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에

다큐멘터리 영화 <김복동>을 보고 돌아온 밤, 영화의 마지막 내레이션이 귓가에 맴맴 돌며 떠나질 않는다.

“김복동, 그 이름을 기억해 주시는 사람이 되어 주시겠습니까?”라는 나를 향한 물음이었다.

<기억> – 내가 이해하는 한, 성서를 제대로 꿰뚫는 열쇠가 되는 말이 곧 ‘기억’이다. 다만 성서는 묻지 않고 ‘기억하라!’고 명령한다.

모세의 마지막 말들을 전하는 성서 신명기는 ‘기억의 신학 책’이라 할 만큼 ‘기억하라!와  ’잊지말라!’는 명령을 반복한다.

예수도 마찬가지였다. 바울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예수가 제자들에게 유언처럼 넘긴 말은 바로 ‘기억하라!’였다.

(내가 여러분에게 전해 준 것은 주님께로 부터 받은 것입니다.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날 밤에 빵을 손에 드시고 감사의 기도를 드리신 다음 빵을 떼시고 “이것은 너희들을 위하여 주는 내 몸이니 나를 기억하여 이 예를 행하여라”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고린도전서 11장 23-24절)

성서가 말하는 ‘기억하라!’는 명령은 단지 머리 속에서 떠나지 말게 하라는 뜻이 아닌 ‘삶’속에서 ‘함’을 이루라는 재촉이다.

일테면 ‘김복동을 기억하라!’는 말은 ‘김복동이 못 다 이룬 일을 내 삶 속에서 실천하라!’라는 명령이라는 말이다.

영화 <김복동>이 던져준 마지막 물음이 그렇게 무겁게 다가와 귓가를 떠나지 않는다.

‘세월호를 기억해 주시겠습니까?’, ‘바로 엊그제 이태원에서 일어난 참사를 기억해 주시겠습니까?’라는 물음도 마찬가지이고, 내가 살고 있는 이 땅에서 사람의 존엄을 망가뜨리는 숱한 행위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산다는 일 역시 매 한가지일 터.

기억에 대한 물음과 명령은 바로 신 앞에 선 이들에게 던져지는 것, 하여 사람으로 제대로 살게 하는 일.

기억에,

***필라델피아 소녀상 건립 추진 위원회 위원들의 치열한 실천과 도전에 존경을 더해 격려를 드리며.

unnamed photo_2022-10-30_21-45-41 photo_2022-10-30_21-45-41 (2)

이방인(異邦人)

때론 뉴스들이 너무 비현실적으로 다가와 믿기 어려울 때가 많다. 종종 내 이해의 한계를 벗어난 한국 뉴스를 접할 때면 이방인이 되어버린 내 처지를 돌아보곤 한다. 가까이는 오십 여년 전 기억이다. 내가 기억하는 유년 시절부터 스물 무렵까지 한남동, 보광동, 이태원동은 외가 식구들이 살던 곳이었다. 혼인 후 한남동 본가를 떠난 이모와 외삼촌은 이웃 보광동, 이태원에 새 살림을 차렸었다. 모두 어머니 손잡고 드나들었고, 조금씩 머리 굵어 가며 사촌들과 뒷골목 누비던 곳이었다.

이즈음 한국 뉴스를 통해 자주 듣는 용산의 어제와 오늘 사이에서 완전히 낯선 이방인이 된 내 모습을 보곤 했다만,  오늘 이태원 참사 뉴스는 내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먼 나라 소식으로 다가와 정말 낯설었다. 그런데 이상도 하지! 왜 이리 아픈지.

————————————————————————

참 아름다운 가을 하루였다. 아직 철이 덜 들어 하루를 헤아려 살기엔 이른 나이라는 생각으로 산다만, 계절은 세고 살아야겠다는 마음으로  이즈음 가을을 음미하며 산다.

텃밭 가을걷이를 하다가 허리 펴니 눈길 닿는 곳마다 그저 감사가 이어졌다.

그 넉넉함으로 하루 해를 보내고 맞닥뜨린 이태원 참사 뉴스였다.

