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날에

아버지의 날입니다. 아주 편하고 여유롭고 마음 넉넉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뜰일도 하고, 책도 좀 읽고 낮잠도 한숨 늘어지게 잤습니다. 사이사이에 아들 며느리의 안부 전화도 받고, 독일 출장 중인 딸과 사위의 메시지도 받았습니다.

지난 일기들을 뒤적이다가 육 년 전 오늘, 제 가게 손님들에게 보냈던 이메일 편지가 눈에 들어 왔습니다.



제겐 아들 하나, 딸 하나가 있습니다. 두 해 전에 결혼한 아들은 가까운 필라에 살고, 딸 아이는 뉴욕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과는 일 년에 몇차례 얼굴을 봅니다.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던 때가 엊그제 같건만 어느새 그 때 일들이 가물가물 먼 옛 일이 되었습니다.

되돌아보면 아이들을 키우면서 제일 힘들었던 계절이 해마다 이 맘 때 였던 것 같습니다. 긴 여름방학이 시작되어 아이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게 되지만, 우리 부부는 그 시간을 세탁소에서 보낼 수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때론 아이들을 데리고 세탁소에 나와 함께 있곤 했었지만, 세탁소 특유의 여름 더위를 아이들과 함께 하는 것은 곤욕이었답니다.

제가 무지했던 탓도 있었고, 게을렀던 요인도 있었지만 제 형편에 맞게 아이들을 보낼 summer camp나 여름방학 프로그램을 찾아 아이들을 보내는 일도 참 쉽지 않았답니다.

특별히 아이들과 함께 여행을 다녔던 기억도 없거니와, 하다못해 영화관을 함께 찾았던 일도 거의 없었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아이들에게 정말 미안하고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엇나가지 않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잘 자라준 아이들이 참 고맙습니다.

Father’s Day 아침에 제 두 아이들이 생각나서 몇 자 적어 보았답니다. 부끄러움으로 말입니다.

한가지 덧붙일 말이 있답니다. 제 부끄러움을 감싸는 감사함에 대한 것입니다. 오늘, 저와 아이들이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감사함으로 하루 하루를 즐기며 살고 있다는 사실 말입니다. 아버지로서, 엄마로서, 아들로서, 딸로서 말이지요.

오늘, Father’s Day는 물론이거니와 한 주간 내내 감사와 기쁨이 넘치는 하루하루가 되시길 빕니다.

당신의 세탁소에서


<그 겨울, 일요일들 – − 로버트 헤이든

일요일에도 아버지는 일찍 일어나/ 그 검푸른 추위 속에 옷을 입고는/ 한 주 내내 모진 날씨에 일 하느라/ 갈라져 쑤시는 손으로 재속의 불을/ 다시 살려 놓았다./ 아무도 고마워하지 않았음에도.

잠에서 깨어난 나는 몸속까지 스몄던 추위가/ 타닥타닥 쪼개지며 녹는 소리를 듣곤 했다./ 방들이 따뜻해지고 나서야 아버지는 나를 부르셨다./ 나는 그 집 구석구석에 배인/ 분노를 경계하며 느릿느릿 옷을 입고는

추위를 몰아내고/ 내 외출용 구두까지 윤기나게 닦아 놓은 아버지한테/ 건성으로 말을 건네곤 했다/ 내가 그때 무엇을, 무엇을 알았을까/ 사랑이라는 엄숙하고 외로운 사명을.

Those Winter Sunday –   ROBERT HAYDEN

Sundays too my father got up early/ and put his clothes on in the blueblack cold,/ then with cracked hands that ached/ from labor in the weekday weather made/ banked fires blaze. No one ever thanked him.

I’d wake and hear the cold splintering, breaking./ When the rooms were warm, he’d call,/ and slowly I would rise and dress,/ fearing the chronic angers of that house,

Speaking indifferently to him,/ who had driven out the cold/ and polished my good shoes as well./ What did I know, what did I know/ of love’s austere and lonely offices?



그리고 오늘 읽은 책의 한 대목입니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알렉산더 버트야니(Alexander Ratthyany)가 쓴 <무관심의 시대>입니다.

<우리는 현재에(서) 우리의 과거를 만난다. 이 만남이 어떤 양상이 되는지는 현재 우리의 결정에 달려있다. —— 중략 ——- 현재는 미래가 지닌 가능성처럼 활짝 열려 있으며, 우리는 오늘 그 가능성을 얻기 위해 우리 자신의 양심과 싸우고 있다. ‘미래가 지닌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은,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는 운명이 아니라 특정한 운명적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기여와 가능성에 대해 말한다는 것이다. 가능성은 —— 중략 ——– (오늘, 여기에서)우리가 발산(행)하는 것 자체가 가능성이다.>

과거와 미래 모두 오늘의 나와 연관되어 있고, 오늘의 내 생각과 행동이 과거의 의미도 바꿀 수 있고, 미래의 가능성도 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게 나이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내 아이들에게 대해 켜켜이 쌓여 있는 미안함과 부끄러움 까지도 오늘의 내 생각과 행함에 따라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는 말일 테니 말입니다.  물론 세상과 연계된 모든 일도 그러하다는 말일 터이니 말입니다.

그래 또 오늘에 대한 감사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