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 1 – 포로기 4

(당신의 천국 – 쉰 네 번 째 이야기)  

근위대장 느부사라단은 성 안에 살아 남은 사람들과 미리 항복했던 사람들과 남은 기술자들을 바빌론으로 데려 가고,  가진 것 없는 영세민들은 포도원과 농토를 주어 유다 땅에 남겨 두었다. – 예레미야 39 : 10 

친위대장 느부사라단은 예루살렘성에 남은 사람들과 바빌론 왕에게 항복해 온 자, 그리고 기타 남은 백성들을 포로로 데려 갔다.  그는 백성들 중 가장 비천한 층의 사람들만 남겨 두어 포도원을 가꾸고 농사를 짓게 하였다. – 열왕기하 25 : 11- 12 

구약은, 역사책으로 이해한다면,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작용된 이 구속사가 ‘곳곳에서 이미 신약의 그리스도 사건을 미리 예표한다.’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 폰 라드(Gerhard von Rad)의 구약신학(Old Testament theology)에서 

우리는 패했지만 한국은 승리한 것이 아니다. 장담하건데, 한국민이 제 정신을 차리고 찬란하고 위대했던 옛 조선의 영광을 되찾으려면 100년이라는 세월이 훨씬 걸릴 것이다. 우리 일본은 한국민에 총과 대포보다 무서운 식민교육을 심어 놓았다. 결국은 서로 이간질하며 노예적 삶을 살 것이다. 보라! 실로 조선은 위대했고 찬란했지만 현재 한국은 결국 식민교육의 노예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나 아베 노부유키는 다시 돌아온다. – 아베 노부유키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유다인들은 함께 모여 살게 됩니다. 에스겔의 기록에 따르면그발강가 텔아비브에 모여 살았다고 합니다. 말이 포로이지 반자유인으로 자신의 전통을 이어가며 살 수 있었던 듯 합니다. 그리고 바벨론으로 끌려간 이들은 멸망 직전의 유다사회에서 상층부에 속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identity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생각이 깊어질수록 그들은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자기 정체성, 공동체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반면에 예루살렘과 유다 땅에 남아 있던 유다인들은 왕국이 멸망하던 당시 사회의 중하층민들이었습니다. 바벨론은 유다인 출신의 총독을 세우고 그들을 다스리도록 했습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는 이들  남아있던 사람들에게 바벨론으로 잡혀간 사람들의 땅으로 추정할 수 있는 토지들을 나누어 준 것입니다. 토지개혁을 이루어 그 때까지 땅이 없던 이들에게 나누어주고 농사를 짓게 한 것입니다. (저 위에 예시한 예레미야와 열왕기하의 기록입니다.) 

땅을 분배받은 이들은 새롭게 변한 사회에 급격히 물들고 맙니다. 야훼 하나님에 대해 조상들이 해오던 전통을 쉽사리 잃어 버린 것입니다. 왕국이 망했건 말건, 왕이 내 나라 사람이건 이웃 대국의 총독이 다스리든, 내 땅이 있고 내 식구 잘 먹고 잘 사는데 뭐 골 아프게 “바르게 살자” 운운하며 삶을 제약하는 조상들의 신은 별 재미가 없게 된 것입니다.  정신을 잃어 버린 것이고, 정체성을 잃어 버리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바벨론으로 끌려간 유다인들은 자신들이 “왜 ? 지금? 여기에? 이런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 것입니다. 자신들과 조상들이 걸어 온 길이 어떤 길이었고, 그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에스겔서와  제2 이사야라고 부르는 이사야 40장에서 55장 까지의 이야기들은 바로 그런 신앙고백인 셈입니다. 

그리고 이 시대를 통해 우리들이 하나님 나라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꼭 알아 두어야 하는 비밀 하나는 신명기 역사관입니다. 

이 이야기를 이어 가려면 우리들이 좀 알아야하는 전제가  있답니다. 나중에 신약시대 이야기가 끝나고 교회시대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잠시 다루려고 하는 성서 형성사에서 좀 상세히 설명드리려고 합니다만 오늘은 이야기를 잇기 위한 설명으로 그치려 합니다. 

18세기, 그러니까 약 삼 백년 전 까지는 토라 곧 모세 오경이라고 불리우는 책들인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쓴 사람은 모세라고 믿고 있었답니다. 이른바 모세 오경설입니다. 

물론 유대교나 기독교(천주교나 개신교)를 믿는 이들 모두에게 해당되는 것입니다. 

1711년 개신교 목사인 비터(Henning B Witter)라는 양반이 창세기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서로 다른데가 있네, 이거 뭐 좀 이상하네 하는 연구(이스라엘의 법)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모세 오경에 대해 한 문장 한문장 연구를 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19세기부터 지난 세기의 최근까지 내노라하는 연구자들과 신학자들이 누가 언제 어떤 이유로 모세 오경을 쓰게 되었을까를 연구 발표한답니다. 현재 진행형이기도 하고요. 특히 19세기 말부터 불기 시작한 고고학에 대한 연구들과 연이는 고적 발굴 등은 이런 연구에 힘을 더해 주었답니다. 

아무튼 오늘날에 이르러 이런 연구 결과들의 대세는 오늘날 우리들이 보고 있는 성서가 완성되어지는데는 신명기 역사가라고 불리우는 개인 또는 그룹이 있었다는 것이고요. 그들이 기록물을 남긴 시점은 바로 유다인들의 바벨론 포로기 때의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럼 신명기 역사가들이 남긴 기록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 상하, 열왕기상하 등이 바로 그것들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뛰어난 연구가 가운데 마틴 노트(Martin Noth)라는 독일 신학자가 있는데 그에 따르면 바벨론 포로가 된 유다인들이 “우리들이 왜?”라는 질문으로 지난 일들을 되새기며 재해석한 작업들의 결과물들이 바로 신명기 역사서들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사관(史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야 하는 연유입니다. 바로 신앙고백의 핵심이고, 믿음의 확신인 동시에 하나님 나라를 누리는 핵심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 오늘은 제가 글 쓸 일이 많아서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