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야(前夜) – 중간사 7

(당신의 천국 – 일흔 두번 째 이야기) 

그 주변 이방인들은 유다인들이 제단을 다시 쌓고 성소를 복구하여 전과 같이 만들어 놓았다는 소식을 듣고 몹시 노하였다.  그래서 자기네들과 함께 살고 있던 야곱의 후손들을 멸망시키기로 작정하고 유다인들을 죽이기 시작했다.  유다는 이스라엘을 괴롭혀 오던 에사오의 자손들을 에돔의 아크라바테네에서 공격하여 큰 타격을 주고 굴복시킨 다음 많은 전리품을 빼앗았다. – 마카베오상 5 : 1 – 3, 공동번역에서 

유다 마카베오와 그를 따르던 유다인들이  예루살렘을 차지하고  난 뒤 이들이 벌여 온 전투의 성격이 바뀌게 됩니다. 이제껏 벌인 전투들은  광야로 도망가서 살기 위해 벌인 게릴라전이었는데, 이제는 유다의 전통과 신앙을 되찾고 원래 옛날 누리던 영토를 되찾는 정복전쟁으로변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의 계획들이 탄탄대로를 걷듯 순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유다 마카베오가 이끄는 세력이 커갈즈음 셀류커스왕조의 대군이 밀려와 예루살렘성에 가두고 포위하여 전멸의 위기에 놓입니다. 

마사다

바람 앞에 놓인 등불, 왈 풍전등화격이었던 마카베오군대를 살린 것은 셀류커스왕조의 왕위 다툼이었습니다. 마카베오 혁명을 유발시켰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가 죽자 셀류커스왕조은 극심한 후계 쟁탈전에 휩싸입니다.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있던 셀류커스왕조의 군대들은 평화협상을 제의합니다. 

협상안은 “앞으로 내정 간섭 않겠다. 유대교의식을 억압하는 법령들은 철폐하겠다.대 제사장은 온건한 헬라주의자인  엘리아킴(헬라어로는 알키무스)으로 세운다. 유다 마카비우스와 그  추종자들을 처벌하지 않겠다.” 등의 내용이었습니다. 

마카베오는 이 협상안을 거절하지만 종교적 전통을 지키는 것이 제일의 목적이었던 하시딤 일파의 주장에 따라 이 협상안을 받아드리게 됩니다. 

양쪽 모두 위기를 넘긴듯 했지만 칼자루를 쥔 쪽은 셀류커스왕조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앞잡이였던 엘리아킴(알키무스)대제사장은 마카베오에 가담했던 사람들은 물론이거니와 하시딤일파를 처형해 버립니다. 

그제서야 마카베오가 옳았다는 생각으로 다시 뭉친 유다 독립군들의 재항거 운동이 벌여지는데,  재진압에 나선 셀류커스왕조의 의해 유다 마카베오가 전사를 하게 됩니다. 그를 이어 동생인 요나단이 독립군 대장이 됩니다. 

요나단 역시 형과 아버지의 용맹을 이어받은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새롭게 독립군의 세를 불리고 있을 즈음 , 셀류커스 왕조는 내분에 다시 휩싸이게 됩니다. 더더구나나 신흥 제국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로마가 셀류커스왕조를 위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대제국들이 다투고 내분에 쌓인 틈을 타서 요나단은 유다의 정치와 종교의 모든 권한을 쥐고자 유다의 대제사장직에 오르게 되는데, 이 일이 유다의 종파 분열이 일어나는 씨앗이 되는 것입니다. 

유다의 전통적 율법으로 보자면 레위지파의 아론계론이 대제사장직을 이어가야 하는데(비록 돈을 주고 사고 파는 일이 생긴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혁명의 주체였던 유다 마케베오나 그의 동생 요나단은 유다지파였답니다. 

게다가 왕권 다툼에 빠진 셀류커스 왕조는 여러 세력들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그 각기 다른 세력 어디에 선을 대고  완장을 차느냐에 따라 유대 종파가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우선 “이꼴 저꼴 다 보기싫다, 우린 야훼 하나님 신앙만으로 뭉쳐서 우리끼리 살겠다.”며 동굴을 파고 들어가 자신들만의 규율대로 살게되는 집단이 있습니다. 이들이 사해문서 또는 쿰란문서를 남긴 에세네파입니다.  약 250여년 동안 이 집단의 전통이 유지되며 이어진답니다. 

두번 째는 비록 대제사장의 승계권은 잃었을지라도 전통인 종교 귀족 계급들이 뭉쳐 하나의 집단을 이루게 됩니다. 솔로몬 시대 이후로 부터 내려온, 또한 바벨론 포로 후기부터 세를 불려온 사독계열의 제사장들을 중심으로 하는 무리들이었습니다. 바로 사두개파입니다. 

세번 째는  하시딤(경건한 사람들)의 후예인 바리새파입니다. 

유대인들 사이에 그들 나름대로의 노선과 신앙을 중심으로 뭉친 이런 종파들이 생기고  뭉쳐서 후대까지 기록과 이야기들을 남기게 되지만, 그들의 수는 그리 많지 않았답니다. 예수시대에 바리새파의 인원이 대략 6,000여명, 에세네파는 약 4,000여명 정도로 추정되는 바, 귀족계급인 사두개파는 그에 훨씬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다수 수많은 유대인들과 모계나 부계로 유대의 혈통을 이어온 사람들,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거나  외국에 나가 살던 이들은 어디에 속해 있을까요? 하루 하루 일용할 양식에 매어 살던 사람들 말입니다. 이런 무리가 크게 존재하고 있었겠지요. 새로운 시대는 바로 이들과 함께 열리게 된다는 점 기억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이렇게 유다 마카베오의 형제들이 권위를 이어가며 독립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루고 정치 종교적 독립을 이루며 왕국을 세우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하스몬왕조라고 부른답니다. 

하스몬왕조는 시리아 헬레니즘 왕국인 셀류커스왕조가 저물고 로마왕조가 새롭게 들어서는 때에 복잡한 정세와 맞물려 위태위태한 독립왕국을 이어갑니다. 그 끝무렵에 헤롯대왕의 이름이 나오게 된답니다. 

이제 예수를 맞이하는 신약시대를 코 앞에 두고 있는 것입니다. 

자! 여기까지 중간사 옛날 이야기는 마치고, 그 무렵 바벨론포로 해방기에서 마카베오 독립운동이 일어나던 사이에 이루어진 성경책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 가려고 합니다. 

먼저 시편 이야기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