사정이 어찌되었건 목숨을 잃은 대다수가 젊은이들이었 다니 안타깝기 그지 없는 일이다.

비록 이방인이 되어 산다만, 바라기는 거기나 여기나 편했으면 좋겠다. 두루 제 정신들 차리고.

내게.

DSC04925 DSC04927 DSC04929 DSC04932 DSC04934 DSC04937 DSC04939 DSC04941 DSC04944

가을, 휴일 하루

지난 여름 내게 눈 호사(豪奢)를 누리게 했던 글라디오스 구근을 거두었다. 참 고맙기도 하여라! 올 봄에 심었던 구근 수에 비해 숱한 종근들은 차치 하고라도 내년 봄에 다시 심을 실한 녀석들을 거의 세배에 달하게 거두어 갑자기 큰 부자가 된 듯 했다.

화단과 뒤뜰 여기저기에 수선화, 무스카리, 아이리스, 튜립 등속의 알뿌리들을 심고 나니 갑자기 짧아진 하루 해가 저물었다.

낮에 호미와 꽃 삽질 하다 문득 바라 본 하늘, 수리 한 마리 나무 꼭대기에서 한참을 두리번 하더니만 솟구쳐 날았다. 먹이 하나 찾았나 보았다.

하! 그 순간 문득 떠오른 후회 하나. “왜 그리 조급 했었을까? 나는…. 그저 한 계절, 아니 한 나절, 어쩜 그도 아닌 한 순간을 준비하지 않고 그 많은 시간들을 다 이룬 양 들떠 살았을까?”

한참을 하늘 바라보다 다시 호미를 들고 감사! 이제라도 이렇게 누리는 시간들에 대해.

** 씹는 맛의 즐거움 되찾은 날에. 먹는 즐거움이라니. 그저 넉넉한 감사!

DSC04906 DSC04908 DSC04914 DSC04919

DSC04901DSC04912DSC04922

옳은 싸움

내 어릴 적 성경을 심히 공박(攻駁)하는 사람들이 ‘모세가 백 이십 살까지 살았다는 게 말이 안된다’며 ‘믿음이라는 게 다 헛것이다’ 라고 하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암만, 당시만 해도 나이 칠십이면 정말 오래 살았다는 소리 듣던 시절이었다. 백세시대라고 하는 이즈음에 나이 백 이십이 전혀 불가능한 일도 아니거니와, 나이 칠십은 노년의 시작일 뿐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많다.

허나, 모든 믿음이란 게 각기 제 맘과 제 생각에 달린 일인 것이고, 나이 칠십이면 예나 지금이나  사람이 살만큼 산 것을 깨닫는 나이 아닐까? 어쩜 그게 내 믿음이기도 하고.

사실, 나이가 뭔 상관이랴! 예수처럼 서른 셋을 살든, 모세처럼 백 이십을 살든, 동박삭이처럼 삼천갑자를 살든 제 나름의 뜻에 따라 살다 가면 족한 삶이 아닐런지.

내 어릴 적이나 지금이나 세상 어지럽기는 매양 마찬가지다만,  “내 힘이 닿는데 까지 끝까지 싸우다 갈거야.” – 그 맘과 몸짓으로 살다 가신 어른들 여럿 생각 나고, 오늘도 여전히 그리 사는 이들의 얼굴도 떠오른다.

그들의 싸움은 평화롭게 더불어 함께 살아갈 이웃의 지경을 넓히는 일이었으므로.

오늘도 제 힘 닿는데 까지 작은 싸움들을 이어가는 내 참 좋은 이웃들을 생각하며.

