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라웨어 한인축제

사람 사는 세상은 결국 하나님 나라로 가까이 가고 있음을 믿는다. 그게 내 믿음이다. 델라웨어, 이 곳에 산지도 제법 되었다. 잠깐인 듯 한데 그 세월 의 흐름 속에서 어느새 저물어가는 나이가 되었다. 내가 이 동네 한인사회 종 노릇 흉내를 내던 때가 벌써 십 칠팔 년 전 일이다. 그 무렵만 하여도 “Korea”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거의 모든 모임들은 한인들 만의 잔치였다.

오늘, Delaware Art Museum에서 열린 추석맞이 제3회 연례 한인 문화 축제(The 3rd Annual Korean Cultural Festival)는 분명 변해가는 이 땅 한인 이민자들의 새로운 축제였다. 이젠  Korean Festival이 더는 한인들 만의 축제가 아니다. 이 땅을 미국인으로 살아가는 한국계 미국인들이 이웃들과 더불어 한국을 알리는 축제의 장이다. 500명을 웃도는 참석자들 중 2/3는 한국을 이해하고 함께 하려는 비한국계 였음이 그를 잘 그려준다.

이 행사를 잘 꾸려가는 이들을 통해 한인 이민자들의 새로운 모델을 본다. 교회도 아니고, 한인회도 아니고, 어떤 이익 단체도 아닌 새로운 모델이다.

이 행사를 잘 꾸며낸 이들을 오래 기억하고 싶다. Jin Twilley, Soojin Suh, Eunhwa Choi, Hyesun Kwak, Jinwoo Tak, Tim Kim, Youngmae Roca, Jinhee Yu – 참 고마운 이름들이다.

이 행사를 통해 뒤늦게 어설프지만 멋진 춤사위를 펼친 내 아내에게도 속 깊은 박수를 보낸다. 아내에게 춤을 가르쳐준 강은주 선생님과 한마디 부탁에 흔쾌히 장구채를 잡아주신 내 좋은 친구의 아내인 조성례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우리 부부가 이렇게 이 땅에서 먹고 살 수 있게 도와 주는 내 가게 손님들에게 감사의 편지를 드린다. 우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capture-20170930-185134남, 북이라는 수식어가 붙건 안 붙건 Korea라는 나라 이름이 미국인들에게 낯설지 않게 다가 왔습니다. 최근 몇 달 사이에 Korea에 대한 뉴스들이 넘쳐났기 때문입니다. 제 기억과 나름의 지식이 맞다면, 잊어진 전쟁으로 알려진 한국전쟁(1950-1953) 이후 미국인들에게 한국이라는 나라 이름이 이처럼 깊게 각인된 것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저는 미국인입니다. 한국계 미국인입니다. 한국에 대한 뉴스들을 보고 생각하는 제 자신에 대한 신분 규정입니다. 그러므로 똑 같은 한국에 대한 뉴스들을 보면서 남한에서 사는 사람들, 북한에서 사는 사람들과 제 생각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물론 한국계 미국인이 아닌 대다수 미국인들과도 다를 수 있습니다.

같은 상황을 보면서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옳다 그르다고 말하자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과 느낌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아는 한국과 전쟁에 대한 지식입니다. 남북을 합친 한반도 전체 크기는 유타주와 엇비슷합니다. 그 작은 나라에서 역사 이래 기록에 남겨진 전쟁 회수가 천 번이 넘습니다. 한반도에 있었던 작은 나라들 끼리의 전쟁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큰 전쟁들은 이웃 중국, 일본, 몽고 등과의 싸움들이었습니다. 19세기 이후에는 러시아, 프랑스, 독일, 미국과의 전쟁도 있었습니다. 모두 한반도 안에서 일어났던 싸움들입니다.

한국전쟁 때 그 한반도에서 싸우다 피 흘려 죽은 사람들의 국적은 정말 다양하답니다. 미국은 물론이거니와 중국, 캐나다, 콜럼비아,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남아공화국, 에티오피아, 영국, 벨기에, 프랑스, 그리스, 룩셈베르그, 네덜란드, 터키 등입니다. 물론 그 전쟁에서 가장 많이 죽은 사람들은 남, 북 이라는 수식어 떼어낸 한국인들입니다.

이 주에 한국인들은 아주 큰 명절을 맞습니다. 추석이라고 부르는 한국인들의 추수감사절입니다. 북한, 남한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여러 나라에 이민자 또는 여행자로 사는 모든 한국인들에게 아주 큰 명절입니다.

