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書藝)- 2

태평양전쟁과 광복 70년 (Pacific War and Postwar Korea) – 14

– 글쓴 이 : 김도원(金道元)

둘째 이야기    광복 70년 (光復七十年)

서예(書藝)- 2

권불십년(權不十年) 이야기를 적는다는 것이 박정희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의 휘호(揮毫)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휘호란 붓을 휘둘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다는 것인데,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국 대통령들의 붓글씨에 관한 것 몇가지를 골라서 적어 보려고 한다.

역대 대통령 중 가장 휘호를 많이 남긴 사람은 박정희 전 대통령일 것이다. 그의 재임기간이 길기도 했지만, 하여간 그의 이름이 적힌 휘호를 많이 남긴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은 한자(漢字)를 잘 몰라서인지 눈에 뜨이는 한자 휘호가 없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중의 휘호가 여러 점 있으나 노태우 전 대통령은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한문을 배웠고, 평생을 붓글씨와 가까이 하면서 살아온 사람으로 알려진 이승만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중에서 가장 뛰어난 필체(筆體)를 남긴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붓글씨 이야기를 하는 김에 몇기지 더 적고 다음 이야기인 ‘4월 혁명’으로 넘어 간다.

붓으로 글씨 쓰는 것을 한국에서는 書藝라 하고, 중국에서는 書法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書道라고 한다.

영어로는 대개 Chinese brush pen writing이라고도 하고, Chinese calligraphy 라고도 한다.   한데, calligraphy 라는 것를 풀이해 보면,  calli [beautiful] + graphy [forms of writing] = beautiful forms of writing 이라는 답이 나온다.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하겠는가?

<書>는 시각적인 조형미를 평면에 나타내는 조형(造形) 예술이며, 온 몸과 힘과 정신이 붓끝에 모여 그것이 점(點)이나 선(線)에 나타나도록 심혈을 가울이는 동작이다.

붓글씨는 그렇게 예술적인 감각으로 쓰는 경우도 있고, 단순히 기록을 위한 하나의 필기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붓글씨의 발상지는 중국이다.

그러나 한문이 한국 것으로 소화시키듯이 붓글씨도 그렇다.

예를 들면, 추사체(秋史體)가 바로 그러한 것인데, 그것은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 1786-1856, 조선 말기의 금석학자[金石學者]이며 서예가) 가 만든 것이다.

  • 추사체는 굵고 가늘기의 차이가 심한 필획과 각이 지고 비틀어진 듯하면서도 파격적인 조형미(造形美)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남의 것을 모방(模倣)하지 앓고 창작한 그의 정신은 본받을만 하다.

한글에도 그러한 점이 있다.  한글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필법(筆法)은 한자를 쓰는 것과 같았으나, 붓을 움직이는 방법을 한자의 그것과 다르게 하여, 선이나 점획이 부드 럽고 단정한 궁체(宮體) 글씨를 만들게 된 것이다.

  • 궁체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기 시작하여 발전해 온 전통적 한글 서체다.

요즈음 세상은 어느 때보다도 육체 단련을 위한 운동법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몸에 좋다는 것은 무엇이든지 닥치는대로 먹는 사람도 있고, 값비싼 각종 보약과 건강식품의 수요가 늘어난다고 한다.

한편, 마음이 초조하고 정신이 불안하여 심적 불안을 가지고 지내는 사람도 적지 않은 듯하다.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몸에 해로운 것인 줄 알면서도 술울 마시거나, 담배나 마약에 의지하는 사람도 있고, 용하다는 점술가를 찾아다니거나, 무슨 종교에 발을 들여 놓는 사람도 있다.

그 밖에, 무슨 오락에 취미를 가져보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 아닌가 싶다. 그러한 것은 사회가 불안정할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

yeo

이러한 때에, 손에 붓 한 자루 쥐고, 붓끝에 먹물을 묻혀 화선지에 글씨를 써보는 것도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우선, 마음을 비우면,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될 것이고,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되면, 불안 속에서도 안정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글씨는 어떻게 쓸 것인가?

평소에 좋아하는 글 한 구절이면 더욱 좋고, 그런 것이 아니라도 상관 없다.   어떤 글씨라도 또는 어떤 모양이라도 괜찮다라는 말이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가로든 세로든 간에, 그냥 붓 가는대로 팔을 움직여 보면, 종이 위에 붓끝이 움직이는대로 그 흔적(痕跡)이 남게 된다.

  • 그것은 정신을 붓끝에 집중시키며 붓을 움직여나갈 때, 그 <붓 움직임> 에 따라 까만 먹물이 하얀 화선지에 스며들면서 생기는 필적(筆跡)이다. 

그 필적은 붓에 묻은 먹물의 질이나 양에 따라 달라지고, 종이에 붓을 대는 각도와 붓을 내리 누르는 힘과 붓이 앞으로 움직이며 나가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붓글씨는 그래서 쓰는 묘미(妙味)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찌 되었든 간에 붓글씨를 쓰다보면, 세상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지혜 도 생길 수 있으리라 ……   붓글씨를 꾸준하게 쓰면, 세상을 보는 안목(眼目)도 달라질 것이라는 뜻으로 해보는 말이다.

붓글씨 쓰는 이야기를 적다보니, 개칠(改漆)이라는 말이 생각난다. 改漆이라는 글자가 말해주듯이 개칠은 다시 고쳐 칠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개칠’한 글씨는 그것이 아무리 그럴듯하게 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어설프게 쓴 ‘개칠’하지 않은 글씨만 못하다. 붓글씨에 관한 전문가는 개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붓 이야기를 적는 김에 한 가지 더 적는다.

붓(毛筆)은 원래 가는 대끝에 털을 꽂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쓰려고 만든 물건이다.

하지만 철필이나 만년필 등도 붓이라 하고, 신문이나 잡지, 방송 등, 언론을 ‘붓’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한데, 아무리 체계를 갖춘 학문적 지식이나, 능숙한 재능을 가지고 만들어내는 말이나 글이라 할지라도, 그것에 대하여 책임질 줄 모르면 아니 될 것이다.

말은 진실(眞實)해야 되고, 글은 곡필(曲筆, 어떠한 사실대로 쓰지 않고 거짓으로 쓰는 것)이 되지 않도록 해야 될 것이다.

그러므로 <붓>과 <혀>는 항상 조심해야 될 것인데, 특히 공인(公人) 이나 연장자(年長者)는 사석(私席)에서라도 말을 함부로 하지말고, 항상 조심하여 화(禍)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될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명상서예(瞑想書藝)라는 말이나 태교서예(胎敎書藝)라는 말이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필적요법(筆跡療法, graphotheraphy)이라는 것도 있고, 서예치료(書藝治療, calligraphy treatment)라는 것도 있다.

아무튼, 이번 이야기는 시작에서부터 이리 저리 빙빙 돌다가 여기까지 왔다.    다음 이야기로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