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복의 시드니 인문학 교실 – 5
제 2강 – 2 : 무엇을 ? (What ?) – 전환의 시대
6. 서구 인문주의의 역사적 흐름은 고대 그리스에서 자연철학의 시대를 넘어 소피스트들과 소크라테스 시대로 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그 후 여러가지 인문주의 사조들이 있어왔지만 , 이제 우리는 르네쌍스 시대의 인문학, 계몽주의 시대의 인문학, 그리고 20세기의 인문학의 내용과 성격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7. 첫째는 15, 16세기에 시작된 인문학으로 르네쌍스 휴매니즘(Renaissance Humanism)입니다. 우리는 이를 ‘인문주의 인문학(人文主義 人文學)’이라고 부릅니다.
인문주의 인문학은 중세 스콜라철학에 대한 반동입니다. Thomas Aquinas에 이르러 절정에 오른 Scholar 철학은 모든 학문을 눈에 보이지 않는 형이상학적 신(形而上學的 神)에다 집중 시켰습니다. 그야말로 신학이 모든 학문의 여왕이었습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형이상학적 하나님은 얼마든지 이성적, 논리적으로 그 존재와 활동이 증명 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여기에는 현재도 로마 카톨릭과 개신교 신학 사이에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여튼 중세 천년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알수도 없는 신을 중심 삼아 왔는데 르네쌍스 인문주의는 모든 학문의 촛점을 이 형이상학적 신으로 부터 눈에 보이는 현실적 인간 세상으로 바꾸었습니다. 눈 앞에서 변하는 이 세상, 과학, 문화, 예술, 정치, 경제 등 실제적 인간 삶의 현실에 관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르네쌍스 인문주의에서는 고전어, 문학, 역사를 비롯하여 법과 정치, 수학과 물리학, 천문학과 지구과학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이제는 ‘수학이 학문의 여왕’이 되었습니다. 르네쌍스 휴매니즘에서는‘인간은 인간답게 생각하고 그저 인간답게 말하고 인간답게 행동해야한다’는 원칙이 강조되었습니다. 꾸미거나 숨기거나 위선적이 되어서는 않된다는 겁니다. ‘인간은 인간답게 그리고 신은 신답게’(Francesco Petrarch 1307-1374나 Lorenzo Villa 1407-1457는 인문학의 이상으로 인간은 인간의 본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각하고 제대로 말하고 떳떳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주장함으로 데카메론이나 나체화 등이 출현하게 됩니다.)가 이 때의 구호였습니다.
르네쌍스 인문주의는 이후 ‘18세기 啓蒙主義 人本主義’의 기초가 됩니다. 이는 새로운 전환입니다. ‘신으로 부터 인간으로’, ‘맹신적 신앙에서 합리적 이성으로’, ’무지에서 깨달음으로’, ‘억압에서 자유로 ’코페루니쿠스 Copernicus 적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때 사람이 사람답게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시작한 일이 중세 천년을 지내는 동안 잃어버렸던 그리스의 고전을 다시 찾아내는 일이었습니다. 라틴어와 헬라어를 중심한 고전어를 다시 배우고 공부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16세기 유럽에는 인문계 고등학교가 250개를 넘었습니다. 데카르트 자신도 Jesuit에서 세운 ‘라 폴레쉬’에서 그리스어, 라틴어, 문법, 수사학,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 이 전통이 이어져서 오늘날도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호주 등에서는 고등학교 과목에 Greek과 Latin어 같은 고전어를 개설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고전어 하나를 더 배운다는 뜻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개혁정신의 기본을 이어가자는데 있습니다.)
이리하여 르네쌍스 인문주의자들은 헤로도토스와 호메로스, 헤시오도스와 호라티우스, 아이소포스와 피타고라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고전을 재발견해 내고 이를 다시 읽고 해석하기 시작했습니다.
언어에 이어 논리학과 수사학도 다시 살아났습니다. 논리학과 수사학은 이론과 합리성과 상식의 터전 위에서 표현하고 설득하는 기술입니다. 사람을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깊게 감동 시키는 것은 감정을 움직이는 설교나 기도가 아니라 이성을 통한 설득이라고 보았습니다.
‘마음을 흥분시키지마라 머리로 이해하게 하여라!’ 사실 언어와 논리는 단순한 지식의 확대 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지성과 품성을 넓히는 일을 합니다.
언어란 단순히 의사 소통의 도구 만이 아니라 사물의 실체와 본질을 탐구하는 인식의 수단이고 보다 더 넓은 세상을 알게해 주는 통로입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하여 다른 세상을 보게 됩니다.
다른 글과 말을 통하여 다른 나라와 다른 사람과 다른 문화, 역사, 전통, 풍습을 알고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됩니다. 동시에 르네쌍스 인문주의에서 반드시 지적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이때부터 드디어 모든 학문하는 방법론이 철저하게 과학적 터전 위에 세워지게 되었다는 점 입니다. 이는 15세기 중반 인쇄술의 발명과 그 후 이어진 물리학에서의 천체이론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 –천동설이 아닌 지동설, 만유인력의 법칙 등과 신대륙의 발견, 새로운 화학무기의 발명 등이 일체의 인문-사회과학에 대해서도 귀납적 방법론을 요구하게 된 것 입니다. 우리가 이 시기의 정신 사조를 통칭하여 ‘르네쌍스 인문주의’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때부터 드디어 인간이 우주와 역사의 중심에 놓여지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