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달 그믐, 2022

때때로 일기예보는 참 정확하다. 아침에 눈을 뜨니 일기예보대로 눈이 하얗게 쌓였다. 쌓인 눈 위로 쌀가루 같은 눈발이 쉬지 않고 있다.

곧 설날이란다. 오늘의 나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하루일 뿐이다만, 아득한 그 시절 섣달 그믐이면 어머니는 밤새 불린 쌀 한 말이 담긴 커다란 양푼(그땐 ‘다라이’라했던가?)을 목이 휘어질 듯 이고 방앗간으로 향하셨다. 나는 그 뒤를 졸래졸래 따르고.

덜컹덜컹 피댓줄 돌아가는 소리와 찜통에서 나오는 허연 김들이 가득한 방앗간  모습이 선하게 다가온다. 어머니가 잠시 목을 푸는 사이에 밤새 불린 쌀은 하얀 가루가 되어 커다란 사각 시루떡이 되고, 절구판을 거쳐 길고 따끈한 흰 가래떡으로 변했다.

어머니는 다시 목을 꼿꼿이 세우시고 그 무거웠을 가래떡 양푼을 이고 집을 향해 큰 걸음을 보채셨다. 나는 어머니가 손에 쥐어 준 따끈한 가래 떡을 양손에 쥐고 한입 베어 물며 어머니를 따라 총총 걸음을 걸었었다.

그래! 아주 아주 오래 전 일이다.

눈 내리는 오늘 아침 바람은 차고 매웠다. 눈을 치우고 가게로 나가려다가 포기하고 눈 그치기를 기다렸다. 이 게으름은 다 내가 나이든 탓이다.

문득 눈에 들어 온 작은 새 한 마리. 카메라를 찾아 들고 새와 함께 한참을 숨바꼭질 놀이를 했다. 카메라 셧터를 누르는 순간, 새는 어찌 그리 내 손놀림을 빨리도 알아채지는 푸드득 날아 자리 옮기기를 여러 번 하였다.  나는 놀이였는데 작은 새는 삶을 위한 몸부림 친 노릇이었는지도 모른다.

열 두시가 다 되어서야 눈이 멎었다.

추위를 이기노라 옷으로 몸을 두 배나 불리우고 드라이브웨이를 덮은 눈을 치웠다. 삽질이 이젠 버겁다는 생각이 든 것은 몇 해 전 일이다만, 그래도 ‘운동 삼아’라는 생각으로 snow blower를 장만하는 일은 매해 미루고 있었는데 이젠 ‘때가 되었나?’ 싶게 눈 치우는 일이 제법 고되다.

거의 다 마치었다 싶을 때가 가장 힘든 법이라고 온 몸에 땀이 흥건히 배이고 숨도 거칠어질 즈음 앞집 네이든(Nathan)이 성큼성큼 내게 다가 오더니만 “제가 도와 드립죠” 말을 건넸다. 그의 손에 들린 삽은 족히 내 삽 크기의 두 배는 되었다.

종종 친구처럼 이야기를 건네는 유태계 네이든은 사십대 중반 쯤(내가 나이를 물어본 적은 없으니…)이다.

그 덕에 쉽게 눈 치우는 일을 마친 후, “내가 탈진할 무렵에 도와주어 정말 고맙소, 눈 치울 때면 늘 그렇듯 마지막 조금 남았을 때 정말 힘든데… 정말 고맙소.”라고 던진 내 인사에 그가 보낸 답이 내 다리에 남은 힘을 쪽 빼놓았다.

“뭘요! 그저 아들처럼 생각하세요!.”

그랬었다. 네이든이 보기에 나는 그저 작고 초라한 노인이었다. 눈 치우는 일조차 버거운.

나는 사십대 사내를 친구로 생각하며 살고 있었고.

나를 깨닫는 순간이 바로 신(神)을 만나는 순간이라던가?

DSC03348 DSC03350 DSC03352 DSC03357 DSC03358 DSC03359 DSC03361

설마…

문득 생각난 박상원 선생이 떠나신 지도 이미 여러 해가 지났다. 지나간 모든 시간들이 바로 엊그제 처럼 느끼지는 것은 나이든 탓일게다.

한 동안 같은 마을에서 살았던 박상원 선생은 조금 외로운 분이셨다. 얼핏 날 선 듯  날카로워 보이는 인상이 한 몫 한 탓이었기도 하지만, 그의 환경이 그리 만든 연유도 있었다.

그는 나보다 거의 한 세대 나이차를 이를 만큼 까마득한 대학 선배였는데 나를 늘 ‘영근씨’라 불렀었다. 아마도 다 그의 외로움 탓이었을 게다.

