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에

자신의 개인적 발전을 도모하는 데 각별히 근면한 점을 제외하고 아이히만은 어떤 동기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근면성 자체는 결코 범죄가 아니다. 그는 상관을 죽여 그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살인을 범하려 하지는 않았다. 이 문제를 흔히 하는 말로 하면 그는 단지 자기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결코 깨닫지 못했을 뿐이다. (중략) 그는 어리석지 않았다. 그를 그 시대의 엄청난 범죄자로 만든 건 ‘순전한 무사유(sheer thoughtlessness)’였다. (중략) 이러한 무사유가 인간 속에 존재하는 모든 악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대파멸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 이것이 사실상 예루살렘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이었다.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중에서

유태인 수백만 명을 학살한 전범으로 교수형을 받고 처형된 아이히만(Otto Adolf Eichmann)은 자신은 단지 상부의 명령에 충실했을 뿐이라며 끝내 자신의 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그런 아이히만에게 ‘순전한 무사유(sheer thoughtlessness)’의 죄를 묻고 있다. 철학자 강신주는 “아렌트는 더불어 살아가는 삶에서 ‘사유’란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는 ‘권리’가 아니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할 ‘의무’를 강조”했다고 해석한다.

어쩌면 우리는 아직 ‘순전한 무사유’에 빠진 이들이 아닌, ‘악의적 사유에 빠져 범죄를 저지르는 자’들과의 싸움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여 지극히 평범하게 살아가는 우리들만이라도 ‘사유’ 곧 생각하며 사는 일을 의무로 여기며 살아야 한다고 다짐할 일이다.

잊지않고 기억하는 일이 소중한 까닭이다.

2017년 4월 16일 부활주일, 필라델피아 세월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뜻을 새겨보며.

IMG_0001

IMG_0011

IMG_9872

IMG_9881

IMG_9913

IMG_9886

IMG_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