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의 노래

이른바 불알친구들은 제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수 십 년 만에 어쩌다 목소리를 들어도 서로간 이내 옛날 날(生) 모습으로 돌아간다.  내 경우에는 신촌 고향 친구들과 고등학교 이전 친구들이 대개 그러하다. ‘쨔샤’, ‘새꺄’ 등의 호칭이 절로 나온다.

청년 시절 이후에 만난 친구들은 아무래도 어디서 어떻게 만났느냐에 따라 각기 적당한 거리가 유지되기 마련이다. 물론 내 경우에 한한 것일 수도 있겠다.

내 스물 무렵, 1970년대 초반에서 1980년 대 초반에 연을 쌓았던 친구들이 있다. 친구 뿐만 아니라 선후배 나아가 많은 선생님들까지 대개의 경우 내 삶에 큰 스승들이었고, 짧은 시간이었지만 그들과의 교류는 내 삶에 누렸던 큰 축복이었다.

그 시절 우린 모두 동지(同志)였다. 유신 철페, 독재 타도, 민주화, 통일의 담론들로 뜻이 엇비슷했던 만남이었다.

세월이 흘러 그 시절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세상을 뜨셨고, 친구와 선후배들도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이제  저녁 노을 길들을 걷고 있다.

그 시절 벗들을 생각하면 일찌감치 떠나와 살고 있는 나는 늘 부끄럽다.

그 숱한 얼굴들 가운데 내가 아는 한. 그 스물 무렵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며 살아 온 친구가 하나 있다.

내가 이민을 오던 그 무렵 그는 빈들로 나아갔다. 그리고 오늘까지 그는 빈들에서 머물고 있다.  그 곳에서  <누군가 만져주>고 <누군가의 손을/ 무작정 기다리는> 사람들 곁에서 <나무>처럼 살아 왔다. 노동자, 이주 노동자,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그 나무 아래 함께 하는 빈들에서 오늘도 머문다.

그 긴 세월 나는 그를 본 적은 없다. 종종 전해 듣는 소식은 언제나 그대로다.

그는 조금 이른 은퇴를 했다. 듣기로는 젊은 시절 겪어낸 고문 후유증으로 몸이 안 좋다고 했다. 그가 은퇴 후 시집 한 권을 펴냈다. 그의 자전 시집이란다. 시집 제목이 <바닥이 하늘이다>이다. 그 답다.

그의 시집을 넘기며 그가 부른 삶의 노래들을 듣는다. 그 중 하나이다.

<나무>

한 곳에서/ 얼마나 오랜 세월 서 있을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친구들을 지나 보낼지/ 바람을 맞을지

당신의 사랑은 그런 것인가요/ 한 곳에 서서 한 곳만을 향하여/ 항상 손을 벌리는 것….

– 중략 –

하늘이 좁아/ 가리고 싶은 마음으로/ 넓게 안테나를 세우고/ 모든 것을 끌어 안으려는 마음/ 아무도 모르게 속삭이는/ 작은 소리에도 상처 받으며/ 견디고 또 견디며/ 뿌리 내리는 것

-중략 –

누군가 만져주지 않으면/ 누구와도 사랑할 수 없는 / 외롭고 쓸쓸한 사랑

그래도 모든 것을 주기 위하여/ 긴 세월을 참으며/ 무심하게/ 누군가의 손을/ 무작정 기다리는 것/ 노래하며 춤추며/ 기도하며 바라며

긴 세월 올곧게 빈들에서 머문 그는 이미 신이 믿고 쓸만 한 거목이 되었다. 신은 그를 잘라 참 좋은 교회당 하나 지으실만 하실게다.

마루 깔고 남은 잡목으로 나 혼자 즐길 의자 하나 만들어 놓고 낄낄대는 내게 이렇게 거목이 된 벗 하나 있다는 건 오로지 내가 누리는 축복이다.

DSC01017

김규복목사. 그의 건강과 아직 해야 할 많은 일들을 위해 기도하며.

