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뉴욕에 계시는 문동환목사님께 기독교교육학을 배운 적이 있습니다. 벌써 35년 전 일입니다. 어느날 강의실에 들어 서신 목사님께서는 종이 한 장씩을 나누어 주시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자! 여러분들은 지금 비행기를 타고 태평양 한 가운데를 지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내방송이 나옵니다. ‘비행기가 심각한 이상이 생겨 추락하고 있습니다. 약 10분 후 이 비행기는 태평양상에 떨어 질 것 같습니다.’ 자 ! 여러분에게 10분의 시간을 주겠습니다. 내가 나누어 드린 종이 위에 글이든 그림이든 이 상황에서 여러분들의 머리 속에 있는 생각들을 적어 보십시요.”
그리고 10분 후 목사님께서 다시 말씀 하셨습니다.
“최근에 승객이 모두 죽은 비행기 사고가 있었습니다. 시신조차 찾기 힘든 사고이었지요. 그런데 사고현장에서 어느 일본인이 남긴 짧은 기록을 발견하였답니다. 거긴 이렇게 쓰여있었답니다. ‘내게 10분의 여유가 있다. 사랑하는 나의 가족에게 감사한다. 사랑한다.’라고요. 자! 이제 여러분들이 남긴 것들을 공개해 볼까요.”
그렇게 채 열 명도 되지 않았던 우리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각자의 유서들을 공개했었지요. 너무 오래된 일이라 그 때 제가 무어라 했었는지는 기억에 없네요.
지금의 내가 “10분의 여유”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지금의 내가 그 짧은 시간 사랑과 감사를 고백할 수 있을까요?
또 다른 이야기 하나.
무려 삼십 팔년간을 쫓겨 다니며 사셨던 해월(海月) 최시형(崔時亨)선생님 이야기지요. 어느 한 곳에 머무를 수 없는 삶을 살았던 선생님이시지만 늘 일을 손에서 놓지 않으셨다고 하지요.
어느날 멍석을 짜고 계신 해월선생님께 어느 도인(道人)이 물었답니다.
선생님 내일이면 또 떠날 길인데 멍석은 무어라 짜십니까?”
해월선생님 왈,
“내 몸이야 떠나지만 여기 멍석이 있으면 훗날 누구라도 이 곳에 와서 쉬지 않겠는가?”
늘 마지막인 순간에도 누군가를 생각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면 참 도인(道人)이겠지요.
쪼금 아는 체 하는 것 용서해 주시기 바라고요.
이러한 삶들을 일컬어 ‘종말론적(終末論的) 삶’이라고 하지요.
종말론적 삶에는 무엇보다 치열함이 있지요.
그 치열함 속엔 여유와 넉넉함과 사랑과 감사 그리고 나눔이 있게 마련이고요..
무엇보다 종말론적 삶에는 끝없는 희망이 살아 숨쉬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