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나라 – 구원의 확신으로 성서 읽는 법> – 17
그런데 요한은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을 감옥에서 전해 듣고 제자들을 예수께 보내어 “오시기로 되어 있는 분이 바로 선생님이십니까?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다른 분을 기다려야 하겠읍니까?” 하고 묻게 하였다. 예수께서는 그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셨다. “너희가 듣고 본 대로 요한에게 가서 알려라. 소경이 보고 절름발이가 제대로 걸으며 나병환자가 깨끗해지고 귀머거리가 들으며 죽은 사람이 살아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복음이 전하여진다. 나에게 의심을 품지 않는 사람은 행복하다.” –마태복음 11 : 2 – 6
이제 예수 이야기로 넘어가기 전에 예수와 세례요한의 관계와 그 두 사람간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그보다 먼저 아주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이 있답니다. 오늘날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인들이 알고 있는 예수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이나 믿음 또는 기독교를 개독교라며 비하하면서까지 싫어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예수의 모습들이 형성된 과정을 짧게 살펴보자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성서를 읽으며 하나님 나라를 바로 만나고 누리려면, 예수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필수이기도 하거니와 성서에 나오는 예수 이야기나 예수가 하신 말씀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믿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창조 이래, 또는 인간이라는 종(種)이 지구상에 나타난 이래 사람들의 생각이 획을 긋듯 크게 바뀐 때는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경제적으로 자본주의가 형성된 17세기가 아닐까합니다.
예수에 대해 이전과는 확연하게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나타난 것도 이 무렵이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은 순서대로 있는 사실 그대로 쓰여진 책이고, 예수는 신의 아들이며 곧 신이라는 믿음이 지배해왔습니다.
태양이 도는 게 아니라 지구가 돈다는 게 사실로 밝혀지면서 천체를 손바닥 들여다 보듯이 들여다 볼 수 있게 되는데, 보니까 거기 하늘나라는 커녕 천사 날개같은 것은 다 허구요, 소설이었다는 생각들을 하게 된 것입니다. “참고 기다리라”는 마지막 때도 결코 오지도 않았고 올 것 같지도 않은 생각들이 들기 시작합니다.
교황, 국왕, 귀족 등의 최상위 계급들이 무너지면서 그 자리를 급속하게 돈을 가진 이들이 제 몫으로 차지하는 세상으로 바뀝니다. 인권, 평등, 자유는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천부의 가치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세상이 이렇게 빠르게 변하고 생각이 바뀌면서 “신은 죽었다”라는 소리까지 등장하게 됩니다.
그 무렵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와 실제 예수와는 다르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헤르만 사무엘 라이마루스(Herman Samuel Reimarus, 1694년-1768년)라는 사람이 시초라고 합니다.
그 뒤를 이어 교회나 예수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믿음과 교인과는 관계없이)이 한번 쯤은 들어 보셨을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학자로서는 슈트라우스 (David Friedrich Strauss)가 시초이고 문학으로는 ‘신과는 전혀 관계없는 사람’ “예수전”을 쓴 죠셉 르낭(Joseph Renan)입니다.
슈트라우스라는 신학자가 <예수의 생애>를 발표한 것이 1835년이었습니다. 스트라우스는 이 책에서 성서속 예수 이야기에는 신화 곧 전설이 많이 끼어 들었다고 말하면서, 이런 역사적이지 않은 사실이 끼어든 것은 성서를 기록한 사람들이나 제자들이 의도적으로 사기를 쳤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신화적 상상력이 발동한 탓이라고 하였답니다 .
슈트라우스는 당시 주류들에 의해 크게 비판받기는 했지만, 이후 역사적 예수 연구에 불을 붙이는 역할은 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19세기 후반, 독일을 중심으로 자유주의 신학의 물결이 거세집니다. 이들은 신의 아들 또는 신이었던 예수보다는 도적적으로 권위있는 사람으로서의 예수에 대한 연구에 몰두하였습니다.
학문적으로 이들을 향해 첫 번째 철퇴를 든 사람은 아프리카의 성인 슈바이처입니다. 그리고 종교적으로 이런 유럽의 자유주의 신학에 대항한 것은 미국의 복음주의 또는 근본주의 종교 운동입니다. 한국 기독교는 이 무렵 미국 교회의 (거의 전적인 그리고 일방적인) 영향을 아래 뿌리를 내리게 됩니다. ( 그리고 아래 계속되는 사람들의 생각의 변화 곧 기독교 신학, 신앙, 운동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19세기, 20세기 초 미국의 복음주의 신앙으로 회귀 또는 정체 되어 있는 한국 기독교에 대한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드립니다. 이러한 성향은 비단 기독교 뿐만이 아니라 한민족이 불교와 유교를 받아 드렸을 때와 그것을 이어가는 행태와도 매우 유사한 점도 함께 나누어야 할 중요한 이야기 가운데 하나입니다.)
