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6일 이전에도 세상은 언제 침몰할지 모르는 지옥이었고, 우리는 세월호 탑승객이었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비로소 끔찍하게도 잔인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눈을 떴다. 생명과 안전보다 돈과 이윤이 우선하는 세상을 보았다. 부패한 정치권력의 무능과 무책임을 보았다. 왜곡과 오보를 남발하는 언론의 현실을 보았다. 그리고 총체적으로 국가가 실종되었음을 보았다. 우리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어떻게 철저히 묻어버리고 은폐하며 억압하는지 똑똑히 보았다. 우리는 끔찍하고 잔인한 세상의 목격자이고 증언자이다.>
‘4.16연대’라는 단체가 자신들의 정체를 밝히고자 선포한 <4월 16일의 약속 국민연대 규약>에 있는 글의 일부이다. 자신들을 <끔찍하고 잔인한 세상의 목격자이고 증언자>라고 규정한 이들이 6편의 독립영화들을 제작했단다. 이름하여 <망각과 기억2 : 돌아 봄>이라는 주제로 만든 영화들이란다.
나는 어제 필라델피아에 올라가 그 여섯 편 가운데 세 편의 영화를 보았다.
첫번 째 상영된 영화 <승선>은 세월호에 승선했다가 ‘생존자’라고 분류되어진 한 사내의 이야기였다. 그랬다. 세월호에서 살아남은 후, 그는 분류되어 버린 인간이 되었다. ‘일반인’ 그리고 ‘생존자’라는 딱지가 그것이었다. 물론 세상 사람 누구도 그에게 그런 딱지를 붙었다는 이는 하나도 없을 것이다. 어찌하리! 그는 분명 그 딱지를 붙이고 살았던 것을. 영화는 그가 그 딱지들을 떼어내는 과정들을 쫓아가고 있었다. “공감과 연대”라는 이름으로 함께하는 이들을.
두번 째 영화 <잠수사>는 세월호를 만나 스스로 짧은 생을 마감할 수 밖에 없었던 잠수사 김관홍과 그 주변 인물들을 기록한 영화였다. ‘김관홍’ – 그는 참 사내였고 참 사람이었다. 영화는 이 간단한 명제를 증명한다. 그는 타고난 그의 재능과 일에 충실하였다. ‘사람을 살리는 일’이 그의 재능이자 일이었다. 그런 그가 아파했다. 어느 순간 그가 하는 일이 ‘사람을 살리는 일’ 대신 ‘죽은 자를 건져내는 일’로 전락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그는 끝내 절망에 이르렀다. 그나마 ‘죽은 자를 기다리는 얼굴들을 외면할 수 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린’ 자신을 바라본 까닭이다. 영화는 잠수사 김관홍의 잃은 아내와 아이들을 쫓아간다. “공감과 연대”라는 이름으로 함께하는 이들을.
세번 째 영화 <세월 오적(五賊)>은 세월호 참사를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버리려고 온갖 수단을 동원했던 다섯 권력 기관에 대해 고발하고 있다. 바로 박근혜, 김기춘, 우병우 라는 이름으로 기억되는 청와대, 해수부, 해경으로 대변되는 행정부권력, 남재준이라는 이름으로 우스개가 된 정보기관 국정원, 조중동, 한경오, KBS, MBC 등등의 언론, 그리고 국해가 되어버린 국회, 이 다섯 권력의 축들의 그 때 그 모습들을 기록한 영화이다. 그들을 고발하는 카메라의 눈 역시 “공감과 연대”라는 이름으로 함께하는 이들의 것이었다.
나는 <끔찍하고 잔인한 세상의 목격자이고 증언자>들이 만든 세 편의 다큐멘타리 영화를 보면서 안도와 희망과 섭리를 보았다.
안도(安堵) – 지난 달 한국의 정권이 바뀐데서 온 안도였다. 영화를 보며 지난 달 정권이 바뀌고 난 후에 세월호 유가족들과 잠수사 김관홍 가족들이 느꼈을 안도가 내가 다가오던 것이었는데, 나는 그 순간 이 안도의 시간들이 오래 이어지기를 기도하였다.
희망 – 희망보다는 소망이 낫겠다. <세월 오적(五賊)>으로 명시된 이른바 권력에 의해 보호받지 못한 지경을 넘어, 권력의 이름으로 무참히 짓밟혔으나 하소연은 커녕 숨소리 한번 제대로 내지 못하고 스러져 간 사람들을 기억할 수 있는 계기가 이제야 마련되었다는 생각에서이다. 세월호 참사를 보며 <끔찍하고 잔인한 세상의 목격자이고 증언자>들이 만들어낸 세상이다. 멀리는 제주 4.3 항쟁에서 가까이는 광주 항쟁까지. 이제는 목격자들과 증언자들이 큰 숨으로 제 소리를 낼 세상이 되어야한다. 과거로부터 미래까지. 더는 오적(五賊)으로 불리우는 권력들을 용납하지 않는 세상에 대한 소망과 희망으로.
그리고 섭리 – 예수쟁이인 나는 결국 성서로 돌아간다. 지금 여기에서 아프고 한맺힌 삶을 사는 이들을 위한 법전인 신명기법전을 이야기하는 성서로 돌아간다. 모세에서 예수까지, 아니 지금 우리들의 삶에 이르기까지. 성서는 모든 법이 있기 전에 삶이 있었다고 증언한다. ‘하나님 앞에서 이웃과 더불어’사는 삶을.
그렇다. <끔찍하고 잔인한 세상의 목격자이고 증언자>인 그들로 하여 세상은 조금은 더 성서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을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