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답게 살기 위하여

홍길복의 시드니 인문학 교실 – 3

교실문을 여는 글 3 – 왜 인문학인가?

‘시드니 인문학 교실’이 지향하는 제 1차적 목표는 이렇게 요약해 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와 삶의 현장은 물질과 권력(정치권력, 자본권력, 종교권력)을 사람 보다 위에 두고 이것들을 더 가치있는 것으로 여기며 이를 추구하고 더 많이 획득하는 것에다 사람이 사는 최고의 목표를 두고 있는 시대라고 진단합니다.

한 마디로 이 시대의 인간은 비인간화되고 동물화 되어가고 도구화 되고 있습니다. 인간은 탐욕과 교만의 노예로 전락된지 오래되었습니다.

나에 대한 최대의 원수는 나 자신이고 인간에 대한 최대의 적은 인간 자신입니다. 우리는 이런 상황 속에서 어떻게 하면 너와 나를 포함한 우리 개인들과 우리 공동체가 보다 더 인간이 인간답게 되고 인간의 품격을 회복, 유지, 확장해 나갈수 있을까 고민하고 생각하고 토론하여 보다 더 선하고 아름다운 개인과 사회를 꿈꾸어 가고자 합니다.

우리는 이를 위하여 종교적 신앙에 의존하거나 반대로 사회 변혁적 방법들을 추구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읽고 듣고 쓰고 말하고 나눔으로 ‘개인적으로는 사람다운 사람이 되고자하고 공동체적으로는 사람다운 사람들이 어울려 살아가는 세상’을 이루어 보자는 하는 이상주의자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조선 시대 성리학자 율곡(栗谷) 이이(李珥)는 ‘격몽요결’(擊蒙要訣)에서 선비가 학문을 하는 이유, 즉 지식인이 글을 읽고 쓰고 가르치는 목표는 ‘사람이 사람답게 되고 또 사람답게 살기 위함’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먼저 사람다운 사람이 되면 자연히 사람다운 삶도 살게 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인문학의 일차적 목표는‘사람됨’에다 둡니다.

동양에서의 인문교육이란 곧 인성교육이라고 할 수 있고 이를 ‘전인’(全人 Whole man)교육으로 이해했습니다. 서양은 기술, 과학, 테크닉을 중심하여 합리성과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왔지만 동양은 사람됨, 즉 인간의 품성을 중시해 왔습니다.

중국을 중심한 동북 아시아에서는 그의 신분과 직책이 무엇이든, 이를테면 왕이든 사대부이든, 상민이든 천민이든, 농부이든 상인이든 그의 하는 일과 직책이 어떠하든 간에 ‘적어도 사람이 사람답게 될려면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읽고, 외우고, 거기에 따라서 일체의 삶을 영위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사서(四書)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이고 삼경(三經)은 시경(詩經), 역경(書經, 易經<周易>)입니다.

대학의 핵심 개념은 ‘덕(徳)’입니다. 이‘덕’을 기초와 기본으로 삼아 논어는 그 위에다 ‘인(仁)’을 더하고 맹자는 ‘의(義)’를 가르치고 중용은 ‘예지(禮智)’를 보탭니다. 우리는 논어, 맹자, 중용이 가르치는 4가지 핵심 개념인 이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사덕(四德)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 이것들 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 하나가 추가 됩니다. 곧 ‘중용(中庸)입니다.

아무리 인의예지가 중요한 사덕이요, 모든 것의 기초요, 또 이를 잘 실천하는 사람이 된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그 어느 경우에도 자기만 옳고 자기만 바르고 최고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주장하고 그렇게 행동한다면 그는 아직도 덜된 사람이라고 보는 겁니다.

동양의 인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키 워드(key word)는 중용입니다. ‘극단적으로 나가지 마라. 극단은 절대로 않된다. 극단을 피하라!’  중용이란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아니하며 정도(正道)를 걷는 것 입니다. 이 경우 정도(正道)란 ‘옳바른 길’이지 ‘가운데 길’이 아닙니다. 중용(中道)나 중립(中立)이 정도(正道)는 아닙니다.

중용은 흑과 백 사이에 있는 회색이 아니라 검은 검은 검다고 하고 흰 것은 희다고 분명하게 말하면서도 그 둘을 아우르는 포용성을 말 합니다.

동양 인문학의 핵심인 ‘중용’을 영어로는 Harmony and Balance로 번역 합니다. 포용성이란 관용, 너그러움, 똘레랑스(Tolerance)입니다. 동양의 인문학은 극단, 오직, Only, 영어에서 ‘나’ ‘I’는 아무리 문장의 중간에 와도 늘 대문자로 쓰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고 그릇된 태도라고 봅니다.