지금 내가 사는 곳에서 <바닥이 하늘>인 세상을 위해 나름 꿈꾸며 사는 후배들과 함께 그의 자전적 시집을 나누려 한다.

자연에

세상 소식엔 제 잘난 사람들 이야기들이 넘쳐 나지만 하늘은 이미 가을이다.  사람살이 아직은 유한(有限)이 무한(無限)을 품을 수는 없다. 어쩜 신(神)은 그렇게 영원할지도 모른다. 그 사이에서 숱한 사기질과 도적질은 이어질 것이고. 그리고 또 때가 되면 산자들은 계절을 맞는다.

달포 전 허리케인 영향으로 심한 비바람에 나무가 쓰러져 차고 지붕을 덮쳐 놀랐던 앞집 사내는 나무들을 다 잘라 버려야겠다고 했었다. 그는 아직 젊다. 하여 행동도 빨랐다. 그의 말대로 거금을 들여 나무 열댓 그루들을 잘라 버렸다.

DSC009160918201613a

하늘이 너무 맑아 모처럼 어머니와 장인 장모 쉬시는 곳을 찾다. 반 마일 거리 떨어져 있는 두 곳 모두 맑은 하늘과 환한 빛을 한껏 누리는 장소라 참 좋다.

DSC00965DSC00968DSC00962

주문한 지 두어 달 넘어 어머니 묘소 앞 꽃병이 마련되었다. 여기와 저기 사이 그 틈새를 이용해 도적질 하기로는 장례업종도 만만치 않을게다. 알루미늄 캐스트 꽃병 하나에 팔백 불이나 요구하는 녀석에게 난 속으로만 외쳤었다. ‘이런 도적놈들!’ 맑은 가을하늘 아래서 만나는 어머니 앞에서 그 미움 그냥 가셨다.

돌아오는 길, 모처럼 동네 공원 길을 걸었다. 공원도 사람 손길이 닿아 만들어진 곳이긴 하지만 자연에 가까워 참 좋다.

DSC00977DSC00985DSC00991DSC00993DSC00994DSC00995DSC01004

저녁 나절 뜰을 돌보다 맛 본 세상, 꽃은 그림자도 아름답다.

DSC00959

놀이

구월 들어 ‘가족들은 모두 평안하시지요?’라는 인사를 건네는 손님들이 하나 둘 씩 늘고 있다. 지난 삼월 이래 처음으로 내 세탁소를 다시 찾는 손님들이다. 그렇다 하여도 가게는 여전히 한가하다.

그 한가함을 달래기 위해 놀이 삼아 시작한 deck과 patio 만들기도 거의 끝나간다.

DSC00948

놀이를 하다 문득 떠올린 고마운 얼굴이 하나 있다. 그가 없었으면 내가 감히 이 놀이를 시작할 엄두를 못 냈을게다. 그는 참 조용한 사람이었다.

삼십 수 년 전 이민을 온 이후  한 동안 나는 이 곳에 잘 적응을 못하고 있었다. 다시 돌아가야겠다는 생각을 굳힐 무렵 우연히 아파트 입구 우체통에서 한 사내를 만났다. ‘한국 분이세요?’ 그가 내게 건넨 첫 인사였다. ‘저는 조용합니다.’ 그는 그의 이름 조용하처럼 정말 조용한 사람이었다.

이튿날부터 그를 쫓아 다녔다. 주택 공사장에서 외벽을 붙이는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때까지 못질 한 번 제대로 해 본 적 없는 내겐 신세계였다. 그렇게 망치와 톱을 손에 쥐고 사는 하루 하루를 즐겼다. 이년 조금 넘는 세월을 그와 함께 했었다.

남자 형제가 없는 나는 누군가를 형이라고 부르는 일이 거의 없다. 더더욱이나 이민 이후엔 아주 없다. 매형 한 분 빼 놓고는 형이라고 부르는 이는 조용한 사람 딱 한 사람이다. 내가 여기서 이만큼이라도 살고 있는데 큰 도움을 준 고마운 사람이다.

