는 못했지만 우리 나이에 그들의 얼굴은 보면 볼수록 참 편안하고 평안함을 느낀다. 그래서 참 좋다 정말 좋다.
친구 시환이가 안내했던 2024년 12월 마지막 즈음 황혼이 내리던 영주 부석사에서 내려다보는 소백산 줄기의 그 아름다움에 잠시 내 지난 삶속에서 누렸던 신의 은총을 되새겼던 그 순간을 선사한….
이런 친구들을 내 살며 친구로 삼을 수 있어 얼마나 좋으냐! 참 큰 복이다. 그래 감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