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과 질문

홍길복의 시드니 인문학 교실 – 6

제 2강 – 3 : 무엇을 ? (What ?) – 다시 사람을 묻는다

8. 둘째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휴매니즘(Enlightenment Humanism)인데 이를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인본주의 인문학(人本主義 人文學)’ 혹은 과학주의 인문학, 실증주의 인문학 등으로 부를수 있습니다. 이는 르네쌍스 이후 꾸준히 상승되어 온 인간 이성의 절정기에서 태동된 인문학입니다.

‘이성적 동물로써의 인간’이 우주와 만물의 주체이고 이 인간을 인간되게하는 것은 인간의 ‘이성’이라고 보았던 시대입니다.

시대적 배경을 모르면 그 시대의 사상을 알 수 없습니다. 18세기는 한 마디로 ‘혁명의 시대’입니다.

크게는 두 가지 혁명이 일어났습니다. 첫째는 영국을 중심한 산업혁명 입니다(The Industrial Revolution). 18세기 중반 부터 19세기 초반 까지 이어진 과학, 기술의 혁신과 이에 따른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대한 대 변혁 운동입니다.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쓴 사람은 Arnold Toynbee 입니다. 산업혁명은 역사 이후 인류가 오랫동안 생존의 방식으로 여겨왔던 수렵과 농업 경제와 수공업 체제를 공장, 공업, 기계산업 체제로 전환 시치고 거기에 따른 ‘전문화’와 ‘분업화’를 촉진 시킨 혁명적 전환을 통칭하는 개념입니다.

산업혁명이 가능하게 된 데는 그 이전에 괄목 할 만한 몇 가지 과학기술의 발명과 발견이 뒷받침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중 첫째는 신소재의 발견 입니다. 종래에는 나무나 숯을 통해서 얻어드렸던 에너지를 석탄과 구리 등 광물 자원에서 얻게 되었습니다. 둘째는 이 새로운 에너지를 통하여 증기기관과 방적기계를 발명해 내고 석유 재품과 전기 에너지가 발전 되었습니다. 셋째는 교통과 통신의 발전이 가속화 되었습니다. 증기 기관차, 증기 기선, 자동차, 전신, 라디오 등이 연이어 발명 되었습니다. 넷째는 생산 체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적은 인력을 가지고 높은 생산성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다섯째는 노동력의 전문화와 분업체계가 형성 되었습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Richard Arkwright, James Hargreaves, 킹덤 브루넬(Brunel),새무엘 크롬튼 등이 각종 형태의 방적기계와 James Watt가 증기기관을 발명해 냄으로 각종 제철, 제강 산업과 석탄을 통한 제련 기술 등으로 산업혁명의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산업혁명은 이런 여러가지 요소들과 함께 이루어지게 된 것이지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떠러진 것이 아닙니다.

한편 산업혁명의 영향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부분이 있습니다.

긍정적  부분은 그 이전의 정치-경제적 봉건체제를 무너뜨리고 근대적 산업사회를 이루게 된 것 입니다. 종래의 지주계급은 무너지기 시작하고 신흥 산업 브르조아지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농노사회는 사라지고 새로운 도시 임금 근로자 계층이 나타났습니다. 더 나아가 이와같은 경제구도의 변화는 귀족들과 지주들의 지배 계급을 무너뜨리고 신흥 브르조아지인 중산층 노동자 계급을 통하여 민주사회를 향한 교두보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마침내는 보편적 선거제도를 통한 시민 혁명의 불을 지피게 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은 단순한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시민의식을 넓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러나 한편 산업혁명은 어두운 측면도 만들어 냈습니다. 기술의 혁신과 공업화는 인간과 사회를 비인간화시켰 습니다. 도시화와 거기에 따른 여러가지 부작용들이 나타났 습니다. 환경 오염, 인권의 탄압, 장시간의 노동(산업혁명 초기에는 최저 노농 시간을 하루 12 시간으로 했다), 임금의 착취, 여성과 아동의 노예화(어린이는 하루 12시간 이상 일을 시킬수 없다는 법), 성적 착취, 전염병 등 세상을 참 비참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시대 영국은 이런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실업자의 급증과 사회 범죄의 증가를 새로운 식민지 개척으로 연계시켰으나 결국은 칼 마르크스를 중심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을 불러오게 되었습니다.)

18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두번째 혁명은 시민혁명입니다. 이는 초기 영국에서 일어난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Bloodless Revolution)과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은 물론이고 이후 미국의 식민지 독립운동에 이르는 일체의 절대왕정 체제를 무너뜨리고 민주적 시민사회를 세워나간 정치적 민주-인권운동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 입니다.

잉글랜드에서 ‘왕은 존재하기는 하지만 다스리지는 못한다’라는 선언은 의회의 승인이 없이는 절대 왕권이라 해도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불란서 혁명은 세금과 착취와 물가와 높은 신분제도 속에서 드디어 ‘못 살겠다 갈아보자’고 하면서 ‘앙시 앵 레짐’(Ancien Regime), 즉 왕권신수설에 기초했던 절대 왕정 지배 체제를 무너뜨리고 루이 14세와 16세 및 마리 앙뚜안넷을 단두대 위에서 처형했습니다.

