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이 된 사내 이야기 – 2
1. 그의 수염에 대하여
그는 아비의 일을 도왔다. 맏아들이었던 사내는 아비를 돕고 그 가업을 잇는 일에 어떤 거리낌도 없었다. 시골 마을의 목수노릇이 다 그렇듯 넉넉한 부를 누릴 만한 직업은 아니었다. 그래도 일은 꾸준하였으므로 삶이 궁핍하지는 아니하였다. 놀고먹는 땅 부자나 침략군의 앞잡이 노릇으로 떵떵거리는 권세가들에 비하면 하챦았으나 결코 기죽지 않을 수공업자로서의 아비의 직업에 그는 늘 당당하였다. 장인(匠人)으로서의 자부도 남 못지 않았다.
실내 가구라야 고작 돗자리 하나와 땅바닥에 놓인 방석 몇 개, 두어 벌씩 식구들의 옷가지를 가지런히 챙겨넣은 날렵한 채색무늬로 조금은 가벼운 느낌의 나무 옷장, 사내의 어머니가 애지중지하는 투박한 점토 화병 두어 개가 눈에 띄는 침실이자 부엌, 아니 작업장이기도 한 나사렛의 오두막은 사내가 평생 가져 본 단 하나의 집이었다. 온통 돌쩌귀 울퉁불퉁한 오솔길도 사내에겐 추억이었다. 깡촌이었던 사내의 고향 나사렛은 그의 추억보다 더욱 질기게 그를 따라 다녔다. 그는 “나사렛 예수”로 불리었으므로.
조숙하였던 사내는 열 살 무렵부터 그가 고향을 떠나 떠돌 것을 예견하였다. 끝내 사내는 아비의 가업을 잇지 못하였다. 그는 이미 다른 세상 사람이라는 미치도록 큰 꿈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마침내 사내의 꿈이 그의 삶을 이끌고 갔기 때문이다. 나이 서른이 다 되어 고향을 등진 사내는 갈릴리 호수가 바람맞으며 집 없이 떠돌았다. 때론 홀로 그 호숫가를 배회하기도 하였고 이따금은 수많은 군중이 그를 따르기도 했으며, 그와 함께 떠돌기로 작정한 몇몇 수행자들과 함께 호숫가에서 날밤을 세우기도 하였다. 떠돌이였던 사내의 일행들은 먹고 마시고 하늘나라 이야기 곧 딴 세상이야기를 즐겨 떠들곤 하였는데 그것은 사내가 죽음에 이르게되는 빌미가 되었다. 사내가 서른 세 살 되던 해, 그는 그의 말과 행위로 인해 어처구니없는 죽음을 맞이한다. “예수” – 그가 죽은 후 사람들은 그의 초상화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서른 세 살 사내의 처음 초상화엔 수염이 없었다. 셈족 특유의 털도 서른 셋 젊음에는 어울리지 않았을 듯 싶다.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은 “거룩”이란 이름으로 그의 얼굴에 수염을 그려 넣었다. 구렛나루가 덧붙여졌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의 수염은 길어만 갔다. 짙고 긴 수염은 시퍼런 젊음을 어둡게 가리며 보다 거룩하게 길어갔다. 그럴수록 그의 얼굴은 초상속에서 사람이 아닌 신의 얼굴이 되어갔다.
내가 그의 수염에 이리 매달리는 까닭은 거룩하게 거룩하게 박제된 초상속 그의 길고 탐스런 수염탓에 신음하는 그의 소리를 듣기 때문이다. 왕실 전용 이발소에서 잘 다듬고 향수까지 칙칙 뿌린 듯한 그의 초상속 수염이 대체 나사렛 촌사람과 무슨 연관이 있단 말인가? 집을 나와 그가 줄곧 헤매던 갈릴리호수 갯 냄새 배인 수염이 어찌 그리 고울 수 있겠는가? 갈릴리 촌놈들 한 떼 거느리고 죽으러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던 그가 성문앞 이발소에 들려 분장이라도 하였단 말인가? 그렇다. 수천금 장식장 속에 고이 모셔둘 거룩한 잔이 내게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숨이 코 끝에 달려 허덕이는 내 영혼과 이 땅의 삶, 나와 같은 삶의 자리에서 고뇌하는 이웃에게 한 모금 물 쏟아 부을 쪽박을 찾아 내는 일, 그것은 갈릴리 호수가 거친 촌사람속에서 신바람나게 일하며 즐겨 하늘나라 이야기하던 예수의 모습을 찾아 내는 일이다.
긴네롯호수, 게네사렛호수, 디베랴(티베리아스)호수등으로 불리는 갈릴리호수는 동서 7마일, 남북15마일에 이르는 가히 바다같은 호수다. 최고 수심이 150야드나 되는 깊은 호수는 짠 맛나는 담수이어서 정어리, 자리돔, 자바리등의 바닷고기와 메기 돌잉어등의 민물고기가 공생하는 풍부한 어장이다. 겨울 평균기온이 화씨 60도 정도일 만큼 온화한 기후는 호수면을 평온케 하다가도 이따금 요르단 침하지대에서 불어오는 돌풍에 미친 듯 요동치기도 하는 바다, 그 호수가를 약간의 소금기 엉기고 비린내 밴 수염 날리며 떠돌던 예수를 찾아 내는 길을 떠난다.
“조심스럽게 예수의 행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게 있어 특징적인 것은 귀신추방, 안식일 금기의 파괴, 정결법의 침범, 유대인의 율법성에 대한 논쟁, 세리나 창기들과 같은 소외된 사람들과의 연대, 아이들과 부인들에 대한 관심 등이다. 또한 예수는 세례자 요한같은 고행주의자가 아니라 먹기를 탐하고 약간의 술도 마셨다는 것이 인정된다. 이에 더해서 그는 작은 추종자들의 무리를 모았다는 사실을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역사적 예수 곧 이 땅을 살았던 예수의 모습을 찾는 일은 공허하다고 설파한 당대의 뛰어 난 신학자 불트만의 말이다. “성서는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케리그마의 집산”이란 불트만의 어려운 정의을 쉬운 말로 쓰면 “성서와 교회는 오직 거룩한 수염이 달린 예수만 말할 뿐”이라는 말이다. 그런 불트만이 그려 본 실제 예수의 모습이다.
자! 이제 나는 갈릴리 호수가 비린 바람 맞으며, 가끔은 씻지도 않은 손으로 그를 따르던 무리들과 함께 먹고 마시다 턱수염에 손닦는 예수를 찾아 나서련다. “그이는 자신을 밥이라고 했어요. 먹히는 밥 말이예요. 호구요. 호구. 우리에게 먹힐 밥이라고 했다니까요.” 그렇게 증언하는 그와 함께 했던 갈릴리 무리들을 찾아 나선다.
나는 그들을 만나기 전 먼저 해야할 일이 있다. 거친 수염으로 일하던 예수가 어떻게 거룩한 수염으로 제사상에 앉아만 있게 되었는가? 그 역사적 과정을 되짚어 보는 일이다. 그래야만 예수와 함께 떠돌던 그 갈릴리 촌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