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에

이따금 일터와 집 사이에서 만나는 소소한 일상의 행복. 아이스크림처럼 순간일지라도. – 7/31/18

DSC02448A DSC02449A DSC02451A

John네 정원

John네 정원은 John을 쏙 빼닮았다.  이웃 집 염소들 까지.  John이나 아들이나 이젠 함께 늙어 간다.

Jul. 29. 18 – John네 잔치에서

DSC02433A

DSC02414A DSC02415A DSC02418A DSC02419A

DSC02413A

DSC02426A DSC02427ADSC02435A
DSC02442A

그를 위하여

엊그제 밤 평소 들을 수 없는 물 떨어지는 소리에 ‘뭔 비가 이렇게 많이 와!’하며 창문을 내다보니 지붕에서 폭포수가 떨어지고 있었다. 아뿔사! 며칠 푹푹 찌는 더위 속에 비바람이 오락가락하더니 나뭇잎들이 떨어져 지붕 처마끝 물통이 막힌 모양이었다. 물통(gutter)에 낙엽 방지용 가림막을 친다 친다 하면서 미루는 내 게으름 탓에 해마다 한 두차례 겪는 일이다.

오늘 오후 지붕에 올라보니 물통 끝 빗물 내리받이(downspout)로 이어지는 부분에 한 두어 줌 낙엽들이 물 흐름을 막고 있었다. 지붕 위에 오르내리는 어려움에 비해 너무나 하찮은 노동에 피식 웃음이 났다.

문득 지붕 위에 서서 바라본 동네 풍경은 보통 때와 다르다는 사실에 놀라 카메라를 찾아 들고 다시 오르내리며 사진 몇 장을 찍었다.

DSC02404

DSC02406

DSC02409

가까이 지내는 후배가 하나 있다. 그는 이 주 초에 세상 뜬 한국 정치인 노회찬 의원과 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 노회찬에 대해 궁금했던 나는 후배에게 물었다. 그가 어렸을 때 모습에 대한 기억에 대해. 후배가 내게 준 대답이었다.

‘한 땐 같은 반 이기도 했다. 나도 놀라 그에 대한 기사들을 다시 찾아 두루 읽어 보게 되더라. 참 잘 살다간 친구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학년 때던가 생활관 학습 시간이었을 것이다. 방학 동안 있었던 경험들을 나누던 시간이었는데 그는 좀 남달랐다. 여름 방학 내내 전국의 산을 찾아 돌아다닌 이야기를 했으니….’

나도 후배의 말에 크게 고개 끄덕이며 동조했다. 참 잘 살다가 간 삶이라는 생각에.

그저 내 삶에 스스로 만족하며 살다가도 옳은 길, 외길 걸으며 사는 이들을 보면 웬지 부끄럽고 부럽다. 그렇게 마지막 순간을 맞는 이들을 대할 땐 부끄러움과 부러움 이전에 딱히 뭐라 말할 수 없는 애틋함에 흐르는 눈물을 애써 삼켜야 한다. 특히 내 동시대 사람들에게는.

노회찬에 대한 기사들을 읽으며 내가 그를 정리하는 생각이다. <소외된 이들을 위해 스스로 소외된 삶을 마다치 않은 삶을 살다간 사람>

같은 시대를 살면서도 지하의 삶을 이해하며 지붕 위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사는 이들 앞에선 언제나 부끄럽고 부럽다.

그나저나 이젠 사다리 타고 지붕 위에 오르는 일은 멈추어야 하겠다. 다리가 떨려서…

소외의 힘에 대항하는 우리의 싸움에는 지름길이 없다. 이러한 힘에 대해서 정말로 승리를 거두려면 우리 사회의 새로운 기반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려는 도전을 받아드리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 사회 제도의 근본적인 변화에 따르는 온갖 고뇌와 아픔을 감수해야할 까닭이 있다. 오늘의 인간 소외를 극복할 인간 역사의 새로운 단계를 위해 온갖 모험적인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프리츠 파펜하임이 쓴 현대인의 소외에서

인간 소외를 극복하는 죽음의 모험까지 감수한 노회찬이라는 사람을 위하여.

(그의 죽음을 빙자하여 그의 삶을 내리깍는 허접한 모습의 이웃들에게 그가 날렸을 이른바 촌철살인 그 한마디를 생각하며… )

– 7/ 28/ 18

여름날 오후

DSC02402

무릇 삶에서 뜻을 따지는 일이 결코 사치일 수 없다.