그는 일본 제국주의 시절 미국에서 무장 독립투쟁의 꿈을 키웠던 우성(又醒) 박용만(朴容萬)선생의 장조카였다. 한 때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의 의형제이자 열성 지지자였던 박용만선생이 이승만의 정치적 천적이 된 이후 그의 자손들이 겪어 낸 이야기들을 나는 박상원 선생을 통해 많이 들을 수 있었다. 김대중대통령 시절 우성 박용만 선생께 추서된 훈장을 가족 대표로 받고 돌아 왔던 날, 상기된 모습의 박선생은 어린 아이 같았었다.

그는 은퇴 후 우리 동네를 떠나 따님이 사는 코네티컷으로 이주하였다. 이주 후에도 이따금 서로 간 전화 안부는 이어졌었다.

아이고, 세어보니 벌써 십 오년이 지난 저 쪽 세월이야기가 되었다. 그와의 마지막 통화가.

그가 노환으로 앓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을 어느 날, 그의 전화를 받았었다. 그의 목소리는 여전히 카랑카랑 쇳소리가 났었다.

“아니, 영근씨! 어째 이런 일이… 그런 쥐새끼가 한나라의 대통령이 되다니! 아니 5,6,7십년대 건설 노가다판에서 출세했다는 것은 바로 부정 부패 비리에 쩔었다는 이야긴데…그런 사기꾼이 어떻게 나라의 대통령이…”

그의 분노는 한동안 이어졌었다. 이명박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직후 그 무렵 일이었다.

시간이 흘러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었다는 뉴스를 보면서 나는 박상원 선생을 생각하며 혀를 찼었다. “쯔쯧, 박선생님 먼저 잘 가셨지 이 꼴 안보고…. 이 꼴 보셨으면 또 속 끓이며 전화 하셨을텐데…”

이즈음 한국뉴스를 보며 자꾸 돌아가신 박상원 선생이 떠오른다.

‘설마…’하는 마음이 크게 앞서기는 한다만, ‘설마…’하는 염려가 쉽게 가시지도 않는다.

문과 무를 겸비했던 <문무쌍전(文武雙全)>박용만선생이 역사의 그늘로 사라졌듯 지난 백 수십년 사이 아쉽게 저물어 간 뜻들이 얼마나 많을까?

이즈음 답답한 한국 뉴스들을 훑어보다 떠오른 박상원 선생.

무릇 한(恨)을 품고 살았던 우리들의 선대들이 비관적인 삶은 살지는 결코 않았으므로.

설마 이명박에 박근혜를 더해  수십 년 도둑질에 이골 난 놈들이 채워 준 완장 찬 텅 빈 머리 무당까지…

그리 부끄러운 일이야….

설마…

—————–

우성 박용만에 대한 글보기

사돈

캘리포니아 사돈댁에서 귀한 선물을 보내 주셨다. 손수 키워 거두시고 잘 말린 먹음직스런 대추를 한아름 보내 주셨다. 예상치 않던 일이라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의 크기가 꽤 컸다.

누이들 집에도 나누어 보내고, 마침 찾아 온 내 참 좋은 벗에게 조금 덜어 주었건만  우리 내외에겐 과할 정도로 남은 많은 양이었다.

대추차도 끓여 놓고, 대추 꿀차도 절여 놓았다. 사돈 덕에 올 겨울 감기 걱정은 내려놓아도 좋을 듯하다. 대추 넉넉히 넣은 약밥 만들기는 뒤로 미루어 두었다.

사돈사이 –  꽤 오랜 시간 내겐 어머니와 아버지와 장모와 장인 사이를 일컽는 말이었다.

나는 일남 삼녀 외아들, 아내는 일녀 이남 맏딸. 장인과 장모, 아버지와 어머니, 그렇게 사돈 내외는 이 미국 땅에서 기십년을 한 동네에서 살았었다. 다 지나간 이야기다만.

세월은 어느 사이에 나와 아내를 사돈 사이의 한 축으로 만들었다. 사돈 댁도 마찬가지일 터.

대추 꽃은 그냥 피고 지는 법 없이 열매를 반드시 맺는다고 한다지.

눈내리는 늦은 밤, 대추차 한잔 앞에 놓고 비나리 한마당.

‘그저 우리 아이들 건강하고 행복하게…’

한마음일 사돈내외에게 감사를.

20220116_170232AA 20220116_173254aaa

핸디 맨

며칠 전 일이다.

이즈음 내가 이런저런 집수리를 하느냐고 손을 빌리고 있는 김선생은 경험 많은 목수이자 핸디 맨이다. 내가 그를 안지는 오래 되었다만 내 집 일을 맡긴 것은 처음이고, 그와 특별히 이야기를 나눈 일이 없어 그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다. 그의 편에서 보아도 마찬가지일게다. 나에 대한 관심이 그의 삶에 끼어들 틈은 전혀 없었을게다.

