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세사모 벗들 가운데 한국현대사를 깊게 공부하신 이가 추천해 주어 여러 해 전에 읽었던 책 <제주 4.3을 묻는 너에게>를 다시 꺼내 들어 책장을 넘겨본 밤이다.
제주 시인 허영선이 전해주는 <제주 4.3> 이야기를 읽다보면 한(恨)이 어찌 쌓이는지, 그 쌓인 한이 가슴을 어찌 매이게 하는지, 그 사월의 처절한 아픔이 내 것이 된다.
그 사월을 겪어내며 일본으로 피신해 살았던 시인 김시종은 그 사월을 이렇게 읊는다.
<내 자란 마을이 참혹했던 때,/ 통곡이 겹겹이 가라앉은 그 때/ 겨우 찾은 해방마저/ 억압에 시달려 몸부림치던/ 그 때,/ 상처 입은 제주/ 보금자리 고향 내버리고/ 제 혼자 연명한/ 비겁한 사나이/ 四.三이래 六十여년/ 골수에 박힌 주문이 되어/ 날이면 밤마다/ 중얼거려온 한 가지 소망/ 잠드시라/ 四.三의 피여/ 귀안의 송뢰되어/ 잊지 않고 다스리시라/ 변색한 의지/ 바래진 사상/ 알면서도 잊어야했던/ 기나긴 세월/ 자기를 다스리며/ 화해하라/ 화목하라
흔들리는 나무야/ 스스로 귀 열고 듣는 나무야/ 이렇게 아무 일 없이 뉘우침 흩날리며/ 봄은 또다시 되살아 오는구나.> – 김시종의 시 <사월이여 먼 날이여> 중에서
허영선이 이 책의 마무리 글에서 한탄하며 남기는 말이다.
<살기 위해 이 땅을 떠나 일본으로 향하던 이들, 그들은 떠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캄캄하고 불안한 항로, 똑딱선을 타고 가며 얼마나 떨었는가. 쓰는 내내 그 시국을 살아내야 했던 그 해의 눈빛들이 떠올랐다. -중략-
이것이 인간의 이야기인가. 수십년 동안 슬픔을 슬픔이라 말하지도 못했던 그들의 입을 대신해 이러한 방식으로 밖에 쓸 수 없었다. 이 광범위하고 거대한 비명을 어떻게 다 전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이제 2023년 사월.
자유민주주의라는 헛된 구호로 오직 제 뱃대떼기 불리기 바쁜 도둑떼들이 판치는 다시 아픈 사월 소식들을 보면서….
그래도 한풀이 희망을 품고 또 살아가야 할 터. ‘제주 섬의 봄날이 그냥 그대로의 봄날이 되는’ 그 날까지.
다시 아픈 사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