비오는 여름날 오후에.  – 7/25/18

삼가…

마른 체구의 내가 그나마 건강을 유지하는 으뜸 요인은 잠이다. 하늘 무너지는 걱정이 있어도 누우면 나는 금방 잠에 든다. 그리고 이튿날 정해진 시간이면 어김없이 눈을 뜬다. 내 특별한 노력없이 되는 일이므로 내가 누리는 복 중 하나이다. 매일 정해진 시간에 짧고 깊게 낮잠을 즐기는 일은 덤으로 얻은 복이다.

그런데 어제 밤엔 두 시에 잠에서 깨어 뒤척이며 멀뚱거리다 아침을 맞았다. 그 달고 단 월요일 낮잠도 건너 뛰었다.

한 밤중 두 시라는 시간을 확인하는 일은 매우 낯선 일이 였음으로 ‘이게 뭐야! ‘ 하는 생각이 앞섰는데 이내 머리 속에 떠오른 생각은 잠들기 직전에 보았던 ‘노회찬’에 대한 비보였다.

그의 죽음이 내 잠을 앗아갈 만큼 내가 그를 아는 것은 아니다. 나는 그를 만나 본 적도 없거니와  평소 내가 그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어떤 아린 것이 내 잠을 자꾸 쫓아 내어 그대로 아침을 맞고 말았다. 그리고 월요일 그 단 낮잠 까지도 그의 죽음에 대한 생각에 달아났다.

나는 모든 삶에 뜻이 있다고 믿는다. 죽음 또한 마찬가지다. 삶과 죽음이 하나라는 생각은 그것이 이어진다는 믿음 때문이다. 하여 모든 삶과 죽음에는 깊은 뜻이 있다. 그 뜻은 죽은 자가 새기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자들이 새긴다. 그게 사람이 사람인 까닭이라고 믿는다.

나는 노회찬의 죽음 앞에서 부끄럽다. 매우 부끄럽다. 그와 동시대 같은 공간에서 삶을 나눈 적은 없지만 웬지 그냥 부끄럽다.

그저 그 부끄러운 생각에 딱 하루 내가 잠을 잃었는지 모르겠다.

“누굴 원망하랴. 참으로 어리석은 선택이었으며 부끄러운 판단이었다. 책임을 져야 한다.” 그가 남겼다는 유서에 있는 글이란다.

부끄러움을 잃어가는 시대를 향해 그가 삶과 죽음으로 이어지는 그 순간, 그 처절한 순간을 던져 그가 꿈꾸었던 진보적 외침을 외친 것은 아닐까?

그의 죽음에 대해 두루 말 많은 이들의 말은 이어질 것이다. 그게 또 사람사는 세상의 한 모습일 터이니.

묘하다. 오래 전 투신으로 시대의 아픔을 안고 떠난 소설 속 주인공 이명준에게 생을 부여했던 최인훈의 부고를 함께 듣다니.

아마 나는 오늘 밤 깊은 잠을 즐길 것이다. 내 부끄러움은 늘상 값싼 것이었으므로. 다만 엇비슷한 내 또래 노회찬이라는 이름은 오래도록 아리게 남을 것 같다.

사람들

오랜만에 John이 가게에 들렸다.  John은 내 오랜 친구이자 선생이다. 지금은 빈 상태로 오래 되었지만 내 가게 옆엔 Radio Shack이 있었다. Malmstrom John은 바로 그  Radio Shack Manager로 오래 일했던 사람이다.

내가 세탁소를 처음 열었던 삼십 여년 전 그 때도  John은  Radio Shack Manager였다. 그는 매우 친절한 사내였다. 당시 막 새 가게를 열어 모든 것이 낯선 내게 그는 아주 자상한 조언들을 아끼지 않았었다. 드라이클리닝 기계와 장비들을 처음 들여오던 날 그가 내게 했던 말을 아직도 또렷이 기억하고 있다. “친구야! 새로 마련한 네 장난감으로 돈도 많이 벌고 네 인생을 맘껏 즐길 수 있기를 바래!”

그렇게 오랜 동안  가까운  이웃으로, 친구로 선생으로 매일매일 얼굴을 마주하던 그와 어느 날 멀어지게 되었다. 그가 그만 일을 잃고 말았기 때문이었는데,  그가 떠난 Radio Shack은 활기를 잃더니 어느 날 끝내 문을 닫고 말았다.