*** 내가 살았던 남쪽을 ‘겨울 공화국’이라고 부르던 시절이 있었다. 내 푸르게 젊었던 날들을 보낸 시절이었다. 이제 노년의 초입에 서서 그 남쪽이 ‘사기(詐欺)단 독재 공화국’으로 변한 모습을 본다.

허나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낙관적이다. “내 힘이 닿는데 까지 끝까지 싸우다 갈거야.”하는 민(民)이 있기 때문이고 그 민이 곧 신(神)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예견했던 일이다만 나도 조만간 이웃 필라 한인 상가 앞에서 촛불과 깃발 들고 싸움에 또 나서야 할 듯.

photo_2022-10-16_21-39-19

틀니

길고 힘든 한 주간을 보냈다. 내 생업은 연중 이즈음이 가장 바쁠 때다. 비록 세탁업이 이젠 사양업이라도 하여도 나름 이 때가 되면 여전히 바쁘다.
바쁘면 늘 탈이 따른다. 잘 돌아가던 장비가 까닭 없이 속을 태우고, 도와주는 일손들에게도 개인적 일들이 생겨 자리를 비운다. 그런 일들이 함께 동시에 일어난 한 주간이었다.
그 중 최악은 내 틀니가 두 동강이 난 일이다. 비록 간혹 감기에 걸리기도 하고 코로나를 넘지 못하고 며칠 앓은 적은 있지만, 아직까지 큰 병치레 한 적도 없거니와 복용하는 약 하나 없이 산다. 다만 윗 잇몸이 부실하여 틀니를 사용한지 제법 되었다.
그 틀니가 반쪽으로 딱 쪼개져 치과로 달려갔더니 다시 만드는데 두 주가 걸린단다. 하여 각종 죽 끓여 배 채워가며 종업원 빈 자리 몫 때우며 보낸 한 주간이 내 힘에 매우 부쳤다.
‘뭘 먹지?’하는 생각에 쌓여 하루를 보내던 틀니가 망가졌던 이튿날, 아주 아주 오래전 내가 작은 도움을 주었던 K가 농장에서 사왔다며 사과 한 꾸러미를 놓고 갔다. 아침마다 그 사과를 갈아 먹는데 어찌 그리 달던지!
그 맛을 오래 이어가고 싶은 생각에 길고 길었던 한 주간의 일을 마무리하고 가을걷이 한창인 과수원을 찾았다. 틀니를 다시 찾기까지 내 끼니를 위해 이런 저런 과일과 채소들을 한 아름 안고 돌아왔다.
내 늙어가는 과정을 즐기며.
• 내 텃밭에 무는 튼실하게 크고 있다. 틀니를 찾는 그 날을 위하여!
DSC04880 DSC04884 DSC04885 DSC04888 DSC04890 DSC04891

일상(日常)에

전화벨이 울린다. 낯선 전화번호가 뜬다. 망설이다 받아 본다. 대뜸 들리는 소리 “저예요, 오랜만이죠!.” 내 응답, “누구신지?”. 큰 웃음소리와 함께 들여오는 소리, “아이~ 제 목소리도 기억 못해요?”

끝내 그가 이름을 대기까지 나는 스무고개를 넘어야했다. 참으로 내 감이 무뎌졌다. 그래서는 안되는 일이었는데 그에게 미안했다.

그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지내세요?”. 내 응답, “뭐 그냥 그 때나 지금이나 똑같지 뭐.”

오랜만에 만나거나 목소리 듣는 이들이 곧잘 묻는 물음, “이즈음 어떻게 지내느냐?”에 대한 내 응답은 마냥 같다. “똑같지요, 뭐” 아님 “그냥 숨쉬고 살지요.” 둘 중 하나다.

나만 그러하지 않을 것이다. 누구나 다 엇비슷하게 특별한 일 없이 똑같은, 지나가고 나서야 아쉬운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게 아닐까?

바로 일상(日常)이다.

누군가는 그 일상에 대한 도전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도 하고, 때론 그 몸짓으로 역사를 바꾸는 사람들도 있고.

돌이켜보면 그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던 모습의 연속이었다. 내 지난 시간들은.

이즈음은 틀에 박힌  내 일상이  점점 다르게 다가온다. 그날 내가 누리는 돌아올 수 없는 시간으로.

하여 예나 지금이나 똑 같은 내 응답, <“똑같지요, 뭐” 아님 “그냥 숨쉬고 살지요.”> – 그 속내는 예와 지금이 사뭇 다르다.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는 초가을 오후, 아내와 함께 정원 길을 걷다.