작게는 한 해의 농사를 마무리하는 감사에서부터 과거의 조상들에 대한 감사, 현재를 사는 오늘의 모습에 대한 감사, 미래를 이어갈 다음 세대들에 대한 감사를 되새기는 큰 명절입니다. 모든 명절들에 사람들은 첫 뜻은 잊고 형식만 기억하고 살게 마련이지만, 올해 추석만은 너나없이 감사의 조건들을 꼽아보았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비단 한반도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곳이든 전쟁은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옛 이야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 주간도 감사가 넘쳐나는 시간들이 이어지시길 빕니다.

당신의 세탁소에서

첨부 : 어제 Delaware Art Museum에서 한국의 명절 추석을 기리는 행사인 Delaware Korean Festival이 있었답니다. 주 상원의원인 Tom Carper를 비롯한 약 500명이 참석했답니다. 이 행사에서 제 아내인 Chong이 한국 전통 춤의 하나인 진도북춤을 추었답니다. 이 춤은 보통사람들이 느끼는 하루 하루의 기쁨과 감사를 그대로 들어내는 춤이랍니다. 아내가 춘 이 춤을 당신과 함께 합니다.

 

Whether with the prefix of South or North, the country name of Korea has drawn increasing attention by Americans. That’s because news about Korea has flooded the media for the last some months. If my memory and knowledge are correct, it may be the first time since the Korean War (1950-1953), aka the Forgotten War, when the name Korea was inscribed so deeply in Americans minds.

I am an American. Specifically, I am a Korean American. It is a definition of my nationality status, when I watch and think about the news about Korea. So, my thoughts about the news may not be the same as those of the people in South and North Korea. Of course, they may be different from the thoughts which most Americans may have regarding the news.

I’m not trying to judge which thoughts are right or wrong, but to say that people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thoughts about the same situation.

It is what I know about Korea and the wars which Korea has experienced in history. The total area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combined is similar to that of Utah. Though Korea is such a small country, it suffered more than a thousand wars which were recorded in history. There were many wars among the kingdom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But most of the major wars were agains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Mongolia, and so on. In the 19th century, there were wars with Russia, France, Germany and even America, before it fell to Japanese rule and became a colony. All of them happened with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orean War, people from various countries lost their lives. They were soldiers from China, Canada, Columbia, Australia, New Zealand, the Philippines, Thailand, South Africa, Ethiopia, the United Kingdom, Belgium, France, Greece, Luxemburg, the Netherlands and Turkey, as well as America. Of course, a large majority of the war victims were Korean people of South and North.

I think that Korean people have suffered too much from far more than enough wars historically. I wish that war won’t break out in the Korean Peninsula ever again, no matter what. I wish that war will become an old story which we can hear or see only in museums, anywhere in the world.

Koreans will encounter one of the biggest folk holidays this week. It is Chuseok, which is equivalent to the Thanksgiving Day in America. Not just people in South and North Korea, but also most Koreans who are staying in other countries as immigrants or travelers will celebrate it.

On Chuseok, Koreans celebrate with gratitude for many things from the harvest of the year and their ancestors’ grace, to the present state of their lives and the next generation who will lead the future. So often, we’re likely to keep only the formality, without thinking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raditional holidays. I hope that this year, every one of us will think about all the things for which we should be grateful.

I wish that you’ll have happy things to celebrate continuously this week and beyond.

From your cleaners.

PS: Yesterday, the Delaware Korean Festival, an event to celebrate Chuseok, was held at the Delaware Art Museum. About 500 people, including Senator Tom Carper, joined in the event. There, my wife Chong performed “Jindo Bukchum (drum dance),”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This dance reflects gratitude and joys in everyday life. I would like to share the video with you.

구해 줘

한국 TV 연속 드라마를 첫 해부터 마지막회까지 빠짐없이 본 것은 참 오랜만 일이다. 드라마 ‘송곳’을 본 게 가장 최근의 일인데 그 역시 전편을 다 보지는 못했다. 이즈음 서울 처남이 이런 저런 영상 자료들을 보내 주어서 아내가 제법 즐긴다. 나 역시 이따금 기웃거리곤 하지만 크게 흥미를 일으켜 브라운관 앞에 앉게 하지는 않는다.

그러다 내가 빠져들어 전편을 다 본 드라마 바로 ‘구해 줘’이다.

오늘 모처럼 주일 예배에 참석하고 돌아온 오후, 드라마 ‘구해 줘’의 마지막 편을 보았다.