해마다 7월이면 John은 그의 집에서 가까운 이웃들을 초대해 큰 야외 파티를 연다. 어느 해 부터인가 우리 부부도 그 파티에 단골손님이 되었다. 그러다 최근 몇 해 들어 그 때마다 이런 저런 일들이 겹쳐  함께하지 못했었다.

John은 이 달 말에 있을 그의 잔치에 꼭 참석하라는 말을 전하기 위해 내 가게에 들렸던 것이었다. 이즈음 어떻게 지내느냐는 내 인사에 일흔 다섯 살 John이 웃으며 한 대답이다. “벌어 놓은 돈, 약값으로 쓰면서 잘 지내지!”

활짝 웃는 광대 분장과 옷차림을 즐겨했던 John이 웃으며 돌아서는 모습을 보며 거의 30년이 다 되어가는 세월을 잠시 되돌아 보았었다.

그의 뒷모습을 보며 딱히 무어라 표현할 수 없는 쓸쓸함과 행복감에 잠시 젖었었다.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시간에 대한 쓸쓸함과 누군가 서로를 기억해 주는 이웃이 있다는 행복감이었다.

어제는 하늘의 뭉게구름이 참 아름다웠었다.


이 달초 여행길에서 얼핏 스쳐 지나갔던 사람들이 사진 속에 남아있다.

점점 더 팍팍해 지기만 하는 삶을 토로하던  내 또래 그 섬의 토박이 관광차 택시운전사 할아버지.

아무리 적게 잡아도 70대 후반의 할머니였던 lyft택시 운전사, 그녀의 차에는 핸디캡 스티커가 걸려 있었다.

DSC02159

관광 여객선 안 일꾼들 중엔 영어가 되고 몸값이 싼 필리핀계와 인도네시아계들이 많았다. 그들에게서 영어 안되고 몸 값만 쌌던 내 모습이 잠시 어른대기도 했었다. 일본과 벨기에의 월드컵 경기가 있던 날선상에서 우리는 늦은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벨기에가 역전승을 거두던 순간 그들과 우리는 까닭없이 한 패가 되였었다.

DSC01901

옛날 내 고향 신촌 기차역 앞 서커스 천막을 떠올렸던 공연 속 주인공들과 얼굴색과 나이에 걸맞게 나뉘어 즐기던 사람들 속에서 나와 아내는 그저 구경꾼이었다. 까만 사람들 속에서 까만 가수가 자마이카풍의 노래를 부르던 연회장에 우리 내외가 오래 앉아 즐겼던 까닭은 까만 내 며느리와 아들이 생각났기 때문이었을게다.

DSC02122

DSC02123

DSC01954

DSC02141

해변 관광지 번화한 거리에서 “회개와 예수 천국”을 드높이 들고 있던 할머니는 그 거리에서 가장 가난한 차림이어서 아팠다.

DSC02342

그리고 그 거리에서 가장 행복해 보였던 부부는 아동복 코너에서 옷을 찾는 나보다도 작은 이들이었다.  끊임없이 속삭이며 해변을 향해 걷던 그들의 행복한 모습에 그 누구도 특별한 시선을 주지 않았던 그거리의 사람들에게서 나는 아직은 남아있는 이 땅의 희망을 보았다.

DSC02288

여전히 일상 속 헛것에 취해 비틀 거리기도 하지만….

DSC02362

그 여행 길에도 하늘엔 푸근한 구름이, 그리고 내 곁엔 우리라는 이름으로 아내와 벗들이 함께 했었다.

DSC01832

여름

아침 빛나는 제 모습을 가린 안개에 한껏 심술이 돋았는지 해가 온종일 뜨거웠다. 이런 날엔 도인(道人) 흉내가 제 격이다. 비단 세탁소 뿐이랴! 더위 속 노동이 일상인 이들을 위하여! (7. 16. 18)

DSC02383 DSC02384 DSC02385

 

꽃병

칠월에 동네 어딘들 덥지 않으랴만 내 세탁소의 더위도 만만치 않다. 오늘 내 세탁소의 더위를 식혀 준 꽃병 하나. 딸아이가 더위 속 제 어미를 생각해 보내 준 꽃다발이다. 아내는 들어오는 손님들에게 마냥 자랑이다.

나는 그저 웃음만 흘릴 뿐.

  1. 1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