나와 다른 것은 그냥 ‘다를 뿐’이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나와 다른 생각을 갖거나 달리 말하거나 다른 스타일로 산다고해서 나만 옳고 그는 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생각입니다.

(호주와 같이 180여 개나 되는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야하는 ‘다문화 사회(Multi-cultural society)’ 에서는 특정한 민족이나 그들의 문화, 언어, 종교, 전통만 주장하는 것은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 하는 Living Together 우리의 삶과 평화를 위태롭게 합니다.

과거 유대인들의 선민의식, 십자군 전쟁을 하나님의 명령이라고 믿었던 중세 기독교, 근대 이후 서구 강대국의 식민지 정책을 등에 업고 선교라는 이름 아래 아프리카와 중남미를 비롯한 세계 도처에서 살인, 폭력, 수탈을 감행해 온 기독교 선교의 죄악사,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의 대동아 공영권, 수 백만명이나 죽음의 골짜기로 몰아넣은 게르만 민족의 우월의식을 비롯하여 지금도 이어지는 이슬람 과격주의자들, 오직 예수, 오직 믿음, 오직 교회만 외치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과 민족적 배타주의, 비관용적 인생 태도, 비타협적 인간 관계 등은 인문주의 정신을 그 밑바탕에서 부터 흔들어놓는 것들 입니다.)

동양의 인문학은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원리에 따라서 사람이 현실 속에서 사람답게 살아야 할 실천적 덕목을 네 가지로 요약해 줍니다.

첫째는 측은지심 (惻隱之心 Sympathy)입니다. 사람은 신분과 직업, 성별과 나이, 사상과 언어를 초월하여 자기 이외의 모든 사람을 포함하여 자연계와 동식물계 등 세상 삼라만상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고 일러 줍니다. 종교에서 말하는 자비심, 사랑, 희생, 공감하는 마음입니다.

둘째는 수오지심 (羞惡之心 Goodness)입니다. 자기 자신은 물론이고 가족, 친지, 이웃, 사회와 국가체제에 대해서 까지 잘못된 것이 드러나고 알게되었으면 이를 수치스럽게 여기고 그 그릇된 일을 바로잡기 위하여 싸워야한다는 교훈 입니다.

셋째는 겸양지심 (謙讓之心 Tolerance)입니다. 한 마디로 겸손과 양보 입니다. 겸손이란 그냥 공손하게 처신하는 정도가 아니라 그 어떠한 모습의 사람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 입니다. 양보란 말이나 행동이나 일이나 물건에 있어서 일체 타인에게 먼저 선택권을 주고 나를 제일 뒤에 세우는 것입니다.

마지막 넷째는 시비지심 (是非之心 Justice)입니다. 이는 인간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대하여 옳고 그른 것을 가릴줄 아는 지혜입니다. 특히 사회적 불의에 대하여 침묵하는 것은 그 악에 동조하는 것 입니다.

예수도 ‘옳은 것은 옳다하고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강론이나 설교나 설법을 해야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 한 시대의 지식인들과 지성인들, 교수들과 언론인들은 300여명도 더 되는 어린 학생들이 차거운 바다에서 떼죽음을 당하고서도 2년 반이 넘도록 그 원인은 무엇이고 누가 책임자이고 앞으로 다시는 이런 비극적인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슨 대책을 세워야 할찌 말하지 않고 분노 할 줄을 모른다면 인문학적으로 볼 때 그는 인간이랄 수가 없습니다.

맺는 말입니다.

도대체 우리는 모여서 무엇을 위하여 듣고 읽고 말하고 나눌려고 하는가? 한 마디로 사람이 되려고 합니다. 사람다운 사람이 되려고 서로 서로 좀 돕고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좋은 이야기, 책, 영화, 음악, 그림, 연극, 드라마, 기타 무엇이든지 사람이 되는 데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자료들을 소개해 주십시요.

그 다음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사람답게 ‘살려고’ 합니다.

어려운 일인줄 뻔히 압니다. 알기는 해도 실천하는 것은 아마 숨을 거두기 까지 불가능 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래서 고민하고 괴로와하고 슬퍼라도하고 싶습니다.

그러다보면 희망의 빛이 비치리라고 기대하며 ‘행복했지만 괴로웠던 사나이’를 조금은 이해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제 생각을 함께 나누어 봅시다.

             Comments and Questions

             Sharing Time – 함께 생각을 나누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