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오월에

저마다 잊지 못하고 기억하는 날들이 있을게다. 자신과 가족들의 기념일부터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을 잊지 못하는 날들, 아니면 이런저런 공휴일들까지 평범한 여느 날과는 다른 날들 말이다.

내 경우엔 나와 가족들의 기념일들을 제외하고 남는 특별한 날들로는 오래된 햇수로 따져 , 7월 4일, 10월 17일, 10월 26일, 5월 18일, 4월 16일 그리고 10월 29일 등이다.

1972년 7월 4일, 대학 일학년 첫 방학을 맞은 나는 아버지의 고향인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유운리 작은 할아버지 댁에서 트랜지스터 라디오를 통해 이른바 7.4 남북 공동선언 소식을 들었었다. 그 무렵부터 내 아버지의 고향에서 전통은 사라지고, 돈(돈錢과 돈豚)이 모두를 삼켜 버렸다.

그해 10월 17일은 박정희 유신이 선포된 날로 당시 대학 일학년 이었던 내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던 날이었다. 학교 앞은 바리케이드를 치고 기관단총을 앞세운 군인들이 차지하고 있었고 그렇게 내 대학 일년이 끝나던 날이었다.

몇 해가 지난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밀실에서 죽고 내 스무 시절 젊은 인생은 또 한번 바뀌었다. 다니던 학교에서 쫓겨나 다소 엉뚱하게 신학 공부를 하며 작은 출판사를 하고 있던 나는 다시 학교로 돌아가 대학 마지막 학년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80년 5월 18일,  다시 학교로 부터 도망하는 세월이 시작되었고, 그 잊지 못할 오월항쟁과 참사를 건너 건너 그 당시 이른바 유언비어를 통해 들으며 몸을 떨었고, 이내 잊지 못할 치도곤을 당했었다.

한참 후 환갑 지난 나이가 된 2014년 4월 16일, 삼백명이 넘는 시퍼렇게 젊은 아이들이 산 채로 바다에 수장되는 모습을 멀리 이 미국 땅에서 생중계로 바라보는 충격을 겪었다.

지난해 10월 29일은 아무리 생각해도 믿을 수가 없다. 이태원은 내 어릴 적 추억들이 묻혀 있는 곳이다. 한남동 외가와 막내 이모의 신혼방 이태원은 외사촌들과 뛰며 놀던 곳이었다. 참사가 일어난 골목의 면적과 그 안에 있었던 사람들의 숫자는 내가 도저히 이해 불가능한 것이었다.

하여 내가 잊지 못하는 날들이 되었다.

따져보니 내가 한국에서 살았던 날들보다 여기서 산 날들이 훨씬 많다만, 내가 잊지 못하는 날들은 모두 한국에서 있었던 날들이다. 어쩌랴! 점점 더 그리 되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점점 더 이해 불가능한 사회로 빠져드는 듯한 이즈음의 한국사회를 바로 알아보고자 몇 권 읽고 있는 책들 중 하나, 검사 진혜원이 쓴 책 <진실과 정의에 대한 성찰>에서 건진 한마디.

진혜원 역시 인용한 말이다만, ”종교란 인간이 자신의 본성을 반영하는 방법이고, 신은 인간의 자기의식일 뿐”이라는 사회학자 루트비히 포이어마흐의 깨달음.

원컨대 조금씩 조금씩, 한걸음 한걸음씩 만이라도 사람다운 본성을 찾는 믿음과 이념과 시대정신을 갈구하는 사회로 나아가기를, 이왕에 만드는 신이라면 이웃과 더불어 함께 사는 신상을 만드는 사회가 되어지기를 비는 마음으로.

다시 맞는 5월 18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