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의 영화 기생충을 보다.
한인들이 많이 사는 대도시에서 상영한다는 소식을 듣고 보게 되었다. 영화 한편 보자고 몇 시간을 달려 도시를 찾아갈 만큼 광(狂)이 아니므로 그저 집에서 보았다. 이럴 때 도움을 주는 친구는 큰처남이다. 내가 ‘보고 싶은 영화가 있다’하면 그는 늘 그 길을 열어준다. 이 또한 내 복이다.
영화를 본 후 떠올린 소설들이 있다. 1950대 소설인 손창섭의 ‘잉여인간(剩餘人間)’과 1970년대 소설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다.
두 소설과 영화의 같고 다른 점들을 생각하며 흘러 간 반세기 시간을 덧붙여 보았다.
그 세월 동안 빠르게 변한 것들도 무수히 많지만, 어쩜 그리 예나 지금이나 똑같을까?라는 탄식이 일 정도로 변하지 않았거나 더디게 변한 것들을 생각케 한 영화였다.
‘냄새’ 와 ‘계단’으로 상징되는 불평등한 사회 – 그 불평등의 간격이나 폭의 크기는 접어 두더라도- 내가 코흘리던 옛 시절이나 노년의 문턱에 서 있는 지금이나 변함 없다.
영화 기생충 속 ‘박사장’의 모습은 이즈음 내가 접하는 뉴스 속 권력자 또는 가진 자들의 모습에 비하면 차라리 1950년대 인물처럼 낭만적이다. 이제 겨우 영화 개봉일에서 몇 달 지났을 뿐인데….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은 또 한가지. ‘냄새’로 인한 차별을 받지 않은 세상, ‘계단’이 없는 평평한 세상을 꿈꾸는 이들이 언제 어느 곳에나 살고 있다는…
지하실의 사내들이 사람대접 받으며 빛을 함께 쐬며 더불어 사는 세상을 꿈꾸는. 딱히 밝은 햇빛만이 아닐지라도.
*** 떠오르는 해를 보며 가게 문을 열던 게 엊그제인데, 어느새 가로등불과 달빛 아래 가게 문을 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