이른 아침, 다시 첫 서리 하얗게 내린 날에.

DSC04808 DSC04811 DSC04818 DSC04822 DSC04828 DSC04839 DSC04847 DSC04856 DSC04858 DSC04866

 

가족

내 세탁소 한 쪽 벽면엔 가족 사진 몇 장과 내가 찍은 사진 몇 장 더하여 내가 좋아하는 시 몇 편이 장식으로 걸려 있다.

오늘 거기에 작은 소품 몇 개를 더했다. 천조각들과 실을 이용해 만든 내 바로 아래 누이동생의 작품이다.

내겐 누나 하나 동생 둘 그렇게 누이가 셋이다. 부모들에게 아리지 않은 자식이 어디 있겠느냐만, 우리 네 남매 가운데 어머니 아버지에게 가장 아픈 손가락은 아마도 세 째 였을 게다. 한국전쟁 통에서 다 키워 잃었던 맏딸 몫까지 온전히  받아 안았던 내 누나는 내 부모의 기둥이었고, 막내는 어머니 아버지의 재롱이자 기쁨이었고, 아들 하나인 나는 늘 걱정거리였다. 세 째에겐 늘 아린 구석을 내비치시던 내 부모였다.

거의 오 분 거리 한 동네에서 사는 나와 누나와 막내와 다르게 세째는 멀리 떨어진 남쪽에 산다.

그 동생이 나를 깜작 놀라게 한 것은 달포 전이었다. 바느질 일을 하며 살았던 동생이 가게를 접은 지도 꽤 오래 되어 그저 손주들 보며 사는 줄 알았는데, 천과 실을 이용한 작품들을 만들어 작은 전시회를 열고 작품집도 만들었다는 소식이었다.

동생의 작품집을 받아 들었던 날, 나는 내 부모님들께 감사한 마음 일어 어머니 돌아가셨을 때도 흘리지 않았던 눈물 한 방울 찔끔했다.

동생의 작품집은 자연, 사계절 그리고 가족이라는 주제로 꾸며 있었다. 나는 그 주제들이 참 좋았다.

이젠 우리 남매 모두 노년의 길로 들어섰다. 이 길목에서 조촐하게 주어진 삶 속에서 신이 내려 주신 은총과 살며 만들어 나가는 관계 속에서 느끼는 감사를 드러내며 살 수 있다는 기쁨을 잠시라도 나눌 수 있음은 우리 남매들이 누리는 축복일게다.

아내와 매형, 매제들은 덤이 아니라, 이 관계의 실제 주인일 수도 있을 터.

*** 엊그제 막내가 내게 보낸 신문 기사 하나. 아틀란타 조지아 Gwinnett County 공립학교 올해의 교사상 semifinalist에 조카 아이 이름이 올랐다고.  열심히 사는 아이들에게 그저 감사!

capture-20221004-203112 DSC04775 DSC04778 DSC04780

계절

온종일 비가 내린다. 이런 날은 왠지 나른하게 게을러지고 싶다. 더더욱이나 오늘은 일요일이다. 허나 몸과 맘이 늘 함께 하지는 않는다.

바뀌는 계절에 따라 필요한 이런저런 집안 정리와 내 하고픈 일들로 종일 바쁘게 짧은 하루 해를 보냈다.

낮에 얼핏 창밖을 바라 보다가 나무들이 비를 맞으며 가을 옷을 바꿔 입는 풍경을 보았다.

그 풍경을 눈에 담아 하루의 감사를 곱씹었다.

계절이 내게 건네는 느낌을 만끽하는 오늘은 그저 감사다.

  • 다만 뉴스들은 언제나 그렇듯 비오는 날을 우울하게 만든다.
  • 한국뉴스는 더더욱 그러하다. 욕조차 아까운 인간들이 권력의 이름으로 판치는 세상처럼 우울한 일이 어디 있을까 싶다.
  • 허나 세상 모든 일에 다 계절이 있는 법, 좋은 소식 듣는 때가 또 오겠지. 어느 날엔가 문득.

DSC04772 DSC04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