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혜가 쓴 <선량한 차별주의자>를 읽고, 아이리스 매리언 영 (Iris Marion Young) 의 책 <차이의 정치와 정의>를 주문하다.
연말 이리저리 할 일도 많다만, 어차피 시간이란 쪼개 쓰는 법이고 내 생각이 옳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쓰는 시간이 아까울 수는 없기 때문에 또 질러 본 일이다.
무엇보다 김지혜가 소개하는 아이리스 영의 이야기에 빠졌기 때문이다.
<아이리스 영은 ‘차이’라는 단어의 용례에 주목한다. ‘다르다’는 말은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사용되지 않는다. 배제되고 억압된 사람들 만이 ‘다르다’고 지칭되고, 주류인 사람들은 중립적으로 여겨진다. ‘중립’의 사람들에게는 수많은 가능성이 펼쳐져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몇가지 가능성만 있을 뿐이다. 결국 ‘다르다’는 말은 ‘서로 다르다’는 상대적 의미가 아니라 절대적으로 고정된 특정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차이’가 낙인과 억압의 기제로 생성되는 것이다.
마치 한국사회에서 ‘다문화’라는 말이 모든 사람이 다양한 문화를 가졌다는 뜻이 아니라, 문화적 소수자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때의 차이란 주류 집단인 ‘한국인’을 기준점으로 삼아서 다르다는 것으로서, 사실상 ‘정상’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양성을 강조하는 말로 종종 사용되는 ‘다름은 틀림이 아니다’라는 흔한 구호도, 여기서 ‘다름’이 주류 집단의 기준에서 ‘일탈’된 무언가를 지칭하고 있다면 그 자체로 ‘틀림’을 전제로 하는 형용모순이 된다.>- 김지혜의 ‘선량한 차별주의자’에서
나는 이 글을 읽다가 문득 고대 성서 이야기를 생성한 옛 히브리 신앙 공동체가 떠올랐다. 원천적으로 차이를 배제하는 신이 온전히 개입하는 세상을 꿈꾸었던 출애굽 시대 광야에서 이루었던 신앙공동체 말이다.
어쩌면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세상이란 신 없이도 신이 온전히 개입하는 세상으로 나가는 것이 아닐까? 아이리스 영이나 김지혜가 던지는 질문들은 그 과정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앞에 던져지는 것 들일게고….
꾸어야 할 꿈은 꾸되 현실은 내가 지금 여기서 살아가는 모습일 터이니…
내 아이들과 함께 멋진 곳에서 배 불린 안식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