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한 교인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다만 스스로 예수쟁이라고 여기며 사는 내게 매우 강력한 매혹적 언어로 다가온 책, <포기할 수 없는 약속>을 받아 들고 책장을 넘기는 저녁이다. 사실 원제보다는 부제가 내 맘을 끌었었다. <세월호, 그 곁에 남은 그리스도인들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34년째 안산 화정교회 목사로 살아오며 4.16목공소에서 세월호 엄마 아빠들과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박인환 목사는 ‘하나님이 물으신다면’이라는 글에 이런 경험담을 남기고 있다.
<”목사가 왜 이런 정치적인 일을 하느냐?”며 눈을 부라리는 장로도 만났고, “박목사, 아직도 세월호야? 이거 언제까지 하려고 그래 목사가 목회 해야지”라고 책망하는 선배 목사도 만났다. 서명을 받아 달라는 나의 부탁에 “세월호 가족들이 정치세력과 야합해서 돈을 더 많이 받으려고 그런다는데…”라며 곤란해 하는 후배 목사들도 여럿 보았다.”>
아직도 세월호와 함께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몇 번 쯤은 엇비슷한 질문을 받아보지 않았을까?
성서한국 사회선교사인 박득훈이 소개해 주는 윤후명의 시 <사랑의 길>을 몇 번이나 곱씹으며 읊조려 본다.
<먼 길을 가야만 한다./ 말하자면 어젯밤에도/ 은하수를 건너온 것이다./ 갈 길은 늘 아득하다./ 몸에 별똥별을 맞으며 우주를 건너야 한다./ 그게 사랑이다./ 언젠가 사라질 때까지/ 그게 사랑이다.>
그리고 동혁이 엄마 김성실의 기도다.
<그렇게 살기로 했다./ 인간의 소관이 아닌 일에 자책하며 분노하던 것에서 돌아서/ 그동안 멈췄던 사랑을 다시 해보기로 했다./ 악쓰고 우느라 돌보지 않았던 남은 가족들을 돌보기로 했다./ 여전히 우리는 진실을 알아야 하고 현실은 답답하지만/ 잃었던 웃음을 되찾기로 했다>
그래! 사랑이다.
포기할 수 없는 약속을 믿으며 손 맞잡고 때론 어깨 걸고 울고 웃으며 늘 아득한 먼 길 걸어가는 그게 사랑이다. 가다가 비록 스러지는 별똥별 하나 되더라도.
사랑 그리고 예수쟁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