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단상 이제(斷想 二題)

  1. 추억

두어 달 사이 벌써 세번 째 장례식장을 찾는다.  고인들은 노년기에 이르러 이민을 오신 일 세대들로 세 분 모두 90 가까운 일기를 마친 분들이다. 1920년대 후반에 태어나셨던 분들이니 곤고한 시대를 겪어 온 이들이다.

오늘 찾아가는 분은 살아 생전 또래 어르신들 사이에서 ‘장군’으로 불리었던 이다. 부리부리한 눈에 사내다운 풍모 뿐만 아니라 그가 살아온 이력 때문에 붙여진 애칭이다. 한국전 참전 용사였던 그는 영관급 장교로 예편한 이후 경찰에 투신하였다. 1960-70년대 늘 뉴스의 중심이 되곤 하던 서울 주요지역들의 경찰서장을 두루 거치고 은퇴 이후 우리 마을에서 여생을 보내다 떠나셨다.

늘 과묵하고 만면에 웃음을 잃지 않았던 그와 잠시 시간을 함께 하였던 때가 있었다.

어느새 스무 해 전 일이다. 당시 알고 지내던 은퇴 기자 양반이 있었다. 지금이야 쓰레기 소리를 듣는 신문이 되었지만 60, 70년대만 하여도 한국을 대변하는 신문 소리를 듣던 곳에서 기자 노릇을 했던 분이다.

어찌어찌 이야기 끝에 ‘장군’과 ‘은퇴 기자’ 두 양반이 그 당시 경찰서장과 출입기자 사이로 연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두 양반이 서로 만나고 싶다고 하여 내가 자리를 주선한 적이 있었다.

가벼운 술자리에서 두 어른은 옛 시절을 추억했다.

나는 두 어른에겐 추억이 된 옛 시절 이야기들이었지만, 그 시절을 아픔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익숙하였기에 두 어른과는 그리 가까이 지내지는 못했다.

장례식 가는 길, ‘장군’을 추억하며 역사를 돌아보는 까닭이다.

photo_2017-09-01_00-46-23

(세월호 해외연대 국가와 도시들)

  1. 기억

역사 또는 지난 일들은 누군가에겐 추억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아픔 서린 한이 되기도 한다. 뿐이랴! 또 다른 누군가에겐 새 세상을 여는 기억이 되기도 한다.

내가 세월호 참사 소식에 귀 기울이기 시작한 때는 참사가 일어나고 한참이 지난 후였다. 물론 당시 실시간으로 전해오던 황망한 소식을 쉽게 잊을 수는 없었지만 딱히 내가 해야 할 일은 전무하다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몇 달이 흐르고 나서야 이웃마을 필라델피아에 ‘세월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어찌 연이 닿아 모임에 이따금 얼굴 내밀어 내가 살아가는 까닭을 찾기도 한다.

다음은 지난 10월 말에 서울에서 열렸던 한 행사를 소개하는 어느 기사 내용이다.

“진실은 국경을 넘고 저항은 인간을 찾는다.” (수전 손택)

세계 34개 도시의 참가자로 이루어진 4.16해외연대 서울포럼이 닷새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달 30일 폐막됐다.

이번 행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온라인상에서 연대해 온 재외동포들이 상호 협력을 구체화, 공고화 하기 위하여 개최한 최초의 오프라인 모임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4.16해외연대의 형성과 활동영역 확대 과정에 관한 브리핑(전희경, 애틀랜타 세사모)을 비롯, 재외동포사회 민주진영의 활동사(오복자,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세사모), 활동환경(김이제이, 뉴욕 뉴저지 세사모), 재외동포사회 풀뿌리 운동이 성찰할 의제(이은희, 프랑크푸르트 민주평화투명) 등의 발제가 있었다.

또한 활동주체 운영방식에 대한 사례 발표(박준영, 인도네시아 4.16자카르타촛불행동), 이미지로서의 세월(박정후, 세월호를 기억하는 몬트리올 사람들), 해외 활동 지역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이호정, 필라델피아 세사모), 재외 선거 시스템 개선 방안(김수야, 4.16파리연대/이켈리, 세월호를 기억하는 토론토 사람들) 등 다양한 발제 및 발표를 통해 재외 국민과 재외 동포의 정치 참여 조건과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26일, 안산 분향소와 기억교실 방문으로 ‘416 해외연대 서울포럼 2017’의 첫 문을 연 4.16해외연대는, 포럼 일정 외에도 광장 전시회, 촛불집회 1주년 대회 등 세월호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등 알찬 일정을 소화했다.

필라델피아에서 두 분이 이 행사에 참여하였다. 지난 주간 우리는 행사에 참여하고 돌아 온 두 사람에게서 행사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었다.

많은 이야기들 가운데 가슴에 깊게 새겨진 이야기 한마디다.

“포럼 현장과 광화문, 안산, 진도, 팽목 등지를 돌아보며 마주했던 유가족들의 치열함 앞에서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이란 너무 초라했어요. 안타까움과 미안함 뿐이었지요. 그런데 그런 제게 유가족 한 분이 이런 말을 했어요. ‘당신들이 기억해 주는 것 만으로도 우리에겐 큰 힘이 된다’고요”

나는 아주 작게는 체험을 통해, 대부분은 알량한 정보와 지식을 통해 멀게는 해방 이후에서 가깝게는 세월호 참사까지 누군가에게 한을 품고 살게 한 숱한 사건들을 기억한다. 단지 기억 뿐, 기억이 누군가의 한을 폴어 준 일은 없다.

세월호는 그 관점에서 확연히 다르다. 기억이 새 역사를 쓰고, 새 세상을 열고 있다. 일시적 한풀이 운동이 아니라 일상으로 녹아져 끊임없이 이어지는 운동이 되었다. 기억은 그 운동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