비단 사교(邪敎)만이 아니다. 모든 종교가 다 그렇다. 또한 종교 뿐 만이 아니다. 세상사를 지배하고 있는 모든 권력 또한 마찬가지다.

신이든 권력이든 브로커가 문제이다. 하나님, 하느님, 하늘님, 새 하늘님 그 무어라 부르든 신의 문제가 아니다.

민주, 정의, 복지, 자유, 자주 등등 그 무어라 부르든 권력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다.

신과 사람 사이, 권력과 사람 사이를 잇는 브로커가 바로 문제이다.

드라마 ‘구해 줘’를 본 후 모처럼 꺼내든 책, 존 도미닉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의 ‘역사적 예수(The Historical Jesus)’이다.

<예수가, 아마도 처음이자 유일하게, 성전의 화려함에 맞서서 그 합법적 브로커 기능을 브로커 없는 하나님 나라(unbrokered kingdom of God)의 이름으로 상징적으로 파괴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코스모스

0919171857a

모처럼 누님댁에 들르다. 코스모스가 이웃집과 담장이 되어 춤춘다. 강원도 평창 사람 매형이 고향 생각으로 심었을 터이다. 나도 잠시 내 고향 신촌으로 돌아간다. 고향은 그리움으로 가꾸는 지금 여기에 있다.

옛 생각

이민 보따리를 꾸리며 처분했던 물건 가운데 주소와 전화번호들을 빼곡히 기록해 놓은 공책과 명함첩들이 있다. 벌써 서른 해를 넘어선 저쪽 일이다. 그것은 내 유소년 그리고 청년과의 결별이었다. 이 땅에 건너와 살면서 인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대학교 동창회를 한 두어 번 기웃거린 적은 있다만 모두 이민 초기의 일일 뿐, 이제껏 무관하게 살았다.

인터넷 세상이 열린 후 간간히 이름깨나 팔리게 된 옛 벗들의 소식을 들을 수 있었고, Social Media가 판치는 스마트한 세상이 되자 늙지 않으려는, 아니 젊게 살려는 옛 동무들의 모습들과 느닷없이 마주치곤 한다. 이럴 때면 이따금 오래 전에 버린 주소록과 명함첩들이 생각나곤 한다. 비록 이미 다 변해 버렸을 주소와 전화번호일 터이지만.

이달 초 마광수 형의 부음으로 하여 나는 오래 전 신촌 시절을 더듬고 있었는데, 그로부터 며칠 후 후배 페북에 올려진 옛 동무 딸아이 결혼식 사진은 나를 며칠 동안이나 1970년대 신촌 거리로 내몰았다.

딸아이 혼례를 치른 옛 동무는 함께 마셔 댄 신촌 시장 주막집 막걸리 동이가 제법 되는 진짜 어깨 동무 개 동무였다. 그와 마지막 술 잔을 나누었던 곳은 그의 단칸 신혼방 이었는데 동네는 어디였는지 가물 가물하다.

문득 그 시절 동무들이 그립다.

마광수 형은 그 때도 그랬다. 음담패설을 이용한 우스개는 단연 뛰어났다. 나는 그의 학문이나 문학에 대해 논할 만한 지식이 전무하다. 다만 70년대 청년 마광수에 대한 인상은 아직도 또렷하다. 신촌 목로주점 아니면 북한산을 오르던 길이었을게다. 그는 말했었다. ‘우스운 일이야! 참 우스운 일이라고!’ 그가 고등학교 때 대학교 백일장에 응모해 시 부분에서 장원을 했던 일을 우리들에게 이야기하던 끝에 뱉은 말이었다.

‘그 시가 말이지, 여기서 조금 저기서 조금 남의 것들 베껴서 조합해 놓았단 말이야. 그게 장원이었다니까! 우스운 일이야! 참 우스운 일이라고!’

나는 당시 광수 형이 기성 체제에 대해 항거하거나 비틀어 조롱했다고 단언하지는 못하지만, 그는 당시 이미 자유인이었다. 그는 그렇게 자유인 청년 마광수로 삶을 접었다. 그리 살며 느껴야만 했던 외로움 역시 오롯이 그의 몫으로 품고 갔다.

구글링을 통해 광수형의 길을 쫓다가 낯익은 이름들도 만났다. 대학에서 광수형과 척진 곳에 서있었다는 이들이다. 이미 다들 은퇴 이후이다.

모두 1970년대 신촌거리에서 아주 멀리 왔다.