아무튼 의사이자 위대한 신학자였던 슈바이처가 “예수의 생애 연구사”를 펴 낸 것은 1906년의 일입니다. 슈바이처는 이 책에서 “이른바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말하는 사람이었던 예수는 역사속에 살다 간 예수의 모습이 아니라 그들 곧 자유주의자들이 생각하고 그려서 만든 그들이 좋아하는 예수의 모습일 뿐”이라고 통박하였습니다.
여기에 “역사속 예수 연구”에 대해 결정적 쐐기를 박은 사람은 20세기 가장 위대한 신학자들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불트만입니다. 그의 말을 쉽게 풀어 쓰면 “예수가 어떤 역사적 인물이었는지 그게 무슨 상관이냐? 성서는 오직 예수가 구세주라는 선포에 충실할 뿐이다. 곧 말하는 예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수가 구세주라는 말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의 이론은 매우 강력하였습니다. 적어도 한 세기동안 그의 영향력은 전 유럽을 덮었고 한 동안 역사적 예수를 말하는 이들이 없었습니다.
그러다 그 불트만에게 “아니요!”라고 나선 사람들은 바로 불트만의 제자들인 케제만, 보른캄등이었습니다. “역사적 예수 이야기 없이 어떻게 신의 아들 예수 이야기가 나오랴?”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습니다. 그 케제만 아래서 대단한 한인 신학자 한 사람 안병무가 나옵니다. 안병무 목사 – 이른바 민중신학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연 사람이며 세계 신학계에 한국말 “민중”을 알린 사람입니다.(무릇 모든 학문은 그것을 뛰어넘는 성과들이 나오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어느 한 시대 앞서 나갔던 인물들에 대한 평가에 있어 제 속차림이나 편협함이 앞서는 민족에게는 미래에도 큰 인물이 나오기 힘든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비단 학문에서뿐만이 아니라, 정치, 문화, 종교, 사상, 나아가 돈을 따지는 경제에 이르기 까지 말입니다.)
다시 예수 연구 이야기로 돌아가서 최근래에 이르러 1985년에 로버트 펑크(Robert W. Funk)와 존 도미닠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이 중심이 되어 예수 세미나(Jesus Seminar)가 발족이 됩니다. 이들은 짧은 시간내에 엄청난 양의 연구들을 발표합니다. 이들의 연구 가운데 “진짜 예수가 한 말들은 무엇일까?”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쯤 제 개인적 경험 몇 줄 얹습니다.
나이 이십까지는 성서무오설(聖書無誤說 :성서는 일점 일회도 잘못이 없다)에 기반한 그야말로 미국식 근본주의 교단에서 성장을 했답니다. 교회 주보조차 성물(聖物)이라고 생각했으니까요. 그 무렵 막 성장 가도에 불을 짚히던 서대문 순복음 집회에 참석했던 기억도 있군요. 그보다는 제가 다니던 교회 새벽기도를 통해 체험했던(글쎄요, 깜박 졸다가 꿈에서 본 것인지, 기도 중에 제 정신이 다른 세계에서 본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예수와의 만남이 더욱 선명하답니다.
그러다 스물 언저리부터 학문적으로 성서를 읽게 되었답니다. 물론 그 무렵 제 개인적인 일탈(이즈음 이 말이 유행인지라)로 하여 성서를 수차례(정확히 몇 번인지는 기억 못하지만) 통독을 하는 경험을 했답니다. 그것 밖에 할 수 없었던 시간을 보낸 적이 있었답니다. 오랜 동안 성서를 꿰고 있다는 자만으로 살았어도 창피하지 않을만큼 읽었답니다.
그리고 예수세미나의 열풍이 신학계에 일 때 저는 여기 미국에서 그들에게 빠졌었답니다. 그 그룹들이 내놓는 책들은 거의 읽어 보았다고 하여도 크게 엇나가지 않을 정도로 빠졌었답니다.
학문적으로 예수세미나 열풍과 신앙적으로는 복음주의(근본주의) 열풍은 극과 극에 있지만 서로가 모두 시들해질 무렵 저는 이제 삶의 내리막을 걷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즈음의 제 생각으로 이 글을 이어가고 있답니다. “모두가 다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예수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고, 예수의 복음은 복음이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왜냐구요? 제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이어지는 이야기들은 그 믿음으로 예수의 말씀들과 행위들을 되짚어보는 제 노력이며, 궁극으로는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당신과 함께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고자 하는 순례랍니다.
오늘은 이쯤.
눈이 엄청 내려 사방이 고요한 밤에
(이야기가 너무 딱딱해 진 듯하여 아까 이 글을 쓰고 있는데 “사진 한장?”하는 아내를 위해 마지못해 찍은 사진 하나 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