집수리 자재들은 내가 주문을 하고 그의 손을 빌리고 있는데, 자재 주문을 하다보니 아무래도 그의 의견이 필요하다 싶어 내 컴퓨터 앞에 함께 앉게 되었었다.

내가 준비한 자재 목록을 찾다가 우연치 않게 그 전날 밤에 보고 있었던 유튜브 채널이 뜨던 것이었다. 그 때 김선생이 내게 던진 물음이었다.

“아니 이런 걸 다 보세요?  XX교회 분들은 이런거 안보시던데. 그 교회 다니시잖아요?” 김선생의 다소 황당한 물음에 나는 그냥 웃고 말았다.

그때 내 컴퓨터에서 돌아가고 있던 유튜브 채널은 ‘열리공감 TV’이었는데, 이어지는 김선생의 말이었다. “저도 이거 즐겨보는데요. 놀랬네요. XX교회 분이 이런 걸 보시다니…”

나는 또 웃었고, 그냥 좀 아팟다.

나는 이젠 토론을 즐기지 않는 나이가 되었다. 교회에 적은 두고 있으되  출석은 거의 드문 편이다.

누군가에게 정형화된 모습으로 기억된다는 것은 조금은 아프고 슬픈 일이다.

그렇다하여도 이즈음 자기 믿음 또는 패거리 믿음 속에 갇혀 사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마치 중세처럼. 내가 교회를 가까이 하지 않은 까닭 가운데 하나다만.

나 역시 갇힌 믿음으로 우기는 말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그래도, 사람사는 모습은 어제보다는 늘 앞으로 나아가는 법이다. 비록 때론 뒤로 돌아가는 형국처럼 보일 때도 있지만, 왈 나선형 전진이라고 하던가? 그렇게 앞으로 나간다고 믿는다.

그 맘으로 작지만 내 소출의 일부를 떼어내 보내도 즐거운 한국 유튜브 채널들이 있다. ‘열린공감 TV’와 ‘김용민의 평화나무’ 등이다.

핸디 맨 김선생의 손이 닿은 끝은 참 보기 좋다.

겨울아침

오늘따라 게으른 공사판 일꾼들은 보이지 않고 먼동 빛 조차 차가운 아침.

새들은 살을 에는 바람과  밤새 싸우며 날아 이 아침을 맞은 것일까? 아님  시린 아침에 서둘러 길 떠나는 것일까?

무심하게 가게 문을 열다.

아침에

20220110_065932

눈 내린 하루

때론 기막히게 들어맞기도 하지만 종종 호들갑으로 끝나곤 하는게 일기예보다. 어찌 딱히 일기예보 뿐이랴! 내일이란 늘 열려 있어야 사는 맛이 더하는 법이니, 무릇 예보(豫報)란 그저 준비하라는 지시어로 족하다.

일기예보 덕에 단단히 준비하고 맞은 아침, 예보의 호들갑에 비해 눈은 2인치가 조금 넘게 내렸을 뿐이었다. 눈을 치우려 나갔더니 날씨는 생각보다 꽤 추웠다. 집안으로 돌아와 방한복을 찾다가 눈에 들어 온 스웨터 조끼와 자켓에  오 륙십 년 전, 그 시절에 잠시 빠졌었다.어머니가 짜 주셨던 스웨터와 조끼를 참 오래도록 간직하고 있는 내가 잠시 대견스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 땐 참 추웠었다. 어머니는 그 추위에 넉넉히 견딜 수 있도록 두툼하지만 결코 투박하지 않게 멋을 내어 조끼와 스웨터를 짜 주셨다.

글쎄? 내가 몇 번이나 입었을까? 한 땀 한 땀 당신의 잠을 줄여가며 짜 주셨을 옷을 입었던 기억은 거의 없다. 십대 후반을 넘겨 이십 대로 접어 들  무렵 헛 꿈에 들 떳던  내게 어머니의 정성은 늘 뒷전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여도 2022년 그 옷들을 바라보고 있는 내가 일견 대견스럽다는 생각에 부끄럽진 않다.

어머니는 그렇게 오늘도 살아 계시기 때문이다. 내 안에서.


 

후배 양정용선생. 그를 안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와 단 둘이 밥을 먹거나 술 한 잔 나눈 사이도 아니다. 살아 온 이야기나 사는 이야기를 깊이 나누었던 기억도 없다.

필라세사모(세월호를 기억하는 필라델피아 사람들의 모임)을 통해 그를 만났고, 일을 통한 이야기를 간간히 해 왔던 사이이다.

모를 일이다. 그를 바라는 내 시선은 늘 애틋했다. 나와는 나이 차이도 제법 있고, 삶의 경험과 서로의 삶의 자리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른 점도 있었으니, 어떤 일에 대한 접근 태도와 이해가 다른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 그에게 나는 애틋함을 느끼곤 했다.

