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하루

하루는 늘 길거나 짧다. 또는 매우 더디거나 너무 빠르다. 모두 하루의 길이나 속도를 재는 내 잣대가 변덕스러운 탓이다.

하여 이젠 제법 노회해진 나는 하루를 시간의 흐름으로 느끼지 않으려 애쓰는 편이다.

그저 늘 쳇바퀴 속을 도는 일상에서 아주 작고 순간적인 느낌으로나마 단 한가지라도 마음 속에 이는 감사함 하나 붙든 하루면 족하다는 생각인데, 그조차 참 쉽지 않다.

그럼에도 오늘 같은 하루는 그저 감사가 넘치는 날이다.

아들 내외가 차려준 밥상으로 넉넉히 배 채우고, 맑은 눈빛만 마주쳐도 그저 좋은 손녀 안고 놀다 돌아오는 길, 아내와 둘이 마른 바람 그득한 초여름 공원 길 걸으며 보낸 하루 – 내 변덕이 끼어 들 틈이 없는 하루다.

걷다 땀 식히려 주문한 맥주 이름이 “Victory Summer Love”였다.

뒷뜰에 고추 모종 몇 개 심은지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고추가 달렸다. 나리와 다알리아가 꽃망울 품은 여름이다. 여름 사랑 품는데 나이가 뭔 상관이랴!

*** 고작 120쪽에 불과한 책을 두 주 째 손에서 놓치 못하고 틈나면 곱씹고 있다. 게다가 저자는 에세이라고 했건만 쉽게 책장을 넘길 수가 없다. 곱씹어 읽을수록 이즈음 뉴스들을 보면 답답해지기 일쑤인 마음을 잘 다스려 준다. 독일의 저명한 심리학자라는 아르노 그륀의 <복종에 반대한다>이다.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는 온전한 삶을 위해>라는 부제가 달렸다.

저자는 모든 분야의 권력 앞에 복종해 온 인류 또는 개인의 어두운 역사를 이야기하며, 그 복종의 원인과 의미를 설명한다. 그는 근본적으로 낙관적이다. “역사상 가장 잔혹한 범죄들은 항상 (권력에 대한) 복종으로 저질러졌”지만, 역사는 분명 사람들이 “복종을 반대”하는 방향으로 전진해 나아 간단다. 이 책의 마지막 문장이다. “용기와 관심, 열린 생각이야말로 복종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이다.

거짓 앞에서(나 자신이 저지르는 거짓을 포함하여) 복종하지 않는 삶을 위해 기도해 주시는 멀리 홍목사님과 이어진 연대로 그 기도에 응답하려는 옛 벗들이 있어 나도 낙관주의에 빠져 보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