내가 deck 만드는 놀이를 가능하게 해 준 사람이기도 하다.

살며 연을 쌓은 모든 만남들이 따지고 보면 삶에서 느끼는 고마움의 원천이어야 할게다.

펜데믹으로 하여 올 봄 평생 처음 뿌려 본 꽃씨들이  꽃이 되어 내 뜰에 나비들이 노닌다.

DSC00940 DSC00951 DSC00952

가게 매상은 여전히 반 토막을 채우지 못하는 형편이지만 서로간 가족들 안부를 묻는 손님들을 만나는 일은 즐겁다.

‘놀라워 놀라워, 도대체 믿기질 않아! 도대체 쬐그만 당신이 어떻게 혼자 저렇게…’ 이웃집 안주인이 던지는 호들갑 인사가 싫지 않던 날에.

유혹에

살며 내겐 전혀 걸맞지 않는 유혹의 소리를 들을 때가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여러 번 그 유혹의 소리들이 진짜 내 것인 줄로 알고 착각했던 때들이 있었다. 돌이켜 후회하지는 않는다. 그게 다 오늘의 나를 만든 모습이기 때문이다. 오늘의 나는 언제나 소중하고 감사의 시원(始原)이라는 생각으로.

내 세탁소 카운터 한 쪽 벽면엔 몇 개의 사진들과 시를 새겨 놓은 나무 판넬들이 걸려 있다. 사진들은 내가 찍은 풍경들이거나 가족 사진들이다. 딱 한 개는 야구의 전설적 영웅인 Babe Ruth가 빨래를 담은 hamper에서 낮잠을 즐기는 사진이다. 생각할수록 아린 옛 벗이 세탁소 잘 되라고 주고 간 것이다. 그리고 시 몇 편들은 내가 좋아하는 이해인 수녀의 시를 영역해 걸어 놓은 것들이다.

종종 손님들은 시와 사진들에 대해 묻곤 한다. 카메라의 기종을 묻기도 하고, 렌즈에 대해 묻기도 하며, 시인에 대해 묻기도 한다. 그때 마다 내가 하는 대답이다. “그저 취미이고 좋아하는 것들인데 전문적 지식이 전혀 없답니다. 그저 제 격에 맞는 싼 카메라이고, 시도 그저 제가 좋아할 뿐이지요.” 때론 그걸 팔라고 하는 이들도 있어 아주 난감할 때도 있다.

내가 또 하나 즐기는 취미 하나는 매 주 일요일 아침에 세탁소 손님들에게 띄우는 편지 쓰기다. 거의 15년 가까이 이어져 온 일이다. 이 편지에 대한 이야기는 참 많다. 언젠가 이 편지들을 정리할 여유가 있었으면 하는 바램 보다 아직은 편지 쓰기가 조금 더 이어지기를 바라는 욕심이 더 크다.

아무튼 그 편지 마무리에는 시를 한 편 씩 달려 보내곤 한다. 내가 좋아하는 시인들의 시편들이다. 때때로 편지를 쓰는 시간 보다 시를 고르는 시간에 몇 배나 많은 시간들을 쓰곤 한다. 주로 영미 시인들의 시편들이지만 때론 한국 시인들의 시를 번역해 보내주기도 한다. 아주 이따금 씩은 내가 쓴 것을 달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사족을 반드시 붙인다. ‘ 시(詩)가 아닌 제 낙서’라고.

그리고 어제 어느 손님에게서 받은 제안이다. 자신을 계간지 Dreamstreets의 편집장이자 시인이라고 소개한 그는 지난 몇 달 동안 내 가게를 드나들고 내 주말 편지를 받아 읽으며 생각 끝에 내게 제안한다고 하였다. 델라웨어 인근의 시인 등 예술가들이 함께 하는 동호인지 같은 것인데 오는 12월호인 겨울호에 내 글을 싣고 싶다는 제안과 함께 시인들이 함께 하는 모임에 참여해 줄 수 있겠느냐는 것이었다.

ds_65_large_cvr

나는 그저 웃었다. 그리고 말했다. ‘난 그저 세탁소 일을 할 뿐이랍니다.’