먼저 떠난 이에게는 안식을, 아직 산 자들에게는 강녕을.

주일 아침, 시 한 편

매 주일 아침에 가게 손님들에게 이 편지를 띄운 지도 제법 오래 되었습니다. 한 주간 세탁소 일을 마치고 하루 쉬는 일요일 아침에 제가 느끼는 짧은 생각들을 손님들께 보내왔습니다. 이 편지를 쓰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여 고르는 것이 편지 말미에 첨부하는 시입니다.

제가 워낙 시를 좋아하는 까닭이기도 하지만, 제가 쓰는 편지 보다는 누군가의 시 한편으로 이 편지를 읽는 분들께 아주 짧은 시간이나마 편안함과 삶에 대한 감사를 나누자는 생각으로 시를 고르곤 한답니다.

편지를 쓰고 시를 고를 때마다 제가 소원하는 마음이 있답니다. ‘단 한 사람만 이라도’ 제 편지와 제가 고른 시를 읽고 그 순간만이라도 평온한 마음으로 서로의 삶을 감사하는 마음을 나누었으면 하는 바램이랍니다.

오늘도 그 마음으로 시 한편을 소개 드립니다. 해마다 이 맘 때 가을의 문턱에 이르면 제가 즐겨 읽는 시인의 시랍니다. 한국어로 쓰여진 이 시의 참 맛을 그대로 전해 드릴 수가 없어 안타깝지만 시의 느낌만이라도 전해 드리고 싶답니다.

가을로 들어서는 문턱에서 꼭 일요일이 아니더라도 짧은 쉼을 누리는 시간들에 감사할 수 있는 우리들의 삶이 늘 이어지기를 빌며.

당신의 세탁소에서

일요일의 미학(日曜日의 美學)

–       김현승

노동은 휴식을 위하여
싸움은 자유를 위하여 있었듯이,
그렇게 일요일은 우리에게 온다.
아침 빵은 따뜻한 국을 위하여
구워졌듯이.

어머니는 아들을 위하여
남편은 아내를 위하여 즐겁듯이,
일요일은 그렇게 우리들의 집에 온다.
오월은 푸른 수풀 속에
빨간 들장미를 떨어뜨리고 갔듯이.

나는 넥타이를 조금 왼쪽으로 비스듬히 매면서,
나는 음부(音符)에다 불협화음을 간혹 섞으면서,
나는 오늘 아침 상사에게도 미안치 않은
늦잠을 조을면서,
나는 사는 것에 조금씩 너그러워진다.
나는 바쁜 일손을 멈추고
이레 만에 편히 쉬던 神의 뜻을 이제야 알 것 같다.

나의 남이던 내가,
채찍을 들고 명령하고
날카로운 호르라기를 불고
까다로운 일직선을 긋는 남이던 내가,
오늘은 아침부터 내가 되어 나를 갖는다.

내가 남이 될 수도 있고
또 내가 될 수도 있는
일요일을 가진 내 나라 — 이 나라에
태어났음을 나는 언제나 아름다와 한다.


I’ve been sending this letter to my customers every Sunday for quite a long while. In the letters, I have told you my small thoughts which came to my mind in Sunday morning, resting after a long week of work at the cleaners. In fact, I usually spend more time on selecting the poem attached at the end of the letter than writing the letter itself.

It’s not just because I like poetry so much, but because I wish that the poem, more than the letter, will give the readers comfort and gratitude for life, however short or long it may last. With this wish in my mind, I try to select a poem each week.

While I’m writing this letter and selecting a poem, I also have in mind a wish that the readers share gratitude for life with someone else in a feeling of peace and serenity, whether just one person, and whether just for a moment.

Today, I would like to share a poem with you with my wishful mind. It is one written by the poet whose poems I like to read around this time of year, at the threshold of autumn, every year. I know that I cannot help you really appreciate the poem in translation, as it was written in Korean. But, still I want to impart its feeling to you.

I wish that at the beginning of fall, we can feel gratitude for a time of rest, whether it is Sunday or just some moments, and that it will always continue.

From your cleaners.

Aesthetics of Sunday

–       Hyun-seung Kim

As work for rest, and
Fights were for freedom,
Like that, Sundays come to us.
As morning bread was baked
For a hot soup.

As mother for son,
Husband is happy for wife,
Like that, Sundays come to our house.
As May left,
Dropping off red wild roses in the green woods.