시민들은 바스티유 감옥과 베르사유 궁전을 무너뜨리고 1789년 8월 26일 마침내 ‘프랑스 인권선언’을 만들었습니다. ‘자유 평등 박애’를 기초로 한 이 선언은  생존권, 저항권, 소유권, 평등권, 투표권이 인간의 보편적 권리임을 확실하게 했습니다. 인류 역사에서 처음으로 피지배자들이 유혈 혁명을 통하여 독립과 자유를 쟁취해 냈습니다. (18세기 계몽주의는 흔히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 처럼 신본주의에 대한 대칭 개념으로써 이성주의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천부적 권리를 회복하자는 운동에서 시작된 것 입니다.)

계몽주의는 인간의 일상적이고 실제적인 삶의 문제,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이 지닌 천부적 인권과 자유,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아래 사람 없다는 인간 평등의 신념을 이성적으로 깨우쳐 준 근대 인문학이 세운  쾌거 입니다.

9. 세번째는 20세기 이후의 인문학입니다. 여기에서는 두번에 걸친 세계 대전을 거쳐오면서 집단과 전체에 함몰되어온 ‘신뢰 할 수 없는’ 인간 이성에 대한 반동이 나타납니다.

18세기 이후 최고조에 이르렀던 인간 이성에 대한 신뢰가 모두 무너졌습니다.인간은 더 이상 이성적 존재라고 말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비인간화(Dehumanization) 되어버린 상황에서 그야말로 이제는 사람다운 사람이란 무엇인지를 다시 질문하게 되었 습니다.

‘처음에는 신이 인간을 속였다. 그 다음은 물질이 인간을 속였다. 그런데 이제는 인간이 인간을 속였다’는 슬픈 사실을 자각하게 되었 습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니체와 쇼펜하우어를 거쳐 키엘케골, 하이덱거, 야스퍼스 등의 실존주의자들과 수 많은 현대 철학자들은 그래서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개인과 주체를 새롭게 보기 시작한 이 시대의 인문학은 ‘인간주의 인문학’으로 얼굴을 드러냅니다. 이를 우리는 Humanistic Humanism이라고 부릅니다. 싸르트르, 까뮤, 하버마스, 글리크, 리프킨, 릿쩌, 푸코, 촘스키, 싱어 등등 많은 현대의 지성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 입니다.

‘인간은 노예다. 인간에게는 참된 자유가 없다. 인간은 모두가 이기적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물질의 종이고 권력의 노예다.’ 이것이 우리 <시드니 인문학 교실>이 함께 고민하면서 풀어가야 할 숙제 입니다.

  1. 맺는 말 입니다.

서구 인문학의 세 가지 큰 흐름을 살펴보았습니다.

  • 르네쌍스 인문주의에서 출발하여 (2) 계몽주의 인본주의를 거쳐서 (3) 마침내는 20세기 인간주의로 이행, 발전, 변화되어 온 과정을 말씀드렸습니다.

핵심을 거듭 강조 합니다.

서구에서의 인문학은 그 앞에 어떤 형용사나 접두사를 붙인다 하더라도 ‘인간이란 무엇인가?’가 주제 입니다. <사람공부>가 서구인문학의 목표입니다. 그런데 이 사람공부가 어려운 이유는 ‘인간이란 정말 알다가도 모를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소포클레스Sophocles(B.C.497-406)는 그의 비극적 희곡 안티고네(Antigone)에서 말합니다. ‘세상에는 이상한 것이 참으로 많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이상한 것이 사람이다’

인간 스스로 인간을 알려는 탐구는 수천년 전 부터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소포클레스가 말한 그 ‘이상한’에는 풀어야 할 많은 의문들이 들어 있습니다. ‘이상한’은 낮선, 일반적이지 않은, 종잡기 어려운, 판단하기 어려운, 신비한, 등 여러가지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람공부>! 정말 어려운 작업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인간을 알기 위해서 인간들이 남겨놓은 인간의 생각, 말, 글, 그림, 노래, 동작 등 모든 흔적과 자취를 공부하는 각론에 들어서게 됩니다. 어서 우리 <시드니 인문학 교실>에도 이런 다양한 분야에서의 발제자들이 준비되기를 기대 합니다.

             Comments & Question

             Sharing Time : –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과 목사들 중에는 인본주의와 신본주의를 대립개념으로 이해하고 가르치는 이들이 있습니다. 사실 엄밀한 의미에서 인본주의의 반대개념은 물질주의이고 신본주의의 반대개념 역시 물질주의입니다.

신본주의자들이나 인본주의자들은 서로 싸울 것이 아니라 힘을 합하여 물질주의, 세속주의, 자본주의, 자유주의 시장경제주의자들과 대결해야 한다고 봅니다.

오늘날 기독교가 적을 잘못 선택하고나니 잘못된 길로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우리는 어떻게 이 인간을 인간답게 살지 못하게 하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 그 핵심은 물질 지상주의에 의한 인간성의 상실 혹은 비인간화와 이에 따른 인간 사회의 극단적 양극화 현상 입니다 – 우리 인간성 내부에 도사리고 있는 이기주의적이고 탐욕적인 이기적 유전자를 극복해 내고 진정 자유와 평등, 사랑과 기쁨이 넘치는 ‘사람사는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