사실 이런 제안이 처음은 아니었다.

세탁소를 시작한 이래 종종 내가 걸려 넘어져 크게 낭패를 본 사건들은 대개 ‘아이고 세탁소 할 사람이 아닌데…’라는 유혹에 혹한 결과였다.

오늘 저녁 그가 장문의 이메일을 보내 왔다. 그가 쓴 시 몇 편들과 함께.

유혹에.

노동과 축복

노동절 연휴가 끝나간다. 여느 해 같았다면 세탁소가 활기를 띄는 계절을 맞아 마음이 분주해지는 시기이지만 올해는 그럴 기미가 전혀 없다. 가게 일은 그저 강태공이 되어 세월을 기다릴 뿐이다.

연휴 사흘 동안 빡센 몸 노동을 즐겼다. 나 혼자 들기 버거운 나무 목재들과 자갈과 모래 그리고 돌덩어리들과 땀 흘리며  씨름하며 보냈다.

지난 한달 동안 틈 나는 대로 땅을 파고 고른 땅에 지주를 세워 deck을 만들고, 자갈과 모래를 다진 땅 위에 pavestone을 깔아 patio 를 만들었다.

DSC00893 DSC00902 DSC00904 DSC00908

연휴 계획대로 정말 잘 쉬었다.

삼시 세끼와 간간히 특식까지 내 쉼의 원천이 되어준 아내에게 감사다. 한국학교 동료가 주었다는 포도는 쉼의 농도를 더해주는 설탕물이었다.

체질에 맞지 않아 잘 입에 대지 않던 맥주의 시원한 참 맛도 많이 즐겼다.

노동이 곧 쉼이고 창조이자 사랑이어야 한다고 외쳤던 이가 있었다. 신학자 도로테 죌레 (Dorothee Soelle)다.

신과 내가 노동을 통해 하나가 된다는 것은 뭔 크고 엄청난 일들이 아니다. 신과 나 사이에 중간자 없이 일에서 쉼을 맛보고 그 일을 통해 사람살이 기쁨을 맛본다면 그게 바로 천국이다.

쉼이든 일이든 신 앞에서(또는 신 앞에 선 내 모습에서) 하루의 즐거움을 느낄 수만 있다면 삶은 축복이다.

노동에

“미쳤어, 미쳤어, 모두가 미쳤어!” 가게 문을 들어서며 Rose  할머니가 내게 던진 말이다. 내 가게 30년 단골인 할머니는 부부 모두 유태계이고 남편은 은퇴 의사이다. “내가 여기로 오는 길에 바닷가로 가는 1번 도로를 거쳐왔는데 엄청 막히더라고… 아니 지금이 바다로 놀러갈 때냐고… 암튼 다 미쳤어!” 바닷가에 부부 소유 콘도가 있는 할머니의 코로나 상황에 대한 걱정이었다.

적당히 눙치며 대꾸해 주고는 그녀의 세탁물들을 차에 실어 준 뒤 눈에 들어 온 이웃 그로서리에 자리잡은 가을을 만났다. 누런 호박들과 장작들, 그래 어느새 구월이다.

DSC00874

눈을 드니 하늘빛도 이미 가을이다.

DSC00877DSC00878

같은 시간 엇비슷한 공간에서 사는 사람들일지라도 생각은 정말 저마다 다르다. 그래 아직은 사람인게지.

‘공감’ – 그 폭과 크기의 확대를 위해 누가 더 최선을 다하나 하는 싸움을 보는 이즈음.

DSC00833a

내 조촐한 아침 식사에 감사하며 내 노동의 한계를 측정하고 있다.

DSC00879DSC00885DSC00886DSC00890

Labor Day 연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