While I’m wearing a necktie somewhat tilting leftward,
While I’m occasionally mixing discordant notes in the music,
While I’m oversleeping this morning
Without feeling sorry to superiors at work,
I become lenient in living a life gradually.
The God’s will, who stopped His busy work and rested on the seventh day,
Now I think I know.

I, who used to be my other,
Give commands with a lash in hand,
Blow the shrill whistle,
I, who used to be others drawing a fastidious straight line,
Have become myself and have myself since the morning today.

On which I can become others,
Or become myself
Sundays has my country – born in this country
I always cherish it as beautiful.

처음처럼 – 그 배신에 대하여

따지고 보면 연휴를 맞은 느긋함 탓이었다. 크거나 작거나 장(場)을 볼라치면 사야할 물건 목록표를 들고 다녀야 마땅할 일이지만, 오늘은 예외였다. 모처럼 대도시 나들이에 예정에 없던 장보기였으므로.

빵집 순례에서 넉넉히 장바구니를 채운 아내는 한국장을 보면서 내게 큰 선심을 썼다.

“여기 소주도 있고 막걸리도 있네, 골라보셔!”

그 소리에 내 머리 속은 빠르게 움직였다. 막걸리로 40년을 되돌려 볼까, 아무렴 오늘 한 잔은 쐬주 아닐까 하는 생각은 돈 계산보다 빠르지 못했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 막걸리는 구경도 못하거니와 소주는 2홉들이 한 병에 거금 10불은 주어야 하므로 큰 맘 먹지 않고서는 입에 대지 못하는데, 소주병에 붙여진 가격표에 우선 반할 수 밖에 없었다. 2홉들이 6병 한 박스에 24불 – 이건 거의 공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주병에 그려진 빨간 딱지라니! 이게 도대체 몇 십년 만이냐! 아내는 그 순간에 내가 느낀 감격을 전혀 이해할 수 없었을 게다. 오호 빨간 딱지라니!

한달음에 집으로 달려온 세 시간 드라이브 길에 아내는 물었었다. ‘쉬지 않고 그냥 가?

‘쉬긴 뭘…’하던 내 응답에는 예의 그 빨간 딱지의 유혹이 숨어있었다.

집에 돌아와 마주 앉은 늦은 저녁 상, 반주를 핑계로 뚜껑을 따, ‘크 한 잔’ 빨간 딱지의 소주를 입에 털어놓은 내 입에서 나온 말 한마디. “이런…..ㅉㅉㅉ “

30도 짜리 혀끝에서 목구멍까지 훅 쏘던 그 맛, 빨간 딱지 쐬주는 어디가고 복숭아 주스 맛 14도 가짜 와인 맛이라니! 오, 이 ‘처음처럼’의 사기 맛이란…

소주가 변한 것일까? 내가 변한 것일까? ‘처음’과 ‘지금’ 사이에.

아니면 ‘처럼’의 사기질일까?

아니다. 그 순간 내가 돋보기를 쓰지 않았던 탓이다.

노동과 쉼

‘노동’과 ‘근로’ – 말 하나 어찌 쓸까로 여전히 다투고 있다. 새삼스럽지 않은 오랜 다툼이다.

그런 다툼을 일찌감치 세계 노동자의 날인 May Day를 버리고 9월 첫 월요일을 Labor Day로 정리한 미국은 영악스럽다 할까?

아무려나 부지런히 일한다는 근로 보다야 먹고 살기 위해 들여야만하는 정신적 육체적 노력으로써의 노동이 썩 적합하지 않겠나? 그래야만 ‘쉼’의 뜻이 깊어지는 법. 그게 성서가 쓰여진 까닭이기도 할 터이고.

어찌 부르고, 어떤 날을 기념하던 앞서 고민했던 이들 덕에 연휴를 즐겼다.0903171913ab

0903171916ba

0903172100ab

좋은 친구들과 밤바람 맞으며 맛난 것으로 배를 채우고, 그저 일상의 이야기로 편안함을 나누며 쉼을 만끽했다. 때로 쉼에 있어 아내의 흥은 필요충분조건이다.

KakaoTalk_20170904_175345005A

그 사이 아들 내외는 홀로이신 제 외할버지와 잠시 시간을 함께 했노라 했고, 예비사위는 딸아이를 위해 깜작쇼를 펼치며 즐겁게 했노라는 소식을 전해 왔다.

연휴 쉼을 정리하는 시간, 알량한 찹쌀떡과 아이들의 대견한 소식으로 노부모와 장인에게 건강하심에 감사를 드리며…. 아직은 노동이 필요한 내일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