딱 열흘 전 일만 해도 그렇다. 그는 일어난 현상에 대한 반응에 순수했고 나는 노회한 편이었다. 아주 짧은 논쟁도 아니고 그저 의견 교환이 끝이었다. 그는 다시 거리에 섰고, 나는 일상에 충실했었다.

그러다 들은 그의 소식이다. 그는 오랜 동안 투병생활을 이어오고 있었다. 이즈음 들어 꽤나 회복 되어가는 모양새여서 참 좋았다. 그런 그가 갑작스런 병원행을 하였는데 의사들이 그만 손을 놓았단다.

아직 그의 나이 오십 대인데…

후배 양정용선생. 나는 그를 깊이 알지 못한다. 다만 그가 살아 온 시대와 환경은 알고 이해하며 살려고 애쓰는 편이다.

양정용선생. 비록 짧은 만남이었지만 저돌적인 그의 순수함은 오래 살아 있을 것이다, 내 안에.

기적을 비는 마음과 함께

271546698_4856361591110165_3814357262049761141_n

무릇 종말론적 삶이란 기억과 예보에 귀 쫑긋 세우고 사는 하루 하루가 아닐까?

눈 내린 날에.

욕심

어제나 오늘이나 욕심의 끝은 없다. 그 욕심 쫓다 보니 일이 제법 커졌다. 애초 부엌이나 조금 손대어 고쳐 볼 요량이었는데 그만 일이 커져 버리고 말았다. 다 버리지 못한 욕심 탓이다.

그렇게 시간에 쫓기다 맞이한 새해 첫 날, 장기 요양 시설에 계시는 아버지와 제법 긴 시간을 함께 보냈다. “이젠 말하기도 힘들고 귀찮다”고 하시는 아버지는 “아버지, 오늘은 정월 초하루… “라는 내 말에 “정월 …초하루, 정월… 초…하루…”를 몇 번 되뇌이셨다.

올해는 호랑이해, 1926년생 내 아버지가 여덟 번 째 맞이하시는 호랑이해이다. 두어 달 후면 꽉찬 만 아흔 여섯, 우리 나이 아흔 일곱 그야말로 백세 나이가 욕심이 아닌 아버지를 생각하다.

내가 세탁소를 막 시작할 무렵이었다. “얘야! 이 동네 이름이 Newark이구나. 여기가 너의 새 방주(New Ark)가 되길 바란다!” 따져보니 그 말씀을 하셨을 때의 아버지의 나이보다 지금의 내 나이가 훨씬 많아졌다.

그리고 오늘 아침 동네 뉴스. 거의 대개의 뉴스들이 어둡다만 오늘자 News Journal도 크게 엇나가지 않는다.

델라웨어 공중보건국(Delaware Division of Public Health)은  지난 주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수가 급증했으며 지난 수요일에만 하루 3381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Covid 팬데믹 이후 가장 높은 수의 감염자가 생겼다고 하였다. 또한 John Carney 주지사는Delaware주는 1월 3일 월요일부터 비상사태에 들어가고 정부가 운영하는 건물에 일반인 출입을 금한다는 발표하였단다. 모처럼 활기를 띠었던 UD(델라웨어 대학교) 겨울 학기도 전면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 한단다.

날씨는 예년에 비해 따듯하지만, 새해 첫 뉴스는 몹시 춥고 어둡다.

곰곰 이제껏 내가 맞아 온 새해 아침을 돌아본다. 아버지에게 들었던 새해 경험들도 되새겨 본다. 더하여 오래된 옛사람들이 남긴 새해 격언들도 새로 새겨본다.

그렇게 다시 만난 내 아버지에 대한 기억.

언제 어디서나 사람사는 세상에는 New Ark(새 방주)은 반드시 준비되어 있다는 생각을 해보는 새해 첫날 늦저녁,  아주 오래 전 옛사람의 말 한마디 되새겨 새해 욕심을 품어 본다.

<하느님 나라가 언제 오겠느냐는 바리사이파 사람들의 질문을 받으시고 예수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하느님 나라가 오는 것을 눈으로 볼 수는 없다.  또 ‘보아라, 여기 있다.’ 혹은 ‘저기 있다.’고 말할 수도 없다. 하느님 나라는 바로 너희 가운데 있다.”>

2022년, 새해 나와 이어진 모든 사람들이 함께 누리는 하느님 나라를 꿈꾸어 보며. 이런 꿈의 욕심은 끝이 없어도 좋겠지.

어제 밤, 아내와 함께 한 공원 풍경처럼.

DSC03234 DSC03239 DSC03273 DSC03275 DSC03303 DSC03322 DSC03324DSC03334 DSC0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